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2025  이전 다음

‘땡큐 트럼프’ S&P500 장중 최고치…오라클 6.7%↑[월스트리트in]

다우 : +0.30(130.92) 44156.7

나스닥 : +1.28%(252.56) 20009.3

S&P 500 : +0.61%(37.13) 6086.37

RUSSELL 2000 : -0.65%(1.50) 228.29

5000억달러 AI인프라 투자계획에 반도체주 급등
자금조달 계획 불투명은 변수…머스크 “소뱅 돈 없다”
트럼프 기대감 다시 확산..“기대 이상 기업 실적 총족 관건”
국제유가 연일 하락세…트럼프 석유 시추 확대 영향

뉴욕증시 3대지수가 이틀 연속 일제히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5000억달러 규모의 인공지능(AI) 투자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AI 관련주들이 다시 반등하고 있다. 시장에 다시 ‘트럼프 낙관론’이 퍼져 나가는 분위기다.

21일(현지시간) 기준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30% 오른 4만4156.73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61% 오른 6086.37,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1.28% 상승한 2만0009.34를 기록했다. S&P500지수는 장중 6100.81을 기록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종가 기준 종전 사상 최고치는 지난달 6일 기록한 6090.27이다.

 

마이크로소프트 : +4.13%

애플 : +0.50%

엔비디아 : 4.41%

아마존 : +1.86%

구글 : +0.16%

메타 : +1.14%

테슬라 : -2.11%

 

AI인프라투자 수혜주는 반도체...‘하늘에 별 따기’ 지적도

 

기술주들의 하루였다. 넷플릭스는 ‘오징어게임2’ 효과로 유료회원수가 3억명을 돌파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9.69% 급등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AI인프라 투자에 힘입어 모처럼 AI관련주들도 힘을 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오픈AI, 오라클, 소프트뱅크가 ‘스타게이트’라는 합작사를 설립해 미국 내 AI인프라에 최소 5000억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 오라클 주가는 각각 4.43%, 6.73% 급등했다.

트루이스트의 공동 최고투자책임자(CIO)인 케이스 러너는 “탄력적인 경제, 인플레이션 완화, 금리 안정화, 순조로운 기업실적, 대통령의 온건한 관세 등이 시장에 탄탄한 배경이 되고 있다”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힘입어 기술주 역시 힘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5000억달러에 달하는 투자자금을 스타게이트가 끌어오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X에서 5000억달러규모의 스타게이트 구상과 관련해 엑스(옛 트위터)에서 “그들은 실제로는 (그만큼) 돈이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나는 믿을 만한 소식통으로부터 들었다”며 “소프트뱅크가 확보한 자금은 100억달러 미만”이라며 “제가 믿을 만한 출처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노스웨스턴 뮤추얼 웰스 매니지먼트의 주식 부문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매트 스터키는 “AI인프라 투자 발표의 직접적인 수혜자는 적어도 처음에는 반도체 분야가 될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자금 조달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 소식은 “하늘에 별 따기 같은 투자 이야기”라고 꼬집었다.

 

10년물 국채금리 : 4.599(+0.55%)

달러 / 엔 : 156.56(+0.70%)

비트코인 : 103666.00(-1.78%)

 

10년물 국채금리 주목…트럼프 관세 발언 관건

 

안정화되고 있는 국채금리가 다시 반등할 가능성도 리스크 요인이다. 이날 오후 4시반 기준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3.7bp(1bp=0.01%포인트) 오른 4.611%까지 올라섰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도 1.9bp 오른 4.3%를 기록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캐나다, 멕시코뿐만 아니라 중국에도 10%의 추가 관세를 2월1일부터 물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당분간 국채금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에 따라 크게 흔들릴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트럼프가 공약한 보편적 관세 카드가 그대로 실현될 경우 전 세계 금융시장은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유가 : 75.38(-0.59%)

코코아 : 11682.00(+1.06%)

커피 : 342.90(+4.61%)

GOLD : 2766.20(+0.25%)

SILVER : 31.41(-0.29%)

PLATINUM : 971.70(+0.09%)

COPPER : 4.2940(-1.08%)

PALLADIUM : 1004.00(+2.76%)

 

국제유가 연일 하락세…트럼프 석유 시추 확대 영향

 

국제유가는 하락세를 이어갔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0.39달러(0.51%) 하락한 배럴당 75.44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3월 인도분도 전장보다 0.29달러(0.37%) 떨어진 배럴당 79.0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석유, 가스 시추 확대를 예고하면서 공급 과잉 우려가 가격을 짓누르고 있다.

 

크립토는 대부분 하락.

 

테슬라는 장중 내내 약세를 지속하다가 막판에 조금 더 밀리면서 끝남. -2.11%

 

꽤 하락하다가 아래꼬리를 길게 달며 약보합으로 마무리. -0.64%

 

에너지 정책주의 변화 때문일까 며칠째 지속 하락. 그것도 큰폭으로. -7.73%

 

10년물 국채금리가 상승하며, TLT는 하락. -0.52%

 

버진갤럭틱은 왜 하락하지?? -2.19%

 

반도체 레버리지 3배짜리가 연속 상승중이다. +4.33%

 

어제 판 금액으로 오늘은 매수만 기록. 

TLT, PLUG POWER, 테슬라, 버진갤럭틱 등 매수

 

장전(우리나라시간 오후6시)에 밈 주식을 샀다가 팔았어야 했는데, 맥주한잔 하고, 팔기전에 자버렸다.

장중에 그냥 손절. 몇만원의 금액이지만, 이런 실수를 하면 안될듯..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온건한 트럼프 관세에 안도…다우지수 1.2%↑[월스트리트in]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29570

 

온건한 트럼프 관세에 안도…다우지수 1.2%↑[월스트리트in]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처음 열린 뉴욕증시가 상승세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관세전쟁 관련 발언을 비롯해 첫날 서명한 행정명령 수준이 당초 우려보다 부드러워졌다고 평가하

n.news.naver.com

다우 : +1.24%(537.98) 44025.8 나스닥 : +0.64%(126.58) 19756.8
S&P 500 : +0.88%(52.58) 6049.24 RUSSELL 2000 : +1.92%(4.33) 229.79

 

월가 “관세 4월 이후 보자”…불확실성 남아
10년물 금리 4.57%로 뚝…달러도 약세
대규모 AI투자 기대감…엔비디아 2.27%↑
애플, 아이폰 판매부진에 월가 실망…3.19%↓
트럼프 에너지비상사태 선포에 WTI 2.6%↓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처음 열린 뉴욕증시가 상승세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관세전쟁 관련 발언을 비롯해 첫날 서명한 행정명령 수준이 당초 우려보다 부드러워졌다고 평가하는 분위기다. 다만 중국에 대한 관세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데다 4월1일까지 무역적자 조사가 이뤄진 이후 구체적인 관세정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돼 안심하긴 이르다는 평가다.

