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2025  이전 다음

트럼프 관세 강행에 빗나간 월가 희망…나스닥 2.6%↓[월스트리트in]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54544

 

트럼프 관세 강행에 빗나간 월가 희망…나스닥 2.6%↓[월스트리트in]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일 예정대로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율을 부과하겠다고 재확인하면서 위험회피 심리가 고조됐다. 트럼프 관세는 협상용이라

n.news.naver.com

 

다우 : -1.48%(649.67) 43191.2

 

나스닥 : -2.64%(497.09) 18350.2

 

S&P 500 : -1.76%(104.78) 5849.72

 

RUSSELL 2000 : -2.73%(5.87) 208.78

 

트럼프, 예정대로 4일 캐·맥 관세 부과 강행
美제조업 업황 악화…ISM 가격지수 7.5p 급등
위험회피심리에 기술주 급락…비트코인도 8%↓
美경기침체 우려에 국채금리·달러↓…캐·멕 환율↑
OPEC+ 4월1일부터 증산...국제유가도 2% 급락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일 예정대로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율을 부과하겠다고 재확인하면서 위험회피 심리가 고조됐다. 트럼프 관세는 협상용이라는 월가의 관측이 빗나간 것이다. 여기에 트럼프 관세로 제조업의 업황이 둔화될 것이라는 데이터가 나온 것 역시 투심을 크게 흔들었다. 당분간 미국의 성장 둔화 우려가 사라지지 않는 한 미국 증시가 반등할 가능성은 상당히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48% 하락한 4만3191.24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76% 떨어진 5849.72,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2.64% 하락한 1만8350.19를 기록했다. 중소형주 위주의 러셀2000지수도 2.81% 하락한 2102.24에 거래를 마쳤다. 월가의 공포지수인 VIX지수는 16.05% 급등한 22.78까지 치솟았다. 12월 이후 최고치다.

 

마이크로소프트 : -2.14%

애플 : -1.57%

엔비디아 : -8.69%

아마존 : -3.42%

구글 : -2.07%

메타 : -1.97%

테슬라 : -2.84%

 

위험회피심리에 기술주 급락…비트코인도 8% 이상↓

기술주들은 대거 급락했다. 엔비디아가 무려 8.69% 급락한 가운데 테슬라 역시 2.84% 빠졌다.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해 대선 전인 9월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엔비디아의 시가 총액은 2조7830억달러까지 빠지면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미 상장사 시총 3위로 내려왔다. 엔비디아의 칩은 대부분 대만 TSMC에서 생산되지만, 칩과 관련한 시스템 및 완제품 컴퓨터 일부는 멕시코와 믹구을 포함한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다. 4일부터 시행되는 트럼프 대통령의 멕시코 및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애플(-1.58%), 마이크로소프트(-2.14%), 아마존(-3.42%), 알파벳(-2.07%), 메타(-1.97%) 역시 크게 하락했다. 이외 반도체주에서는 브로드컴(-6.05%), 인텔(-4.17%), 마벨 테크놀로지(-6.52%) 등이 급락했고, 인공지능(AI) 서버제조업체인 슈퍼마이크로컴퓨터 주가도 13% 급락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18(-1.21%)

달러 / 엔 : 149.46(-0.02%)

비트코인 : 86301.90 (-6.97%)

 

美경기침체 우려에 국채금리·달러 약세…캐·멕 환율 급등

국채금리도 급락 중이다. 오후 4시기준 10년물 국채금리는 거의 6.6bp(1bp=0.01%포인트) 빠진 4.163%에서 움직이고 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3.7bp 하락하며 3.958%까지 내려왔다. 트럼프 관세 부과에 따라 미국 경기가 침체할 우려가 커진 것이다.

