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풋' 부재에 폭싹 내려앉은 뉴욕증시…엔비디아 7%↓[월스트리트in]
'파월 풋' 부재에 폭싹 내려앉은 뉴욕증시…엔비디아 7%↓[월스트리트in]
미국 뉴욕증시 3대지수는 16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대장주인 엔비디아를 비롯한 기술주에 대한 불안과 제롬 파월 연준
n.news.naver.com
다우 : -1.73%(699.57) 39669.4
나스닥 : -3.07%(516.01) 16307.2
S&P 500 : -2.24%(120.93)
RUSSELL 2000 : -0.96%(1.79%) 184.97
기술주 나스닥 3% 급락…약세장 영역 진입
엔비디아 따라 반도체株 하락세…AMD 8%↓
"연준 풋 없다" 시장 기대 심리 꺾은 파월
'트럼프 관세'에 세계 경제 성장 둔화 전망
미국 뉴욕증시 3대지수는 16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대장주인 엔비디아를 비롯한 기술주에 대한 불안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관세 우려 발언이 투자자들의 경계심을 자극하면서 급락했다.
나스닥 3% 급락…기술주 중심 매도세로 증시 급랭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3만9669.39로 전 거래일보다 700포인트 가까이 하락하며, 1.73% 떨어졌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5275.73으로 정보기술 섹터의 주도로 전 거래일보다 2.24% 하락했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1만6307.16으로 전 거래일 보다 3.07% 급락해 약세장 영역에 진입했다.
마이크로소프트 : -3.66%
애플 : -3.89%
엔비디아 : -6.87%
아마존 : -2.93%
구글 : -2.00%
메타 : -3.68%
테슬라 : -4.94%
엔비디아의 주가는 이날 6.9% 폭락하며 1월 후 하루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엔비디아는 중국 등 국가에 자사 H20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수출하는 과정에서 미국 정부의 라이선스 요구로 인해 2분기 55억 달러의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타임스(NYT)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가 칩을 공급하는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에 대한 단속에 나서면서 엔비디아 주가는 더욱 압박을 받았다.
다른 반도체주들도 엔비디아의 하락세를 따라갔다. 반도체 상장지수펀드(ETF)인 반에크 세미컨덕터(VanEck Semiconductor ETF, SMH)는 6% 넘게 빠졌고, AMD는 8% 이상,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3% 넘게 하락했다. 여기에 더해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의 실망스러운 실적 발표로 해당 기업의 미국 상장 주식이 7% 이상 급락하며 전반적인 반도체 약세를 부추겼다. 마이크론과 브로드컴도 각각 2% 이상 하락했다.
이러한 하락세는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쳐 메타,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는 각각 3% 하락했고, 테슬라도 5%, 알파벳은 2% 이상 하락했다.
잭 힐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자산운용 책임자는 “S&P500 지수는 과거보다 훨씬 더 기술 중심적인 지수가 되었기 때문에 상승과 하락 모두에서 기술주의 영향력이 비정상적으로 커졌다”며 “지난주에도 그 영향을 봤고, 이번엔 그 반대 방향의 결과를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279(-1.02%)
달러 / 엔 : 141.73(-0.07%)
비트코인 : 84451.70(+0.97%)
파월 인플레 우려 발언에…금리 인하 기대 약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이날 시카고 이코노믹클럽에서의 연설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중앙은행에 도전 과제가 될 수 있다고 언급하자 증시는 오후장 들어 장중 최저치로 밀렸다.
파월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 중인 관세 조치가 예상보다 훨씬 강도 높게 시행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의 충격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관세는 적어도 일시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이러한 물가 상승 효과는 더 오래 지속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동시에 파월 의장은 올해 미국 경제에 대한 성장 전망이 계속 하향 조정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경기 침체까지는 아니지만 완만한 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파월 의장은 현 상황에서 연준이 당장 기준금리를 조정하기보다는 경제 상황의 전개를 지켜보며 신중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 시점(for the time being)에서 우리는 정책 스탠스를 조정하기 전에 보다 명확한 상황을 기다릴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현 시점이라는 표현은 지난 4일 연설보다 한층 더 신중한 태도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연준이 인플레이션과 싸워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하며, 국민들이 장기간의 높은 물가를 당연하게 여기게 되는 상황을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파월 의장은 “물가 안정이 없다면, 모든 미국인이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장기간의 건전한 노동시장 여건을 실현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연준이 즉각적인 금리 인하를 시사하지 않으면서, 금융시장은 파월 의장의 강경한 인플레이션 발언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연준이 관세 정책의 향방을 지켜본 뒤에야 금리 결정을 내릴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는 한층 약화됐다.