21일(현지시간) 기준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24% 오른 4만4025.81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88% 오른 6049.24를,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0.64% 상승한 1만9756.78을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 : -0.10% 애플 : -3.19%
엔비디아 : +2.28% 아마존 : +2.11%
구글 : +1.04% 메타 : +0.60%
테슬라 : -0.57%

 

대규모 AI투자 기대감…엔비디아 2.27%↑

 

기술주들은 혼조세를 보였다. 매그니피센트7에서는 엔비디아(2.27%), 알파벳(1.05%), 아마존(2.11%), 메타(0.6%) 등은 상승 마감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장 마감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인공지능(AI)에 대한 새로운 투자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는 보도에 상승폭을 키웠다.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미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이 수천억 달러 규모의 합작회사 설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들 3개 기업은 스타게이트라는 합작회사 설립을 계획하고 있고, 초기에 1000억 달러를 투자를 한 뒤, 향후 4년간 최대 5000억달러까지 투자를 늘릴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애플(-3.19%), 마이크로소프트(-0.12%), 테슬라(-0.57)% 등은 하락 마감했다. 테슬라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보조금 폐지 등 전기차 우대 정책을 폐기한 게 부담이 됐다. 다른 전기차 업체인 리비안과 루시드 주가도 각각 6.47%, 6.84% 하락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574(-0.76%)
달러 / 엔 : 155.49(-0.08%)
비트코인 : 106293.70(+3.96%)

 

 

관세 쇼크 사라지자 10년물 금리 4.57%로 뚝…달러도 약세

이런 상황에서 국채금리는 하향 안정세를 보였다. 오후 4시반 기준 10년물 국채금리는 3.9bp(1bp=0.01%포인트) 빠진 4.572%까지 떨어졌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0.4bp 오른 4.276%에서 움직이고 있다.

달러 역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1.22% 빠진 108.01을 기록하고 있다.

유가 : 76.01(-1.78%) 코코아 : 11540.00(+3.28%)
커피 : 328.89(+0.14%) GOLD : 2755.40(+0.24%)
SILVER : 31.49(+1.12%) PLATINUM : 967.70(+0.23%)
COPPER : 4.3370(-0.72%) PALLADIUM : 976.50(+0.97%)

 

트럼프 에너지비상사태 선포에 WTI 2.6%↓

 

국제유가는 2% 이상 뚝 떨어졌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배럴당 1.99달러(2.56%) 하락한 76.89달러에서 장을 마감했다.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3월물 역시 0.86달러(1.07%) 하락한 79.29달러에서 장을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국가에너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석유·가스 시추를 늘리겠다고 행정명령을 내린 게 영향을 미쳤다. 시장에서는 공급은 넘처나지만 수요 부족 우려가 여전히 강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미즈호증권의 로버트 요거 애널리스트는 “결국 석유가 부족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미국 석유 생산량이 역대 최고 수준에 도달했고 OPEC+ 생산국 그룹은 여전히 하루 약 586만 배럴의 생산량을 감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부족한 것은 수요”라고 덧붙였다.

비트코인은 다시 106262.10 을 기록하며, 상승. 크립토 전반적으로 상승.

 

 

장중 큰폭의 하락을 기록하던 테슬라는 막판에 사자가 유입되며, -0.57% 로 마감

 

테슬라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보조금 폐지 등 전기차 우대 정책을 폐기한 게 부담이 됐다. 다른 전기차 업체인 리비안과 루시드 주가도 각각 6.47%, 6.84% 하락했다. 테슬라의 경우 올해 반값 전기차가 나올 경우 다른 전기차업체보다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에 하락폭이 적었다.

 

10년물 국채금리가 하락하자 TLT는 지속 상승중 +0.87%

 

조비에비에이션은 다시 상승 +10.89%

 

유가가 하락하고 천연가스 관련주는 떨어지고, 수소관련 플러그 파워는 큰폭으로 하락. -9.84%

 

리게티 컴퓨팅은 42.22% 상승하며, 다시 양자컴퓨터에 관심.

 

전날 예약을 걸어놓고 당연히 팔릴 가능성이 없을 거라 생각했던 가격이었는데, $14에 모두 매도 됨.

리게티 컴퓨팅 보유 물량 중 일부. 현금(달러)가 생겼으니, 다른 보유 물량에서 변동성이 생기면, 매수 예정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153824

 

뉴욕증시, 뜨거운 고용에 증시 '화들짝'…다우 1.63%↓ 마감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모두 급락했다. 12월 미국 비농업 부문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더 뜨겁게 나오자 투자자들이 일제히 주식을 던진 것이다. 예상을 대폭 웃

n.news.naver.com

 

다우 : -1.63%(696.75) 41938.4

나스닥 : -1.63%(317.25) 19161.6

S&P 500 : -1.54%(91.21) 5827.04

RUSSELL 2000 : -2.20%(4.88) 216.8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모두 급락했다. 12월 미국 비농업 부문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더 뜨겁게 나오자 투자자들이 일제히 주식을 던진 것이다.

예상을 대폭 웃돈 고용 수치에 금리인하 기대감이 크게 꺾이면서 주가를 재산정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졌다.

 

10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96.75포인트(1.63%) 급락한 41,938.45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1.21포인트(1.54%) 밀린 5,827.04, 나스닥종합지수는 317.25포인트(1.63%) 떨어진 19,161.63에 장을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1.32%

애플 : -2.41%

엔비디아 : -3.00%

아마존 : -1.44%

구글 : -1.14%

메타 : +0.84%

테슬라 : -0.05%

 

빅테크가 대부분 하락한 가운데, 메타는 강세, 테슬라는 보합에서 마무리.

엔비디아와 애플이 3%, 2%대 하락.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은 1%대 하락.

 

"더 이상 사과는 없다" 저커버그는 왜 8년 새 달라졌을까

"페이스북 등 팩트체킹 폐지" 발표
트럼프 첫 당선 있던 2016년 사과한 그가
태도 달라져…트럼프 기조에 부응

 

"우리는 가짜정보를 심각하게 받아들입니다. 사람들이 정확한 정보를 원한다는 걸 알고 있고, 이에 대한 책임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그동안 우리는 큰 진전을 보였지만, 해야 할 일이 더 많다고 느낍니다."

2016년 11월 28일(현지시간)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본인 계정에 장문의 글을 올렸다.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민주당 후보였던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부 장관을 제치고 깜짝 승리를 거둔 시점이었다. 당시 페이스북은 가짜뉴스와 음모론이 판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영향력을 발휘했다며 비판을 받고 있었다. 저커버그 CEO는 이 사태에 책임감을 느낀다며 사과했다.