달러 역시 급락 중이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95% 빠진 106.59에서 움직이고 있다. 미국 경제 악화 우려가 커진 가운데 유로화가 우크라이나 평화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반등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달러·유로 환율은 1.05% 급락한 0.95유로를 기록 중이다. 다만 캐나다 달러와 멕시코 페소는 급등했다. 달러·캐나다 환율은 0.4% , 달러·페소 환율은 0.9% 상승 중이다.

유가 : 67.84(-0.78%)

코코아 : 8129.00(-1.01%)

커피 : 391.60(+1.28%)

GOLD : 2931.50(+1.05%)

SILVER : 32.50(+0.57%)

PLATINUM : 971.60(-0.03%)

COPPER : 4.6070(0.00%)

PALLADIUM : 952.50(-0.89%)

 

OPEC+ 4월1일부터 증산...국제유가도 2% 급락

유가 역시 2% 가량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대비 1.39달러(1.99%) 급락한 배럴당 68.3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5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1.19달러(1.63%) 떨어진 배럴당 71.6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관세와 미 제조업 업황 둔화에 더해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非)OPEC 산유국으로 구성된 OPEC 플러스(+)가 4월1일부터 증산에 나서겠다는 소식이 영향을 미쳤다. OPEC+는 이날 성명에서 “4월 1일부터 자발적인 조정을 점진적으로 유연하게 해 220만배럴로 돌아갈 예정”이라며 “시장 상황에 따라 점진적인 증산이 일시 중단되거나 되돌아갈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OPEC+는 우선 오는 4월부터 하루에 13만8000배럴을 증산할 계획이다.

 

크립토도 별로..

 

오늘은 숫자적는거 넘어가자!!. 넘 늦게 작성하기도 했고!!

챠트 보는 것도 썩 즐겁지만은 않다...

그렇게 불편해도 보자!!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상호관세 즉각시행 피했다"…안도한 뉴욕증시[월스트리트in]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43549

 

"상호관세 즉각시행 피했다"…안도한 뉴욕증시[월스트리트in]

13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무역시스템을 뒤흔들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한 로드맵을 발표했지만, 즉각 시행을 하지 않고 유예기간을 두면

n.news.naver.com

다우 : +0.77%(342.87) 44711.4

 

나스닥 : 1.50%(295.69) 19945.6

 

S&P 500 : +1.04%(63.10) 6115.07

 

RUSSELL 2000 : 1.13%(2.52) 226.14

 

상호관세 4월1일 이후 나올 예정…‘협상 카드’ 평가
PPI 예상치 웃돌았지만…연준 중시 지표엔 제한적
10년물 4.53%로 뚝…달러도 약세로 돌아서
매그7 일제히 상승…테슬라 5.8%·엔비디아 3.2%↑

 

13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무역시스템을 뒤흔들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한 로드맵을 발표했지만, 즉각 시행을 하지 않고 유예기간을 두면서 투자자들은 안도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예상보다 오르긴 했지만, 연방준비제도가 중시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완만한 상승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 것도 투심을 고조시켰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77% 오른 4만4711.43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04% 상승한 6115.07,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1.50% 오른 1만9945.64를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 : +0.37%

애플 : +1.97%

엔비디아 : +3.17%

아마존 : +0.63%

구글 : +1.32%

메타 : +0.44%

테슬라 : +5.77%

 

매그7 일제히 상승…테슬라 5.8%·엔비디아 3.2%↑

매그니피센트7은 일제히 상승했다. 테슬라가 5.77% 급등한 가운데 엔비디아도 3.16% 오르며 강세를 보였다. 테슬라는 일론 머크스 최고경영자(CEO)의 정치 참여에 따른 잡음에 따라 최근 주가가 급락했지만,트럼프 대통령이 무한한 신뢰를 보내면서 자율주행 규제 완화 등 기대감이 다시 커진 분위기다. 테슬라 강세론자로 유명한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는 전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스크의 정부 내 역할이 큰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엔비디아는 컴퓨터업체 IT솔루션을 제공하는 휴렛팩커드가 엔비디아의 차세대칩인 블랙웰을 사용한 첫 솔루션을 출시했다는 소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공지능(AI) 기대주로 꼽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케팅 업체인 앱로빈은 전날 호실적을 발표한 뒤 24% 급등했다.

