달력

42025  이전 다음

트럼프 '파월 때리기' 공포…나스닥 2.6%·테슬라 5.8%↓[월스트리트in]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93834

 

트럼프 '파월 때리기' 공포…나스닥 2.6%·테슬라 5.8%↓[월스트리트in]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해임을 재차 압박하면서 뉴욕증시가 잇따라 급락했다.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훼손될 가능성에 투자자들은 극도로 불안감을 드러내

n.news.naver.com

다우 : -2.48%(971.82) 38170.4

 

나스닥 : -2.55%(415.55) 15870.9

 

S&P 500 : -2.36%(124.50) 5158.20

 

RUSSELL 2000 : -2.01%(3.74) 182.74

 

트럼프 "파월, 최대 패배자, 선제적 금리인하해라"
“파월 해임시 주식 투매 등 불가피”…엔비디아 4.5%↓
美자산서 이탈 계속…달러 3년래 최저치·금값 사상최고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해임을 재차 압박하면서 뉴욕증시가 잇따라 급락했다.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훼손될 가능성에 투자자들은 극도로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 관세에 이어 파월 의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투자심리를 짓누르고 있는 형국이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2.48% 떨어진 3만8170.41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2.36% 떨어진 5158.20을,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2.55% 급락한 1만5870.90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2.35%

애플 : -1.94%

엔비디아 : -4.51%

아마존 : -3.06%

구글 : -2.28%

메타 : -3.35%

테슬라 : -5.75%

 

“파월 해임시 주식 투매 등 불가피”…엔비디아 4.5%↓

트럼프 대통령과 파월 의장 간 긴장이 고조되자 다시 시장에는 파장이 일고 있다. 기술주들은 대거 급락했다. 테슬라가 5.75% 급락한 가운데 엔비디아 역시 4.51% 하락했다. 메타(-3.35%), 아마존(-3.06%), 알파벳(-2.28%), 마이크로소프트(-2.35%), 애플(-1.94%) 주가 역시 흘러내렸다. 호세 토레스 인터랙티브 브로커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해 점점 더 대립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투자자들은 임기 중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목표가 사라질지 궁금해하고 있다”며 “물가 상승률 상승을 허용하는 쪽으로 점진적으로 전환한다는 인식이 글로벌 안전자산의 펀더멘털을 흐리게 하고 있다”고분석했다.

투자은행 에버코어에서 글로벌정책 및 중앙은행 전략팀을 총괄하는 크리슈나 구하 부회장은 CNBC 방송 인터뷰에서 “만약 실제로 연준 의장을 해임하려 한다면 채권금리 상승, 달러 가치 하락, 주식 투매 등 강한 시장 반응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람들이 연준의 독립성에 관해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하면, 이는 연준이 금리인하에 나설 수 있는 기준을 강화하는 셈이 된다”라고 덧붙였다.

 

10년물 국채금리 : 4.405(+1.66%)

달러 / 엔 : 140.74(-0.09%)

비트코인 : 87037.00(-0.13%)

 

美자산서 이탈 계속…달러 3년래 최저치·금값 사상최고치

실제 트럼프의 불안한 정책에 미 자산 이탈은 이어지고 있다. 달러는 3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오후 4시기준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1.04% 급락한 98.35를 기록 중이다. 유로화와 엔화 가치는 1% 가량 절상됐다. 달러·엔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0.91% 하락한 140.87엔을, 유로·달러환율은 1.04% 오른 0.88유로를 기록 중이다.

국채금리 역시 장기물 중심으로 다시 꼬리를 들고 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8.2bp(1bp=0.01%) 오른 4.409%를, 30년물 금리 역시 9.7bp 뛴 4.906%에서 움직이고 있다.

 

유가 : 62.82(+0.66%)

코코아 : 8607.00(+3.76%)

커피 : 363.95(-2.32%)

GOLD : 3441.50(+0.47%)

SILVER : 32.69(+0.52%)

PLATINUM : 968.20(+0.11%)

COPPER : 4.7325(+0.08%)

PALLADIUM : 934.50(+0.37%)

 

금값은 달러 약세 등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현물은 이날 장중 사상 최고치인 3430.18달러를 기록했다. 비트코인은 2% 이상 상승한 8만7200달러로, 가상자산 역시 달러 하락의 수혜를 입었다.

국제유가도 2% 이상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1.60달러(2.47%) 내려앉은 배럴당 63.0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6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1.70달러(2.50%) 급락한 배럴당 66.2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크립토는 혼조

 

◇관세에 이어 파월 불확실성이 투자심리를 짓누르다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에 대해 ‘최대의 패배자’(major loser)로 칭하며 금리를 즉각 인하하지 않을 경우 미국 경제가 둔화될 수 있다고 재차 경고했다. 광범위한 관세 정책으로 미국 경제 둔화 우려가 커진 가운데 연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주부터 시작된 이러한 우려는 미국 금융시장에 대한 신뢰를 뒷받침하는 중앙은행이 정치적 영향력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을 키우고 있고 시장이 불안감으로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에 파월 의장을 “많은 이들이 금리에 대한 ‘선제적 인하(preemptive cuts)’를 요구하고 있다”며 “현재 미국에 사실상 인플레이션이 없다. 에너지와 기타 여러 물가 항목이 하락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비용들이 예측한 대로 잘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인플레이션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지만, ‘너무 늦는 사람’(Mr. Too Late), 즉 최대의 패배자인 그가 지금 당장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경제는 둔화될 수 있다”고 트럼프는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들어 연준의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파월 의장에 대한 사퇴를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참모들에게 파월 해임 가능성을 타진했으며, 일부 행정부 고위 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경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케빈 해싯은 지난 금요일 기자들에게 “대통령이 파월을 해임할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 투자자들에게 극심한 불안심리를 부추기고 있다. 연준의 독립성이 흔들릴 경우 미국 경제 수호자 역할을 하는 연준의 기능이 마비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오스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CNBC 스쿼크박스에 출연해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2% 목표로 되돌릴 것이라는 장기적 기대는 매우 중요했고, 이를 위해 연준의 독립성은 중대하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장기적으로 정치적 간섭이 있을 경우, 더 높은 인플레이션과 더 나쁜 성장, 더 높은 실업률로 이어질 것”이라며 “왜냐하면 어려운 시기에 단호한 조치를 취하려는 의지가 줄어들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또 굴스비 총재는“연준에서 근무한 지 이제 2년이 조금 넘었지만, 연준에 오기 전에도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연준 독립성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은 거의 만장일치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 이유를 알고 싶다면,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없는 나라들을 보면 된다”며 “그 나라들은 인플레이션이 더 높고, 실업률도 더 높고, 경제 성장도 더 나쁘다”고 설명했다.

테슬라 -5.75%

 

애플 -1.94%

 

아마존 -3.06%

 

엔비디아 -4.51%

 

팔란티어 -3.18%

 

리게티 컴퓨팅 : -2.52%

 

버진 갤럭틱 -2.37%

 

플러그 파워 -12.41%

 

조비 에비에이션 -1.36%

 

BBAI -5.53%

 

SOXL -5.33%

 

TLT -1.75%

 

MUFG -1.35%

 

EDU -0.78%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