이러한 입장은 8년 만에 정반대로 돌아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또다시 백악관 입성에 성공한 후였지만, 이달 7일 저커버그 CEO는 미국 내 자사 플랫폼에서 가짜뉴스를 판별하고 사실관계를 규명하는 제3자의 팩트체킹을 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우리의 근본으로 돌아가 실수를 줄이고, 우리의 정책을 단순화해 플랫폼에서 표현의 자유를 회복하는 데 집중하려 한다"며 "미국에서 펙트체커(팩트체크 담당자 또는 기능)를 없앨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두고 뉴욕타임스(NYT)는 저커버그 CEO가 과거에 보였던 '내 탓이다(mea culpa·라틴어로 사과나 반성의 의미가 담긴 말)' 입장에서 한발 물러나 더 이상 사과 하지 않는 방식으로 정치적 변화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저커버그 CEO는 대표적인 자유주의자로 평가받아온 인물이다. 2004년 하버드대를 중퇴하고 페이스북을 창업한 그는 표현의 자유를 강조해왔다. 그런 그는 페이스북이 가짜뉴스 등으로 도배되고, 증오 등 폭력 콘텐츠가 난무하자 이에 대응하기 시작했다. 2016년 이후 셰릴 샌드버그 전 최고운영책임자(COO) 등의 도움을 받아 무분별한 표현의 자유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판단, 조치를 취했다. 이 과정에서 그가 미 의회에 출석해 당황한 표정으로 답변하는 모습이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10년물 국채금리 : 4.776(+1.77%)

달러 / 엔 : 157.69(-0.26%)

비트코인 : 94748.30(+1.03%)

 

10년물 국채금리가 큰폭으로 상승했다. 4.776.

 

유가 : 76.57(+3.58%)

코코아  : 10579.00(-3.18%)

커피 : 324.95(2.03%)

GOLD : 2717.40(+2.75%)

SILVER : 31.30(+0.92%)

PLATINUM : 992.50(+0.82%)

COPPER : 4.2900(-0.45%)

PALLADIUM : 968.00(+4.01%)

 

유가도 큰폭으로 상승했다. 76.57$, 브렌트유도 80$에 근접.

금값도 2700이 넘어감.

 

크립토는 갑자기 파랑파랑. 대부분 하락분을 반납하며 상승.

 

테슬라는 먼저 빠져서인지 남들 빠질때 거의 안 빠지고 보합으로 마무리.

 

팔란티어도 며칠간 급 하락. 오늘도 -1.42%

 

원전 에너지의 1위기업 컨스틸레이션 에너지가 하루만에 +25.16 상승.

 

플러그파워도 하락하다가 반등에 성공하며 +7.49% 상승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37533

 

트럼프 정책불확실성 고조, 뉴욕증시 혼조…나스닥 0.06%↓[데일리국제금융시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고 정책의 불확실성은 가중되면서 뉴욕 증시의 3대지수가 혼조세를 보였다. 관세 시행 전망에 달러지수가 또다시

n.news.naver.com

 

다우 : +0.25%(106.84) 42635.2

나스닥 : -0.06%(10.80) 19478.9

S&P 500 : +0.16%(9.22) 5918.25

RUSSELL 2000 : -0.45%(1.01) 221.71

 

다우존스 0.25%↑, S&P500 0.16%↑
FOMC 의사록 “인플레이션 상방위험 증가”
CNN “트럼프, 관세 위해 국가비상사테 선포 고려”
달러지수, 109 넘기기도···가상자산·유가 하락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고 정책의 불확실성은 가중되면서 뉴욕 증시의 3대지수가 혼조세를 보였다. 관세 시행 전망에 달러지수가 또다시 상승하면서 유가와 가상자산에 부담을 줬다.

8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06.84포인트(+0.25%) 상승한 4만2635.2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9.22포인트(+0.16%) 상승한 5918.25에 장을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0.8포인트(-0.06%) 하락한 1만9478.88을 기록했다. LPL파이낸셜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제프리 로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금리나 성장률, 인플레이션을 예측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마이크로소프트 : +0.52%

애플 : +0.20%

엔비디아 : -0.02%

아마존 : +0.01%

구글 : -0.67%

메타 : -1.16%

테슬라 : 0.15%

 

이날 공개된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은 위원들이 인플레이션과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이 경제에 미칠 불확실성에 우려를 표하며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더 천천히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 의사록은 “거의 모든 참석 위원은 인플레이션의 상방 위험이 증가했다고 판단했다”라고 전했다. 회의록은 이어 “이런 판단의 이유로 참석 위원들은 최근 예상보다 강한 인플레이션 지표와 무역 및 이민정책의 잠재적 변화가 가져올 영향을 들었다”라고 소개했다.

연준 위원들은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금리인하의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참석 위원들은 기준금리가 작년 9월 통화정책 완화를 개시했을 때보다 중립 수준에 현저히 가까워졌다는 데 동의했다고 의사록은 소개했다. 연준은 의사록에서 “통화정책 전망을 논의하면서 참석 위원들은 통화정책 완화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한 시점에 도달했거나 가까워졌음을 시사했다”라고 전했다.

반면 이날 별도로 외부 연설에 나선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이사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하며 연내 추가 금리 인하가 있을 것로 전망했다. 그는 관세에 대해 “인플레이션에 상당하거나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며 “관세가 적절한 통화정책에 대한 내 견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경제가 예상대로 진행된다면 올해도 정책 금리 인하를 계속하는 쪽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693(+0.21%)

달러 / 엔 : 158.06(-0.03%)

비트코인 : 91840.20(-2.64%)

 

미국 국채 금리는 기간별로 엇갈렸다.다. 채권 금리와 채권 가치는 반대로 움직인다.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0.6bp(1bp=0.01%포인트) 하락한 4.288%를 기록했다.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0.7bp오른 4.691%에 거래됐다. BMO캐피털마켓의 전략가팀은 “시장은 표면적으로 트럼프의 정치적 이슈와 무역정책이 실물경제에 가져올 파급효과에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금리의 움직임은 다만 특정 사건이 아니라 추세에 기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가 : 74.31(+1.38%)

코코아 : 10978.00(+5.02%)

커피 : 318.40(+0.62%)

GOLD : 2692.50(+0.75%)

SILVER : 31.04(+1.14%)

PLATINUM : 984.30(+0.06%)

COPPER : 4.3135(+1.29%)

PALLADIUM : 935.00(+0.71%)

 

원자재는 1월9일 가격. 1월8일은 하락했는데, 1월9일 상승이 많았음.

 

크립토도 1월9일 가격. 이틀연속하락으로 9만달러 초반까지 내려옴.

 

"양자컴 상용화 땐 엔비디아는..." '견제구' 젠슨 황 "20년 걸려"

양자株 일제히 폭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30092

 

"양자컴 상용화 땐 엔비디아는..." '견제구' 젠슨 황 "20년 걸려"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기까지 20년은 봐야 한다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양자컴퓨터 관련주가 줄줄이 폭락했다. 일부 전문가 사이에

n.news.naver.com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기까지 20년은 봐야 한다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양자컴퓨터 관련주가 줄줄이 폭락했다. 일부 전문가 사이에서는 양자컴퓨터 상용화 때 컴퓨팅 사업에서 큰 타격이 불가피한 엔비디아의 수장이 견제구를 날린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CES 2025’가 열리고 있는 라스베이거스를 방문 중인 젠슨 황 CEO는 지난 7일 간담회에서 양자컴퓨터 상용화 시기에 대한 질문을 받고 “(유용한 양자컴퓨터가 나오기까지) 20년이라고 한다면 많은 사람이 믿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15년이 걸린다고 하면 아마도 이른 편에 속할 것이고, 30년이면 늦은 편일 것”이라고 말했다.