이외 애플(1.97%), 마이크로소프트(0.37%), 아마존(0.63%), 알파벳(1.32%), 메타(0.44%) 모두 상승했다. 메타는 무려 19일 연속 상승세를 타고 있다. 팀쿡 애플 최고경영자는 이날 트위터에서 “2월19일 신제품을 만날 준비가 됐다”고 밝히면서 애플 주가를 끌어올렸다. 외신들은 애플이 보급형 아이폰SE 4 출시로 예상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526(-2.42%)

달러 / 엔 : 152.78(-0.01%)

비트코인 : 96489.80(-0.43%)

 

10년물 4.53%로 뚝…달러도 약세로 돌아서

이에 따라 전날 급등한 국채금리도 재빨리 안정세로 돌아섰다. 글로벌 국채 벤치마크인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10.1bp(1bp=0.01%포인트) 하락한 4.533%를 기록 중이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도 5.4bp 빠진 4.311%까지 내려갔다.

달러 역시 약세로 돌아섰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79% 빠진 107.09를 기록 중이다.

유가 : 71.51(+0.20%)

코코아 : 10525.00(+3.89%)

커피 : 419.35(-0.20%)

GOLD : 2957.20(+0.97%)

SILVER : 32.98(+0.58%)

PLATINUM : 1048.30(-0.02%)

COPPER : 4.7845(+1.70%)

PALLADIUM : 1025.00(3.82%)

 

도매물가 예상치 웃돌았지만…연준 중시 PCE 영향 제한적

미국의 1월 도매물가가 소비자물가에 이어 예상치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지만 투자자들은 크게 개의치 안았다. 연준연방준비제도가 중시하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물가지수에 영향을 주는 일부 품목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화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미 노동통계국은 지난 1월 도매물가인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대비 0.4%, 전년동월 대비 3.5% 올랐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0.3%, 3.4%)를 웃도는 수치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3.6% 올랐다.

도매물가가 오른 것은 조류 인플루엔자가 계속 발생하면서 계란가격이 전월대비 4.4% 급등한 것을 포함해 식품가격이 1.1% 상승한 탓이다. 에너지 가격 역시 1.7% 올랐다.

투자자들은 전체 PPI보다는 연준이 선호하는 PCE물가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품목에 주목하고 있다. 의료 진료비는 0.5% 하락했고, 국내 항공료는 0.3%, 중개서비스 물가도 2.2% 하락하면서 PCE물가 압력은 오히려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0.6% 치솟았던 포트폴리오 관리비용도 0.4%로 소폭 둔화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12일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서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아직 이르지 못했다고 말하면서도 연준은 PCE물가에 더 집중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1월 PCE물가는 오는 28일 발표될 예정이다.

캐피탈 이코노믹스의 수석 북미 이코노미스트인 폴 애쉬워스는 메모에서 “연준이 선호하는 PCE 가격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전반적으로 매우 안정적이었다”며 “핵심 PCE는 여전히 목표치인 2%를 훨씬 상회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물가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어제보다 나은 소식이었다”고 평가했다.

 

크립토는 중구난방.

 

테슬라 +5.77%

테슬라 주가 반등 6%↑…'머스크 영향력' 기대감 재부상(종합)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전기차업체 테슬라 주가가 반등해 13일(현지시간) 이틀째 강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날보다 5.77% 오른 355.9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1일 328.50달러로 마감해 닷새 연속 하락했던 테슬라 주가는 12일 336.51달러로 2.44% 오른 데 이어 이날 345.00달러로 출발해 점점 상승 폭을 키웠다.