유가 : 62.60(+2.07%)
코코아 : 7963.00(+0.47%)
커피 : 375.50(+2.27%)
GOLD : 3357.70(3.62%)
SILVER : 32.76(+1.43%)
PLATINUM : 976.50(+0.68%)
COPPER : 4.6775(+1.11%)
PALLADIUM : 977.00(-0.20%)
관세 여파로 세계 경제 성장세 둔화 전망
이달 초 트럼프 대통령이 여러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금융시장은 요동치고 있다. 일부 국가에 대한 관세는 지난주 90일 유예됐지만, 중국은 그 대상에서 제외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주말 스마트폰과 PC 수입에 대한 관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한다고 발표했지만, 이후 이 조치가 임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2일 ‘해방의 날’로 규정하며 상호관세를 처음 발표한 이후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각 7% 이상 하락했고, 다우지수는 약 6% 떨어졌다.
세계 곳곳에서 관세로 인한 우려 섞인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세계무역기구(WTO)는 이날 세계 무역 전망 및 통계 보고서를 통해 “관세 급증과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세계 무역에 대한 전망이 급격히 악화되었다”고 밝혔다.
씨티그룹은 관세 여파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네이선 시츠 씨티그룹 이코노미스트는 2025년 세계 경제 성장률이 2.1%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2024년의 약 3%에서 하락한 수치이며, 지난 3월 전망치보다도 0.5%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그는 미국을 포함해 캐나다, 일본, 중국, 멕시코, 인도, 한국 등 여러 국가들의 성장률 전망이 하향 조정됐다고 설명했다. 2026년에는 성장률이 다소 회복돼 2.3%에 이를 것으로 보이지만, 이 역시 지난달 전망보다 0.3%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시츠 애널리스트는 “미국의 관세율이 역사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까지 올라갔으며, 이는 세계 경제에 상당한 역풍을 불러오고 있다”며 “관세의 직접적인 효과 외에도, 정책 불확실성 확대, 시장 심리의 급격한 위축, 부의 효과 약화 등도 경제 성장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최근 전개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우리의 경제 전망에 대한 리스크는 명백하게 하방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경고했다.
크립토는 혼조
테슬라 -4.95%
애플 -3.89%
아마존 -2.93%
엔비디아 -6.87%
팔란티어 -5.78%
리게티 컴퓨팅 -4.29%
버진 갤럭틱 -1.56%
플러그 파워 -7.89%
조비 에비에이션 -1.36%
BBAI -3.11%
SOXL -11.89%
TLT +0.56%
MUFG -2.61%
EDU -2.88%
크리슈나 구하 에버코어 ISI 애널리스트는 “파월 의장의 최근 발언은 4월 2일 관세 부과 이틀 후의 연설에서 자세 변화가 없음을 보여준다”며 “우리에게는 놀랍지 않지만 연준의 풋 포지션을 기대하는 사람에게는 실망스러운 소식”이라고 말했다. 연준 풋은 주식 시장이 급격히 하락할 경우 중앙은행이 서둘러 금리를 인하하거나 다른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개념이다.
제니퍼 리 BMO 캐피털 마켓의 이코노미스트는 “파월 의장의 핵심 메시지는 연준이 정책의 실질적인 내용이 확정되기 전까지 경제적 영향을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지금의 연준은 매우 인내심 있는 중앙은행”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불과 2주 전 파월 의장이 백악관 정책과 관련한 불확실성에도 “금리를 서두를 필요는 없다”고 밝히자, 다우지수는 2000포인트 이상 급락하며 다른 주요 지수와 함께 조정 장세에 진입했다.
경제학자들은 최근 대부분의 연준 인사들이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른바 ‘매파적’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니애폴리스 연준의 닐 카시카리 총재와 보스턴 연준의 수전 콜린스 총재도 관세가 국민들의 인플레이션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금리 인하에는 더 높은 기준이 적용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새벽에 잠시 깼는데, 파월의 연설이 진행되고, 시장이 엄청 떨어지고 있길래, 일부 현금으로 매수
'주식이야기 > 미국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21일 미국시장 : 이젠 파월로 옮겨갔나? (2) | 2025.04.22 |
---|---|
4월17일 미국시장 : 트럼프 관세 파월, 복잡하네! (3) | 2025.04.18 |
4월15일 미국시장 : 변동성이 줄고 있다! 팔란티어 매도! (1) | 2025.04.16 |
4월14일 미국시장 : 관세, 이젠 협상테이블!! (2) | 2025.04.15 |
4월11일 미국시장 : 조용하니 무사하구나!! (2)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