마켓워치는 “황 CEO는 이날 양자컴퓨터가 작은 데이터, 큰 컴퓨팅 문제엔 적합하지만,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한 곳에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점과 관련해서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황 CEO가 짧은 기간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 양자 주식에 찬물을 끼얹는 발언을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자역학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 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보다 압도적으로 빠른 속도로 계산을 수행할 수 있어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았다. 인공지능(AI), 의학, 암호화 등 광범위한 분야의 산업 지형을 바꿀 수 있어서다. 특히 지난달 빅테크 구글이 10자년 걸릴 계산을 단 5분 안에 풀 수 있는 양자 칩 ‘윌로우’ 개발 소식으로 시장 안팎에서 상용화 기대감이 급격히 커졌고, 양자컴퓨터 관련 스타트업의 주가는 덩달아 폭발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젠슨 황 CEO의 발언으로 이날 뉴욕증시에서 양자컴퓨터 관련주의 주식은 폭락했다. 아이온큐와 리게팅 컴퓨터 주가는 각각 39%, 45% 하락했다. 퀀텀 컴퓨팅(-43%), 디웨이브 퀀텀(-36%), 아킷퀀텀(-31%) 등 다른 양자컴퓨터 관련주도 줄줄이 내렸다. 이바나 델레브스카 스페어 인베스트 투자 책임자는 “15~20년이라는 시간표는 매우 현실적”이라고 평가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양자컴퓨터 상용화가 될 때 타격이 불가피한 황 CEO가 견제구를 날린 것이라고도 분석했다. 엔비디아는 고성능 컴퓨팅에 활용되는 그래픽처리장치(GPU)을 통해 AI 칩 시장 80% 장악하며 성장했는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양자컴퓨터가 GPU를 대체할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리처드 섀넌 크레이그 할럼 분석가는 “양자 컴퓨팅은 엔비디아가 가장 큰 수혜를 누리고 있는 기존 컴퓨팅 사업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CEO의 발언으로 양자컴퓨팅 업체는 반박에 나섰다. 미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앨런 바라츠 디웨이브 퀀텀 CEO는 황 CEO의 주장이 “완전히 틀렸다”며 “자사는 이미 상용화된 양자컴퓨터를 마스터카드, NTT도코모 등 여러 기업에 납품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5년, 20년, 30년이 아니라 바로 오늘 (상용화가 됐다)”고 강조했다.

다만 마켓워치는 “여전히 양자컴퓨터 업계에서 의미 있는 수익을 찾아보기는 힘들다”고 전했다. 팩트셋에 따르면 아이온큐와 퀀텀 컴퓨팅의 지난해 연간 수익 전망은 각각 4160만달러, 5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집계됐다. 마켓워치는 “이는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에 비해서는 터무니없이 적은 금액”이라고 짚었다.

 

플러그파워도 -9.49% 하락하며 이틀연속 하락. 

 

조비에비에이션도 하락. -7.59%. 9.49달러. 10달러 돌파가 쉽지 않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29193

 

[뉴욕증시]인플레 우려에 일제 하락…국채 금리 10년물 4.7% 위협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7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세로 마감했다. 서비스업 경기 호조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점화됐고,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8개월여 만에 최고치로 치솟아 4.7%를 위협하

n.news.naver.com

 

다우 : -0.42%(178.20) 42528.4

나스닥 : -1.89%(375.30) 19489.7

S&P 500 : -1.11%(6.35) 5909.03

RUSSELL 2000 : -0.80%(1.80) 222.71

 

지난해 12월 서비스업 PMI 54.1 '예상 상회'
서비스업 가격지수, 2년來 최고
인플레 우려에 국채 금리 10년물, 8개월來 최고
상반기 금리 동결 전망 확산…엔비디아 6.2% ↓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7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세로 마감했다. 서비스업 경기 호조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점화됐고,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8개월여 만에 최고치로 치솟아 4.7%를 위협하면서 투심을 압박했다. 시장에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상반기 내내 기준금리를 동결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78.2포인트(0.42%) 하락한 4만2528.36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66.35포인트(1.11%) 떨어진 5909.03,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75.3포인트(1.89%) 급락한 1만9489.68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1.28%

애플 : -1.14%

엔비디아 : -6.22%

아마존 -2.42%

구글 : -0.70%

메타 : -1.95%

테슬라 : -4.06%

 

종목별로는 기술주가 급락했다. 전날 협력업체인 폭스콘의 호실적 발표로 3.43% 뛰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엔비디아는 하루 만에 6.22% 하락했다. 국채 금리 급등이 부담이 된 것으로 보인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5 개막 기조연설에서 자율주행차, 로봇공학 진출을 선언했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주가 고평가 및 전략 관련 위험을 이유로 투자등급을 하향 조정하면서 4.06% 내렸다. 애플은 1.14%, 마이크로소프트(MS)는 1.28% 하락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683(+1.41%)

달러 / 엔 : 158.03(-0.01%)

비트코인 : 97054.00(-4.51%)

 

이날 발표된 서비스업 경기 지표가 기대 이상으로 강세를 나타내며 증시를 끌어내렸다. 미 공급관리협회(ISM)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4.1로 전월(52.1)은 물론 전문가 전망치(53.5)를 모두 상회했다. 이 수치가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50보다 낮으면 위축을 의미하는데, 서비스업 경기 확장세가 가속화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서비스업 PMI 하위 지수인 비제조업 가격 지수는 지난해 11월 58.2에서 12월 64.4로 상승했다. 시장 예상치(57.5)를 웃돈 것은 물론 2023년 초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전체 19개 서비스 업종 가운데 15개 업종에서 지불 가격이 오르며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웠다. 판테온 매크로이코노믹스는 "이 지표는 서비스 디플레이션(물가 상승률 둔화)이 정체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서비스업 지표 발표 후 Fed의 금리 인하 전망이 수그러들면서 국채 금리는 급등세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전일 대비 8bp(1bp=0.01%포인트) 오른 4.69%를 기록해 지난해 4월 말 이후 8개월여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2bp 상승한 4.29%에서 움직이고 있다.

 

유가 : 74.42(+1.17%)

코코아 : 11223.00(1.35%)

커피 : 320.25(+0.52%)

GOLD : 2663.10(+0.59%)

SILVER : 30.67(+0.27%)

PLATINUM : 975.80(3.50%)

COPPER : 4.1770(+0.37%)

PALLADIUM : 928.50(1.32%)

 

유가가 좀더 상승. 74.42달러

천연가스만 큰 폭의 등락이 있고, 많은 원자재는 크게 움직이지 않고 있다. 

 

크립토는 시뻘겋다. 10만달러 넘었다가 다시 하락.