월가에서는 머스크 CEO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효율부(GODE) 수장으로서 영향력을 확대하며 테슬라에 필요한 자율주행 등 규제 완화를 앞당길 것이란 기대감이 재부상하고 있다고 미 언론은 전했다.

 

애플 관세영향으로 +1.97%

 

아마존 +0.63%

 

리게티컴퓨팅 +4.26%

 

플러그 파워는 +6.67%

 

버진갤럭틱은 +4.15%

 

조비에비에이션 +3.41%

 

TLT는 국채금리 하락하며 상승 +1.66%

 

SOXL +3.38%

 

EDU +2.30%

 

팔란티어는 하루종일 티격태격하다가 상승마감 +0.44%

리게티 컴퓨팅 60주 매도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트럼프 금리·유가인하 압박 "땡큐"…S&P500 최고치[월스트리트in]

다우 : +0.92%(408.34) 44565.1

 

나스닥 : +0.22%(44.34) 20053.7

 

S&P 500 : +0.53%(32.34) 611.71

 

RUSSELL 2000 : +0.46%(1.04) 229.33

 

트럼프 “파월 만나 금리 많이 인하 요구할 것”
트럼프 발언에 2년물 금리 하락 반전...4.29%
“사우디·OPEC에 유가인하 요구"…WTI 1.1%↓
전날 급등한 기술주는 혼조세…달러 소폭 약세

 

뉴욕증시에서 S&P500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에 금리인하를 요구하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석유개발기구(OPEC)에 유가인하를 요구하겠다는 발언이 나오면서 투심을 자극시켰다. 국채금리가 떨어지고 유가가 하락한다면 증시가 다시 랠리를 펼칠 수 있는 기반이 닦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

23일(현지시간) 기준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92% 오른 4만4565.07에 거래를 마쳤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와 유가 하락 압박 발언이 투심을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53% 오른 6118.71,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0.22% 상승한 2만0053.68를 기록했다. S&P500지수는 지난달 6일 기록한 6090.27을 넘어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마이크로소프트 : +0.11%

애플 : -0.08%

엔비디아 : +0.10%

아마존 : +0.17%

구글 : -0.23%

메타 : +2.08%

테슬라 : -0.66%

 

기술주는 혼조세…달러 소폭 약세

 

전날 급등했던 기술주들은 이날 혼조세를 보였다.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은 각각 0.1%, 0.11%, 0.17% 오르며 강보합에 그쳤다. 메타는 2.08% 올랐고, 반면 애플(-0.07%), 구글(-0.22%), 테슬라(-0.66%) 등은 소폭 하락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638(+0.85%)

달러 / 엔 : 156.02(-0.01%)

비트코인 : 104254.50(+2.27%)

 

트럼프 발언에 2년물 금리 하락 반전...4.29%

 

트럼프 발언 이후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국채금리는 소폭 하락 반전했다. 이날 2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0.8bp(1bp=0.01%포인트0 내린 4.289%를 기록했다. 글로벌국채 벤치마크인 10년물 국채금리는 트럼프 발언 이후 소폭 내리긴 했지만, 다시 안정을 취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4.7bp 오른 4.646%를 기록했다. 중장기적으로 트럼프 관세 등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여전히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달러는 소폭 약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03% 내린 108.13을 기록 중이다. 트럼프 발언 이후 장중 107.92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유가 : 74.28(-1.54%)

코코아 : 11561.00(-0.98%)

커피 : 345.35(+1.02%)

GOLD : 2762.10(-0.32%)

SILVER : 314.80(-1.83%)

PLATINUM : 967.40(-0.38%)

COPPER : 4.3275(+0.62%)

PALLADIUM : 1018.00(+1.31%)

 

“사우디·OPEC에 유가인하 요구할 것..우크라전쟁 종식”

 

