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실적, GDP 성장률, 고용지표…랠리 운명 결정할 한 주[이번주 美 증시는]
빅테크 실적, GDP 성장률, 고용지표…랠리 운명 결정할 한 주[이번주 美 증시는]
미국 증시가 최악의 무역 갈등은 지났다는 분위기 속에 급반등한 가운데 이번주에는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과 올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3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4월 고용지표 등
n.news.naver.com

매그니피센트 7 중 4곳 실적 벌표
이번주는 S&P500 기업 중 180개 이상이 실적을 발표하며 올 1분기 어닝 시즌 중 가장 바쁜 절정기를 지나게 된다. 특히 매그니피센트 7 중 4개 기업의 실적 공시가 몰려 있어 증시 향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매그니피센트 7 기업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 플랫폼스가 오는 4월30일에, 애플과 아마존이 5월1일에 각각 실적을 공개한다.
또 4월29일에 코카콜라와 크래프트 하인즈, 스타벅스, 5월1일에 맥도날드와 에어비앤비 등 소비자들의 지출 추이를 가늠할 수 있는 기업들의 실적 발표도 줄을 잇는다. 4월29일에 화이자, 5월1일에 일라이 릴리와 모더나 등 제약회사들의 실적 공시도 이어진다.
이외에 4월29일 자동차 회사인 GM과 4월30일 중장비 기업인 캐터필러, 5월2일 석유회사인 엑슨 모빌과 셰브론의 실적 발표도 주목된다.
나스닥, 이달 들어 강세로 전환
지금까지 어닝 시즌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팩트셋에 따르면 올 1분기 실적을 공개한 S&P500 기업 157곳 가운데 76%가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전망치를 뛰어 넘었다. 이에 따라 실적을 이미 발표한 기업을 포함해 올 1분기 S&P500 기업들의 실적 성장률은 8%로 전망돼 지난 3월31일 기준으로 예상됐던 7.2%에 비해 개선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에 대한 비난을 중단하고 중국과의 무역 긴장도를 낮추려는 발언을 잇달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기업들의 실적 호조세가 지난주 미국 증시를 랠리로 이끈 것으로 보인다.
지난주 미국 증시는 4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S&P500지수가 4.6%, 나스닥지수가 6.7% 뛰어 올랐다. 다우존스지수도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하긴 했지만 2.5% 올랐다.
특히 나스닥지수는 지난주 급반등으로 4월 들어 수익률이 소폭 강세로 전환됐고 S&P500지수는 하락률이 1.5%로 축소됐다. 다우존스지수는 4월 들어 4.5% 내려갔다.
4월 고용지표 둔화 지속 전망
미국 증시가 트럼프 대통령의 유화적 제스처가 지속되고 기업들의 호실적이 뒷받침되며 반등세를 이어갈지 주목되는 가운데 이번주에는 증시 영향력이 큰 경제지표 발표도 줄줄이 예정돼 있다.
가장 주목도가 높은 데이터는 5월2일에 나오는 4월 고용지표다. 고용지표는 기업들의 고용 여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향후 소비자들의 씀씀이와도 직결돼 미국의 경기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다우존스가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월 비농업 부문의 취업자수 증가폭은 13만명으로 지난 3월의 22만8000명에 비해 대폭 줄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월간 10만~20만명의 취업자수 증가폭은 실업률을 변동 없이 유지시킬 수 있는 견조한 수준이다.
실제로 4월 실업률은 4.2%로 전월과 동일하게 유지됐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간당 평균 임금 상승률도 전월비 0.3%로 지난 3월과 같았을 것으로 관측된다.
3월 PCE 물가상승률 하락 기대
4월30일에는 연준이 가장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3월 PCE 물가지수가 발표된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향후 인플레이션 압력이 고조될 것으로 우려돼 3월 물가지표는 이미 지나간 과거 데이터로 시장의 주목을 덜 받을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3월 PCE 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완화된 것으로 전망되는 점은 긍정적이다. 3월 PCE 물가지수는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며 전년비 상승률이 2.2%로 지난 2월의 2.5%에 비해 낮아졌을 것으로 기대된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3월 근원 PCE 물가지수는 전월비 0.1%, 전년비 2.5% 올랐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월비 상승률은 지난 2월의 0.4%에서, 전년비 상승률은 지난 2월의 2.8%에서 각각 떨어진 것이다.
4월30일에는 올 1분기 GDP 성장률 속보치도 공개된다. GDP 성장률은 미국 경제에 대한 종합 성적표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올 1분기 GDP 성장률 속보치는 0.4%로 지난해 4분기 2.4%에서 대폭 둔화됐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 4월29일에 나오는 컨퍼런스 보드의 4월 소비자 신뢰 지수와 5월1일에 발표되는 4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 지수도 미국 경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주목할 만하다.
'주식이야기 > 미국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29일 미국시장 : 100일의 기적? 어쨌든 상승중!! (2) | 2025.04.30 |
---|---|
4월28일 미국시장 : 앞으로는 어떤 불확실성이?? 플러그파워 매수 (1) | 2025.04.29 |
4월25일 미국시장 : 이어지는 상승, 이젠 안도감? (1) | 2025.04.26 |
4월24일 미국시장 : 관세, 금리, 상승은 좋은데.. (2) | 2025.04.25 |
4월23일 미국시장 : 상승하는 데 걱정되는 건.. 여전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