 

테슬라가 이틀연속 급락 -4.06%

 

지속상승하던게 급락 -6.22%

 

양자컴퓨터도 하락 -5.74%

젠슨황이 기조연설에서 양자컴퓨터를 언급했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말에 급락한듯.

하지만, 지속적으로 너무 올라서 한번쯤 마이너스를 기록할 때도 됐다. 

 

조비에비에이션도 4%이상 상승했으니 큰 폭 상승 했지만, 윗꼬리가 꽤 달림. 아직은 상승 가능성(?). 

 

플러그 파워도 큰폭 하락 -6.35%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145149

 

뉴욕증시, AI 테마 다시 시동 걸었다…나스닥 1.24%↑ 마감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세계 최대 전자기기 위탁생산업체 대만 폭스콘이 인공지능(AI) 서버 특수에 힘입어 역대 최대 실적을 내놓자 관련 종

n.news.naver.com

 

다우 : -0.06%(25.57) 42706.6

나스닥 : +1.24%(243.30) 19865.0

S&P 500 : +0.55%(32.91) 5975.38

RUSSELL 2000 : +0.04%(0.09) 224.52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세계 최대 전자기기 위탁생산업체 대만 폭스콘이 인공지능(AI) 서버 특수에 힘입어 역대 최대 실적을 내놓자 관련 종목이 강세를 보였으나 우량주들은 매도 우위 흐름 속에 상승폭이 제한적이었다.

6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57포인트(0.06%) 내린 42,706.56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2.91포인트(0.55%) 오른 5,975.38, 나스닥종합지수는 243.30포인트(1.24%) 뛴 19,864.98에 장을 마쳤다.

기술주와 우량주 간 희비가 대체로 엇갈리는 하루였다.

 

마이크로소프트 : +1.06%

애플 : +0.67%

엔비디아 : +3.43%

아마존 : +1.52%

구글 : +2.65%

메타 : +4.23%

테슬라 : +0.15%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M7)'과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는 폭스콘의 사상 최대 실적에 반색했다. 위탁업체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기록적이라는 것은 발주 기업들의 실적 전망도 여전히 낙관적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M7 구성 종목들도 모두 올랐다. 메타플랫폼스는 4% 이상 상승했고 알파벳도 2%대 상승률을 보였다. 브로드컴도 1.67% 오르며 시가총액 1조달러 자리를 지켜나가고 있다.

 

 

10년물 국채금리 : 4.618(+0.48%)

달러 / 엔 157.60(+0.02%)

비트코인 : 101832.20(+2.43%)

 

10년물은 다시 4.6은 넘어서고. 달러도 다시 더 강세. 비트코인도 10만달러를 넘어섬.

 

 

유가 : -0.18%(73.43)

코코아 : -0.35%(11199.00)

커피 : +0.03%(318.75)

GOLD : -0.02%(2647.00)

SILVER : -0.32%(30.49)

PLATINUM : +0.29%(945.50)

COPPER : -0.24%(4.1515)

PALLADIUM : +0.17%(918.00)

 

유가는 하락. 원자재도 대체로 하락. 큰 등락폭 없음.

미국 12월 서비스업 업황도 개선 흐름을 이어가면서 투자심리를 뒷받침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은 12월 미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가 56.8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3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전월치인 56.1에서 상승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이날 집권 자유당이 자신의 후임자를 정하는 대로 총리직과 당 대표직에서 즉각 사임하겠다고 밝혔다. 트뤼도는 지난달 20일 신민주당(NDP)이 정부 불신임안 제출을 예고하면서 궁지에 몰린 터였다.

고물가 문제가 캐나다 경제를 계속 짓누르고 있고 트럼프 2기 행정부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여론이 비등하면서 트뤼도의 지지율은 속절없이 내려갔다. 지난달 말 진행된 여론조사에서는 트뤼도가 자유당을 이끌 경우 지지율이 13%에 그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그의 사임에 달러-캐나다달러 환율은 장 중 1% 이상 떨어지며 정치적 불확실성의 해소에 기대감을 드러냈다.

리사 쿡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는 이날 공개 발언에서 "적절한 시기에 금리 추가 인하 조치가 있겠지만, 현재 노동시장이 견조함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인플레이션이 재가열 조짐을 보임에 따라 연준이 올해 금리를 더 점진적으로 낮추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비트코인은 다시 10만불을 돌파하며 강세.

 

테슬라는 상승하다가 보합 마감.

 

 

폭스콘은 작년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2조1천300억대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12월에만 매출이 42% 늘며 시장 예상치(4분기 13%↑)를 대폭 웃돌았다.

폭스콘은 "AI 서버에 대한 강력한 수요 덕분에 사상 최고 수준의 실적을 냈다"고 전했다.

이같은 소식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 가까이 급등하며 달아올랐다.

필라델피아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코히어런트를 제외한 모든 종목이 뛰었다. 엔비디아는 3%, TSMC는 5%, ASML은 7% 이상 상승했고 AMD Arm,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도 4% 안팎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10% 이상 튀어 오르며 강세장을 즐겼다.

 

수퍼마이크로 컴퓨터도 9.36% 상승

 

마이크론도 10.45% 상승

 

플러그파워도 19.77% 상승.

에너지 관련주가 전반적으로 상승.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141192

 

뉴욕증시, '산타 랠리' 끝자락에 모처럼 반등…나스닥 1.77%↑ 마감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모처럼 동반 강세로 마감했다. 작년 말부터 이어진 약세로 저가 매수 심리가 강해진 가운데 미국 제조업 업황이 6개월래 최고 수준으

n.news.naver.com

 

다우 : +0.80%(339.86) 42732.1

나스닥 : +1.77%(340.89) 19621.7

S&P 500 : +1.26%(73.92) 5942.47

RUSSELL 2000 : +1.49%(3.29) 224.4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모처럼 동반 강세로 마감했다.

작년 말부터 이어진 약세로 저가 매수 심리가 강해진 가운데 미국 제조업 업황이 6개월래 최고 수준으로 개선되면서 매수 심리를 뒷받침했다.

3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9.86포인트(0.80%) 뛴 42,732.13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73.92포인트(1.26%) 상승한 5,942.47, 나스닥종합지수는 340.88포인트(1.77%) 급등한 19,621.68에 장을 마쳤다.

오랜만에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강세를 보이며 낙관론에 다시 불을 지폈다. 전날까지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5거래일, 다우 지수는 4거래일 연속 하락세였다.

 

마이크로소프트 : +1.14%

애플 : -0.20%

엔비디아 : +4.45%

아마존 : +1.80%

구글 : +1.25%

메타 : +0.90%

테슬라 : +8.22%

 

미국 12월 제조업 업황 지수가 개선된 점도 투자심리를 뒷받침했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1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3으로 집계됐다. 연합인포맥스의 시장 예상치이자 직전 달 수치인 48.4를 0.9포인트 상회했다.

업황 위축과 확장을 가늠하는 50에는 못 미쳤지만, 9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하며 개선 흐름을 나타냈다.

개별적으로 보면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애플을 빼고 모두 올랐다.