트럼프 대통령은 아울러 사우비아라비아와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유가인하를 압박하겠다고 공식화 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난 사우디아라비아와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유가를 내리라고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유가가 내려오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은 바로 끝날 것이다. 지금은 유가가 전쟁이 계속될 수 있을 만큼 높다. 유가를 끌어내려야 한다. 그러면 전쟁을 끝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들은 오래전에 유가를 낮춰야 했다. 사실 그들은 어느 정도 지금 벌어지는 일에 매우 책임이 있다. 수백만 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발언이 나오자 상승세를 타고 있던 국제유가는 뚝 떨어졌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0.82달러(1.09%) 하락한 배럴당 74.62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3월 인도분도 전장보다 0.71달러(0.90%) 떨어진 배럴당 78.29달러에 마무리됐다.

크립토는 전체적으로 상승.

 

기술주들은 큰 변동성이 없었고, 테슬라도 소폭 약세로 끝남. -0.66%

 

팔란티어는 며칠간 급락이후 다시 V자 반등중. +2.74%

 

리게티컴퓨팅은 3일전 급등 후 2틀간은 소폭(?) 변동. 

트럼프의 임기 시작과 함께 대통령의 입에 관심이 쏠리면서 양자컴퓨터의 관심이 줄어든 상태. 언제 움직일지 모르니 잘 살필것.

 

단기물은 급락했는데, 10년물은 상승하며, TLT는 약세를 기록. -0.78%

 

어제 까지 하락을 이어가서 일부 매수한 플러그파워. 오늘은 상승. +2.96%

 

뉴 오리엔탈 에듀케이션 & 테크놀로지. 중국기업이고, 사교육 관련기업인데..

엊그제 급락했다.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그래서 소액 투자. 

 

 

 

기존에 매수해놓고, 가지고 있던것. 지난주 JP모건 헬스케어때 움직이면 팔려고 햇는데, 그때는 아무런 반응을 안해서 갖고 있다가, 오늘 매도.

트럼프의 영향인지. 5월25일 이후의 금리는 현재보다 내려있을 확률에 100%. 큰폭은 아니지만, 그때까지는 한번쯤은 내릴것인가..

트럼프 “파월 만나 금리 많이 인하 요구할 것”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연례 회의에서 화상연설로 금리인하와 유가인하를 압박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즉각적인 금리 인하를 요구할 것”이라며 “그리고 마찬가지로 전 세계적으로 금리가 내려가야 한다. 금리는 우리를 따라 내려가야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발언이 나온 이후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소폭하락했고, 주식은 소폭 상승했다. 그러다 그가 파월을 만나 금리인하를 “많이(a lot)”요구하겠다는 발언이 나오면서 상승폭을 키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후 추가 행정명령을 서명하는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파월 의장과 대화하겠느냐는 질문에 “적절한 시기에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연준이 그런 요구에 응할 것이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그렇다”면서 자기가 “강력한 입장”을 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금리가 얼마나 떨어지기를 바라냐는 질문에 “많이”(a lot)라고 답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첫 연준에 대한 공격이다. 트럼프의 연준 개입은 예상됐지만, 예상보다 빨리 나왔다. 연준에 개입하려는 트럼프 대통령과 연준의 독립성을 지키려는 파월 의장 간의 힘겨루기가 지속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오는 28~29일 1월 FOMC를 개최한다.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월 금리동결 확률은 99.5%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의 압박과 관련해 연준 이사들이 어떤 논의를 할지, 파월 의장은 시장에 어떤 메세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035215

 

뉴욕증시, 트럼프 랠리 지속…다우지수 장중 첫 44,000선 돌파(종합)

S&P500도 한때 6,000선 넘어…다우·S&P500 주간 4.7%↑ '올해 최고의 한주' 이지헌 특파원 = 8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선 승리 이후 강세 랠리를 이어가며 올해 들

n.news.naver.com

다우 : +0.59%(259.65)

나스닥 : +0.09%(17.32)

S&P 500 : +0.38%(22.44)

S&P500도 한때 6,000선 넘어…다우·S&P500 주간 4.7%↑ '올해 최고의 한주'

8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선 승리 이후 강세 랠리를 이어가며 올해 들어 최고의 한 주를 보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9.65포인트(0.59%) 오른 43,988.99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2.44포인트(0.38%) 오른 5,995.5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7.32포인트(0.09%) 오른 19,286.78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0.68%

애플 : -0.23%

엔비디아 : -0.84%

아마존 : -0.89%

구글 : -1.33%

메타 : -0.40%

테슬라 : +8.19%

기술주들 대부분 하락했는데, 테슬라 혼자 하드캐리.

10년물 국채금리 4.306(-0.81%)

달러도 약세 엔달러 152.58(-0.23%)

유로달러 1.0717(-0.79%)

비트코인은 76565(+0.21%)

비트코인은 잘 가는구나!!

유가가 꽤 큰폭으로 하락 -2.67%(70.43)

코코아 -2.55%, 커피 2.31% 등 곡물 등도 하락

GOLD : -0.52%

SILVER : -1.35%

PLATINUM : -2.08%

COPPER : -2.72%

PALLADIUM : -2.76%

원자재도 큰 폭으로 하락. 금은 약한 하락인데 반해 구리가 많이 하락. 구리가 요즘 변동성이 심해졌음.

 

트럼프에 2000억 올인, 20조 번 머스크…입각 수혜는 '덤'[기업&이슈]

한국시각 오늘 새벽 끝난 미국 시장에서 테슬라 8.19% 상승으로 장 마감.

머스크 CEO가 실제 트럼프 2기 행정부에 입각할 경우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는 업종은 테슬라의 자율주행 전기차 분야다. 그동안 미국 정부당국의 안전 관련 규제조치로 확장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분야인만큼 규제가 해소되면 빠른 성장세를 보일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주요외신은 자율주행 전기차 규제에 정통한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미국 도로교통안전청(NHTSA)이 지난달부터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능인 오토파일럿 기능에 대한 안전 조사를 진행 중인데 머스크가 입각할 경우 이와 관련한 잠재적인 조치들을 보류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적어도 트럼프 2기 집권시기인 4년간 머스크는 테슬라가 계획 중인 완전 자율주행 기술과 로보택시에 대한 규제방향을 유리하게 끌고 갈수 있다"고 전했다.

머스크 CEO가 운영하는 우주항공업체인 스페이스X도 그동안 발목을 잡아온 미 연방항공청(FAA)와의 규제갈등에서 자유로워질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우주전문매체인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은 7월부터 10월까지 오작동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FAA로부터 세차례 발사금지명령을 받았다. 스페이스X 측은 인명피해가 없고 다른 안전문제가 발생하지 않은만큼 발사금지명령 철회를 요구했지만, FAA가 강경한 입장을 이어가면서 갈등이 지속돼왔다.

--->>> 모든 걸 잘하는 것 같지만, 사업을 하는 데 있어서 예상치 못한 문제들은 늘 존재한다.

하지만, 이런 와중에 베팅을 하고 최선을 다하고, 그것이 성공을 거두었을 때 그 댓가는, 늘 크게 돌아오는 법이다. 

이번 대선에서도 엄청난 베팅(?)을 했고, 그것이 트럼프 당선이라는 결과물로 나타남으로써, 일론 머스크는 다시 한번 위에 열거된 어려운

문제들을 잘 해결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일론 머스크는 어디까지 갈것인가??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52166

 

고용 충격 딛고 아마존 덕에 반등…나스닥 0.8%↑[뉴욕증시 브리핑]

뉴욕증시가 전날의 급락세를 딛고 반등했다. 미국 10월 고용 결과가 충격적으로 나왔지만 아마존 실적을 반등의 근거로 삼았다. 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

n.news.naver.com

다우 : +0.69%

나스닥 : +0.8%

S&P 500 : +0.41%

RUSSELL 2000 : +0.56%

미국 노동부는 미국의 10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전월보다 1만2000명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10월 미국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예상치를 대폭 밑돌며 '쇼크' 수준의 결과물이 나왔으나 허리케인과 대규모 파업 등 각종 잡음이 섞여 있어 신뢰도가 떨어졌다.