테슬라는 8.22% 급등하며 지난 며칠 간의 침체를 일부 털어냈다. 엔비디아도 4.45% 뛰며 시가총액 2위 자리를 굳히고 있다.

 

10년물 국채금리 : 4.596(+0.46%)

달러 / 엔 : 157.27(-0.16%)

비트코인 : 98306.50(+1.62%)

 

10년물국채금리가 다시 4.6을 향하는데.. 좀더 내려가줬으면 좋겠다는..

 

유가 : +1.29%(74.07)

코코아 : +3.86%(11567.00)

커피 : -2.10%(320.00)

GOLD : -0.61%(2652.70)

SILVER : +0.67%(30.10)

PLATINUM : +2.59%(946.30)

COPPER : +1.25%(4.0765)

PALLADIUM : +1.25%(923.50)

 

최근 유가가 지속 상승중 $74.07 까지 올라옴.

코코아만 3%오르고, 다른 곡물들은 많이 빠진. 

원자재는 큰폭의 변화는 없음. 

 

오랜만에 크립토는 모두 파랑파랑.

 

테슬라 주가, 실적 부진 딛고 8% 반등…월가 낙관론 재부상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주가가 작년 인도량 실적 부진에 따른 우려를 딛고 3일(현지시간) 큰 폭으로 반등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날보다 8.22% 오른 410.44달러에 마감했다.

이날 381.48달러로 출발한 주가는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리며 상승 폭을 키웠다.

새해 첫 거래일이었던 전날 6.1% 하락해 379.28달러로 고꾸라졌으나, 하루 만에 하락분을 모두 되돌렸다.

 

2025 CES에서 기조 연설을 하는 젠슨황 덕인지 엔비디아는 강하게 상승. 전고점을 뚫을지....

10년물이 강해서 TLT는 여전히 약세.

 

양자컴퓨터의 대장인 아이온큐는 상승 +10.84%

 

퀀텀은 강보함 +0.02%

 

퀀텀컴퓨팅은 하락 -6.69%

 

리게티컴퓨팅도 하락 -4.90%

 

실스크도 하락 -6.11

 

나스닥과 다우가 하락하는 동안 지속 상승하던 양자컴퓨팅 관련주가 나스닥과 다우의 상승에 약간의 조정을 겪은 느낌.

 

에너지 관련주들이 어제부터 전반적으로 상승중인데 오늘도 플러그 파워 상승 +12.88%

 

조비 에비에이션이 4일간 하락하던걸 한방에 만회하며 큰폭 상승 +20.77%

 

버진갤럭틱.. 길게 보고 매수하는 종목임. 하락과 상승을 반복 중. 오늘은 간만에 상승. +7.76%

 

소액으로 밈주식 갖고 있던거 장전거래에서 150% 정도 수익으로 매도. 장중 300%정도도 움직였던듯.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105096

 

뉴욕증시, 브로드컴 시총 1조弗 첫 돌파…지수는 혼조 마감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장 중 변동성을 보인 끝에 혼조로 마감했다. 미국 브로드컴은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이 1조달러를 돌파했고 반

n.news.naver.com

 

 

다우 : -0.20%(86.06)

나스닥 : +0.12%(23.88)

S&P 500 : 0.00%(-0.16)

RUSSELL 2000 : -0.69(1.61)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장 중 변동성을 보인 끝에 혼조로 마감했다.

미국 브로드컴은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이 1조달러를 돌파했고 반도체 지수도 급등했다.

13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6.06포인트(0.20%) 내린 43,828.06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16포인트(0.00%) 내린 6,051.09, 나스닥종합지수는 23.88포인트(0.12%) 오른 19,926.72에 장을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0.51%

애플 : +0.07%

엔비디아 -2.25%

아마존 : -0.66%

구글 : -1.11%

메타 -1.66%

테슬라 : +4.34%

 

거대 기술 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 중 테슬라가 4% 이상 올랐고 애플은 강보합이었으나 나머지 종목은 모두 하락했다.

테슬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인수위가 자동차 충돌 보고 요건을 종료하도록 트럼프에게 권고했다는 소식을 호재로 인식했다.

반면 우량주와 전통 산업군의 주식들은 대체로 보합권에 머물렀다. 다우는 이날 하락으로 7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기록, 2020년 이후 가장 긴 하락세를 찍었다.

 

10년물 국채금리 : 4.399(+1.72%)

달러 / 엔 : 153.58(+0.63%)

비트코인 : 101276.20(+1.27%)

 

국채금리가 다시 4.4에 육박. 

 

 

유가 : +1.53%(71.09)

코코아 : +4.24%(11280.00)

커피 : -0.96%(318.15)

GOLD : -1.61%(2665.90)

SILVER : -1.96%(31.00)

PLATINUM : -1.38%(927.70)

COPPER :-1.15%(4.1955)

PALLADIUM : -2.98%(962.00)

 

유가도 상승하며 $71를 상회.

코코아도 연일 급등. 

금은 다시 하락하고 있고, 구리는 지속 약세.

크립토는 전체적으로 상승.

 

 

매출 시장 예상치 밑돌았는데…美브로드컴 주가 왜 급등했나

 

미국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 주가가 13일(현지시간) 24% 넘게 폭등하면서 시가총액이 처음으로 1조 달러를 돌파했다. 인공지능(AI) 관련 수요가 크게 늘 것이란 기대감이 주가를 밀어올렸다는 분석이다.

브로드컴 주가는 이날 뉴욕 증시에서 전날보다 24.43% 폭등한 224.80달러(32만2857원)에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은 1조640억 달러로 불어나며 처음 1조 달러를 넘어섰다. 시총 순위도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 TSMC(1조420억 달러)와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9925억8000만 달러)를 제치고 8위로 뛰어올랐다.

주가는 이날 228달러선까지 오르며 230달러에 근접하기도 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고성능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제품을 설계·개발하는 브로드컴은 전날 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시장 예상치에 살짝 미치지 못했고 주당 순이익은 예상치를 웃돌았다.

특히 인공지능(AI) 관련 매출이 크게 늘어나 지난 1년간 생성형 AI 인프라 수요 급증으로 AI 관련 매출이 220% 증가했다. 브로드컴은 또 "대형 클라우드 기업 3곳과 AI 칩을 개발 중"이라며 "향후 3년간 AI에서 기회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매그니피센트 7 중 애플 강보합. 테슬라는 여전히 급등 4.34%

 

조비에비에이션 1.97% 상승.

 

급등후 잠시 조정을 보이고 있다.

어제까지 하락하고, 오늘 약간의 반등을 하면서 $8 근처는 유지할 듯 싶다.

그러면 조금씩 늘려도 되지 않을까?

 

 

국채 ETF는 지속 하락. -1.02% 곧 반등올듯 한데..

95를 넘을 줄 알았는데, 거기부터 다시 6일연속 하락.

다음주엔 반등을 할지 궁금하다. 반등은 하겠지.

다우도 6일연속 하락했는데.. 그에 따라 온듯.