기술주의 상승. 그러나 애플은 하락

마이크로소프트 : +0.99%

엔비디아 : +1.99%

아마존 : +6.19%

애플 : -1.33%

구글 : -0.02%

메타 : -0.07%

테슬라 : -0.35%

10년물 국채금리 4.361로 +1.8% 상승.

국채금리가 급격히 상승하고 강달러가 됨.

달러/엔은 152.92

유가 WTI : 69.33

코코아는 다시 하락 : -0.53%

GOLD : -0.12%

SILVER : -0.67%

PLATINUM : +0.24%

COPPER : +0.14%

PALLADIUM : -0.64%

비트코인은 다시 7만달러를 하회.

 

아마존은 올해 3분기 매출이 1589억달러, EPS는 1.43달러라고 발표했다. 두 수치 모두 시장 기대치를 앞섰다. 특히 클라우드와 광고 사업의 강점이 유지됐다는 점에 월가는 6.2%의 주가 상승으로 화답했다.

 

엔비디아, 다우지수 편입…인텔은 25년만에 밀려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94004

 

엔비디아, 다우지수 편입…인텔은 25년만에 밀려나

인공지능(AI) 칩의 선두주자 엔비디아가 인텔을 밀어내고 다우지수에 편입된다. 1일(현지시간) S&P다우존스지수는 오는 8일부터 엔비디아가 다우지수산업평균(DJIA) 지수에 공식 편입된다고 밝혔

n.news.naver.com

11월8일부터 다우지수 편입
다우지수, 30개 종목 기준으로 산출
주가 반토막 인텔, 25년만에 제외

트럼프 vs 해리스…다음주 美대선, 누가 대통령 돼야 내 주식 오르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89768

 

트럼프 vs 해리스…다음주 美대선, 누가 대통령 돼야 내 주식 오르나

올해 하반기 전 세계 금융시장의 최대 이벤트로 꼽히는 미국 대통령 선거가 내주로 다가오면서 국내 증권가의 긴장감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n.news.naver.com

 

전세계에 영향력을 펼치는 미국의 대선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한국시간 11월5일. 예전을 보면 한번에 끝나지 않을 가능성도 있고, 여러가지 변수는 늘 존재하지만, 

어쨌든 작은 결론은 11월5일이다. 

트럼프와 해리스 중 누가 되었을 때, 어떤 식으로 시나리오를 짤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하는데.. 이게 쉽지는 않다. 

 

상하이 증시, 中 전인대 상무위 회의…부양책 규모에 관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52335

 

상하이 증시, 中 전인대 상무위 회의…부양책 규모에 관심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중국 증시는 지난주 하락 마감했다. 지난 1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24% 떨어진 3272.01로 장을 마쳤

n.news.naver.com

미국대선이 치뤄지는 순간에 중국에서는 4일부터 8일까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회의가 열린다. 

재정 부양책 승인과 세부 사항 발표가 회의 기간에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두가지 큰 사건이 미국과 중국에서 한꺼번에 열린다. 

그 사이에 끼인 우리나라는 어떤 포지션을 취해야 하는 것인가??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47711

 

고금리 장기화 우려·실적 발표 소화…주요지수 흐름 엇갈려 [뉴욕증시 브리핑]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 흐름이 엇갈렸다. 미국 국채 금리가 오르며 투자 심리가 짓눌렸다. 기준금리 인하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도 커졌다. 다만 주요 기업의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아 낙폭은 크지

n.news.naver.com

국채금리가 상승하며, 투자 심리가 눌렸다. 