 

 

 

 

버진갤럭틱홀딩스도 하락하다가 상승. +1.41%

버진갤럭틱은 지금 지속 바닥을 다지고 있는 듯 한데..

조금조금씩 모아 놓으면 상승의 모멘텀이 생기지 않을까??

 

 

플러그파워 : +1.25% 상승마감.

 

3일간 하락하다가 멈춤. 이정도 선에서 박스를 형성하지 않을까??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24307

 

고용지표 기다리며 멈춰선 랠리…비트코인 관련주 하락[뉴욕마감]

미국 증시가 5일(현지시간) 거침없는 상승세를 멈추고 다음날 발표될 지난 11월 고용지표를 기다리며 숨을 골랐다. 이날 다우존스지수는 0.55% 하락한 4만4765.71로 마감하며 4만5000선 밑으로 내려갔

n.news.naver.com

 

다우 : -0.55%(248.33)

나스닥 : -0.18%(34.86)

S&P 500 : -0.19%(11.38)

RUSSELL 2000 : -1.17%(2.81)

 

미국 증시가 5일(현지시간) 거침없는 상승세를 멈추고 다음날 발표될 지난 11월 고용지표를 기다리며 숨을 골랐다.

이날 다우존스지수는 0.55% 하락한 4만4765.71로 마감하며 4만5000선 밑으로 내려갔다.

S&P500지수는 0.19% 떨어진 6075.11로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지수도 0.18% 하락한 1만9700.26을 나타냈다.

소형주 지수인 러셀2000지수는 1.25% 떨어져 상대적으로 낙폭이 컸다.

킬리 테톤의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브라이언 레너드는 CNBC에 "지금 문제는 밸류에이션이 시장 전반적으로 너무 팽창돼 있다는 점"이라며 "증시는 사상최고 기록을 쓰고 있지만 열정이나 행복감은 별로 없다. 과거에는 증시가 사상최고치를 경신했을 때 지금보다는 밸류에이션이 합리적이었다"고 지적했다.

이날 트레이더들은 다음날 나올 지난 11월 고용지표를 기다리며 관망하는 태도를 취했다. 다우존스가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11월 비농업 부문 취업자수는 21만4000명 늘어났을 것으로 전망된다. 실업률은 전달과 같은 4.1%를 유지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로소프트 : +1.19%

애플 : +0.01%

엔비디아 : -0.06%

아마존 : +1.10%

구글 : -0.99%

메타 : 0.79%

테슬라 : +3.23%

 

테슬라는 3.2% 상승한 369.49달러로 마감했다. 전날 장 마감 후 테슬라의 한 엔지니어가 완전한 자율주행차인 사이버캡에 들어가는 부품이 모델 3의 절반 정도에 불과할 것이라고 밝힌 점이 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사이버캡에 대한 추가 정보가 제시된데다 부품이 줄어든다는 것은 차량 생산 비용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날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는 각각 1.2%와 1.1% 올랐다. 반면 알파벳은 1%가량 하락했고 엔비디아는 0.05% 약보합을 나타냈다.

 

국채금리 : 4.18(0.00%)

달러 / 엔 : 150.03(-0.04%)

비트코인 : 95350.20(-7.91%)

 

이날 비트코인 가격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암호화폐 지지자인 폴 앳킨스 전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을 SEC 위원장으로 지명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10만달러를 웃돌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비트코인 가격은 다시 10만달러 밑으로 내려왔고 비트코인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마이크로스트레티지와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 글로벌 주가도 상승하다 하락 반전했다. 이날 마이크로스트레티지와 코인베이스는 각각 4.8%와 3.1% 떨어졌다.

이날 2년물 국채수익률은 4.145%로 전날 대비 0.024%포인트 올랐지만 10년물 국채수익률은 소폭 떨어지며 4.18%를 나타냈다.

유가 : -0.13%(68.45)

코코아 : +4.78%(9851.00)

커피 : +2.56%(314.50)

GOLD : -0.79%(2655.00)

SILVER : -0.28%(31.83)

PLATINUM : -0.89%(944.80)

COPPER : -0.05%(4.1995)

PALLADIUM : -2.12%(973.00)

 

유가는 약세를 기록하고, 코코아와 커피는 상승, 금, 실버, 플래티넘, 코퍼, 팔라듐 등은 모두 하락.

전날 10만불을 넘겼던 비트코인이 다시 큰폭으로 하락. 리플 등도 하락.

 

10년물 국채금리는 변동없었는데, TLT는 상승 지속.

 

테슬라가 로보택시 덕분에 다시 큰폭으로 상승.

 

테슬라는 3.2% 상승한 369.49달러로 마감했다. 전날 장 마감 후 테슬라의 한 엔지니어가 완전한 자율주행차인 사이버캡에 들어가는 부품이 모델 3의 절반 정도에 불과할 것이라고 밝힌 점이 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사이버캡에 대한 추가 정보가 제시된데다 부품이 줄어든다는 것은 차량 생산 비용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조비에비에이션은 큰폭으로 상승하다가 윗꼬리를 길게달며, 마이너스로 반전.

플러그파워는 큰폭 상승.

 

지난 11월 고용지표는 오는 17~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전날 뉴욕타임스(NYT)가 주최한 행사에서 금리를 신중하게 인하할 수 있을 만큼 경제가 충분히 강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6일 발표될 비농업 부문 취업자수 증가폭이 예상을 크게 웃돈다면 이달엔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기적으로는 미국 증시가 더 오를 것이라는 낙관론이 많은 상황이다. 이날 웰스 파고의 전략가인 스콧 렌은 투자노트에서 "앞으로 12개월간 주가가 더 오를까"라고 질문을 던진 뒤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S&P500지수는 내년에 지금보다 현저하게 상승한 6500~6700 범위에서 한 해를 마감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03057

 

[뉴욕증시]러·우 긴장, 엔비디아 실적 기대 속 혼조 마감…나스닥 1% ↑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19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우크라이나가 미국에서 지원받은 장거리 미사일로 러시아 본토를 공격해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됐지만, 투자자들은 다음 날 공개

n.news.naver.com

다우 : -0.28%(120.66)

나스닥 : +1.04%(195.66)

S&P 500 : +0.4%(23.36)

RUSSELL 2000 : +0.74%(1.70)

 

우크라, 러 본토에 장거리 미사일 발사
20일 실적 공개 엔비디아 4.89% 급등
안전자산 수요 확대로 국채 금리 하락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19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우크라이나가 미국에서 지원받은 장거리 미사일로 러시아 본토를 공격해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됐지만, 투자자들은 다음 날 공개될 인공지능(AI) 슈퍼스타인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대기하며 기대감을 키웠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0.66포인트(0.28%) 하락한 4만3268.94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23.36포인트(0.4%) 오른 5916.98,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95.66포인트(1.04%) 상승한 1만8987.47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0.49%

애플 : +0.11%

엔비디아 : +4.89%

아마존 : +1.44%

구글 : +1.57%

메타 : +1.21%

테슬라 : +2.14%

 

종목별로는 이번 주 실적을 발표하는 엔비디아가 4.89% 뛰었다. 예상을 넘어선 실적을 내놓은 월마트는 3% 올랐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신임 감사 임명 소식에 나스닥 상장 폐지를 피할 것이란 전망에 31.24% 급등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법무부의 크롬 강제 매각 추진에도 1.57% 상승했다. 앞서 미 법무부는 반독점법을 위반한 구글이 크롬 브라우저를 매각하도록 강제할 것을 법원에 요청하기로 결정했다.

 

 

10년물 국채금리 4.379(-0.72%)

달러는 약세 달러/엔 154.55(-0.07%)

비트코인 91804

 

뉴욕증시서 비트코인 현물 ETF 옵션 거래 개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056462

 

뉴욕증시서 비트코인 현물 ETF 옵션 거래 개시

이지헌 특파원 =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 기반한 옵션 상품이 첫 거래를 시작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나스닥 거

n.news.naver.com

 

 

 

유가는 일부 상승

코코아 +2.96%, 커피 +0.74%

GOLD : +0.20%

SILVER : +0.19%

PLATINUM : +0.09%

COPPER : +0.72%

PALLADIUM : +3.01%

팔라듐이 큰폭으로 상승

타 곡물들은 하락. 아마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하락으로 보임

 

UAM의 대표기업 조비에비에이션이 12.83% 상승

우주항공인 버진갤럭틱은 -2.16%

수소전기 플러그파워는 -3.52%

 

월가에서는 향후 증시 방향성을 놓고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전날 모건스탠리는 도널드 트럼프 2기의 친기업 정책 등으로 S&P500지수가 내년 10% 상승할 것이란 예상을 내놨다. 반면 RBC 캐피털 마켓은 트럼프 2기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로 이미 하락장이 시작됐고, S&P500지수가 최대 10% 내릴 수 있다고 관측했다.

팔라스 캐피털 어드바이저스의 가우라브 말릭 CIO는 "지정학적 긴장 고조는 시장에 위험이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며 "러시아가 전쟁에 대한 수사를 강화하고, 이에 대한 미 행정부 대응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앞으로 증시 변동성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국채 등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국채 금리는 하락세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일보다 2bp(1bp=0.01%포인트) 하락한 4.39%를 기록 중이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일 수준인 4.28%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94886

 

[뉴욕증시]대선 하루 앞두고 일제 하락…불확실성에 경계감 확산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대선 전날인 4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세로 마감했다. 5일 미 대선을 하루 앞두고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투자자들의 경계감이 확산됐다. 이번 주 시장은 다음 날

n.news.naver.com

다우 : -0.61%

나스닥 : -0.33%

S&P 500 : -0.28%

RUSSELL 2000 : +0.51

밤새 변동성이 심했다. 장초반 상승했다가 미국시간으로 12시에는 뚜욱 하락하다가 다시 양전했다가 마지막엔 하락.

이번 총선이 그만큼 혼란스럽다는걸 돈의 흐름이 보여주는 듯.

마이크로소프트 : -0.47%

엔비디아 : +0.48%

애플 : -0.40%

아마존 : -1.09%

구글 : -1.14%

메타 : -1.14%

테슬라 : -2.47%

엔비디아를 제외하고는 모두 하락. 

10년물 국채금리가 하락 4.309를 기록. -1.19% 

유가는 다시 일부 상승 +0.31%. 

코코아 : +0.1%, 커피 : +1.17% 

GOLD : -0.01%

SILVER : -0.09%

PLATINUM : +0.11%

COPPER : -0.02%

PALLADIUM : +0.80%

비트코인은 다시 67759까지 낮아짐.

'다우 지수 편입' 엔비디아, 시총 1위 안착 다시 실패(종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025530

 

'다우 지수 편입' 엔비디아, 시총 1위 안착 다시 실패(종합)

지난달 25일에 이어 장중 애플 제친 뒤 막판 2위로 내려앉아 김태종 특파원 =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장 엔비디아가 4일(현지시간)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 자리에 안착하는 데 실패했다. 이날

n.news.naver.com

엔비디아와 애플의 시총 1위 경쟁이 심하다. 애플은 며칠째 하락하고, 엔비디아는 올랐다가 박스권.

테슬라 지난달 중국 판매량 감소…주가 엿새째 하락 2.5%↓(종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025529

 

테슬라 지난달 중국 판매량 감소…주가 엿새째 하락 2.5%↓(종합)

임미나 특파원 =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지난 10월 중국에서 부진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면서 4일(현지시간) 주가가 엿새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장보다 2.47

n.news.naver.com

6일 연속하락한 테슬라는.. 계속 하락할까?

수소에너지 관련된 플러그파워가 20%넘게 상승. 에너지 관련주들 중 명암이 많이 바뀜.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862867

 

[속보]다우·S&P500 사상 최고치…넷플릭스 주가 11%↑

다우지수와 S&P500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했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09% 오른 4만3275.

n.news.naver.com

다우는 강보합으로 마치며 +0.09%, 나스닥 +0.63%, S&P500 +0.4%, RUSSELL2000 -0.21%.

기술주는 여전히 강세,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등은 상승, 팔란티어 2% 넘게 상승. 테슬라 약보합.

실적이 좋게 나온 넷플릭스가 11% 이상 상승하며 시장을 이끌었다. 

늘 꺾이나 않나 우려를 하는데, 실적이 나오면 보란듯이 전고점을 지속 돌파해 나가고 있다. 세상이 완전히 바뀌었음을 보여주는 듯.

예전에 넷플릭스를 볼까말까 고민했다면, 지금은 넷플릭스는 꼭 보는 상수가 되어버렸다. 

그렇다면, 영화산업은? 우리나라의 미디어산업은?

잘나가는 콘텐츠를 만들고 있는 우리나라의 미디어 산업은 지금은 흥행하고 있지만, 앞으로도 이 상황을 지속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지?

 

WTI 유가는 70$ 아래로 떨어지며, 68.84$를 기록. 원자재 중에 코코아의 하락폭이 컸다. 천연가스도 하락. 

골드, 실버, 플라티늄, 쿠퍼, 팔라듐 등의 원자재는 상승. 중국의 변화에 더욱 움직이는 것인가?

달러강세는 약간 누그러졌고, 5년물, 10년물, 30년물 금리는 소폭 내려왔다. 

최근 미국에서 우주항공이 움직이고, 에너지가 움직이고. 버진갤럭틱이 어제도 9%넘게 상승하고. 플러그파워도 9%넘게 상승.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993366

 

'샘 올트먼 투자' 소형원전 기업 오클로 주가 40일만에 226%↑

아마존·구글, AI 데이터센터 구동 위해 원전 확보 계약 등 영향 올트먼, 320만주 보유…벤처 캐피털 투자자, 내달부터 매도 가능 김태종 특파원 =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투자한 소형

n.news.naver.com

데이터 센터 덕분에 최근 소형원전 기업 오클로가 어마어마한 상승세를 기록. 어제도 15% 이상 상승.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