다우는 -0.02%, 나스닥 +0.18%, S&P500 -0.05%, 혼조세를 보이며 마무리.

엔비디아, 애플은 소폭 하락한 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2% 넘게 상승하고 메타도 1.19% 상승. 기술주도 엇갈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000589

 

텍사스인스트루먼트, 매출 감소에도 '반도체 주문 회복' 기대감

3분기 매출, 전년 대비 줄었지만 예상 상회…시간외 거래서 주가 3%대↑ ASML CEO "2026년 성장 전망…美대선과 무관히 대중국 제재 압박 가능성" 미국 반도체 기업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가 3분기까

n.news.naver.com

레거시 제품과 차량용 메모리 위주의 텍사스인스트루먼트는

3분기 매출, 전년 대비 줄었지만 예상 상회…시간외 거래서 주가 3%대↑
ASML CEO "2026년 성장 전망…美대선과 무관히 대중국 제재 압박 가능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865744

 

‘달러 강세-당국 개입 경계’ 줄다리기…환율 1380원대 지속[외환브리핑]

원·달러 환율은 1380원대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트레이드’가 이어지고 있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론에 달러화 강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다만 외환당국

n.news.naver.com

10년물, 30년물, 5년물도 국채 금리가 4%를 넘어섰다. 

달러강세로 엔화도 150$을 넘겼다. 152.05$

유가가 다시 $달러를 회복. 코코아는 큰폭으로 하락, 커피 가격도 하락. 

금, 플래티넘, 팔라듐 등 원자재 가격은 상승.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88542

 

실적 발표 D-1 테슬라, 비관론 고개...나흘째 주가 하락

3분기 실적 발표를 하루 앞둔 테슬라의 주가가 나흘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단기 수익 전망에 대한 비관론이 다시 고개를 든 탓이다. 22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장보다 0.40% 내

n.news.naver.com

나흘째 하락하고 있는 테슬라가 실적에 대한 비관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데....

실적발표 이후에 대처를 해야 할까? 꽤 떨어진 지금, 추매를 할 것인가?

도심항공모빌리티 관련된 조비에비에이션이 간만에 큰폭으로 상승. 12.57%. $6 다시 회복. 길게보는 종목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47240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경신…3대 지수 '혼조세' [뉴욕증시 브리핑]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미 국채 수익률이 급등한 데다 실적 발표 시즌을 앞두고 일부 투자자들이 차익실현에 나선 영향으로 풀이된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

n.news.naver.com

다우 -0.8%, 나스닥 +0.27%, S&P500 -0.18%, RUSSEL2000 -1.57%. 

엔비디아(+4.14%) 영향으로 나스닥은 막판에 상승하며 마무리. 기술주들 대체로 강세를 유지하며, 나스닥 상승 했으나, 다우는 하락.

달러는 강세, 10년물, 30년물 금리는 큰폭으로 상승하고, 달러강세에 엔화 약세를 엔달러 환율은 150을 다시 찍음. 

비트코인은 최근에 가파르게 올라서 일부 하락.

원유는 큰 변화없이 약보합을 기록. 코코아는 좀더 하락하고, 커피가격도 하락. 

최고치를 향하던 금값은 약간 조정. 은, 플래티넘, 쿠퍼 약세. 팔라듐만 강보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997765

 

뉴욕증시, 국채금리 급등·'더딘' 통화완화 우려…혼조 마감

김 현 연합인포맥스 통신원 = 뉴욕증시는 10월 넷째 주의 첫 거래일을 혼조세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이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주시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국채금리가 급등하며 투자 심리를 압박

n.news.naver.com

어떤 이유에서인지 국채금리가 급등을 기록했다. 

트럼프 당선을 선반영하는 걸로 보이는 건지. 

금리인하 속도가 기대에 비해 후퇴를 기록 하는지. 미국 부채 우려가 상승하며 그렇게 된건지.

이것들 모두 심리.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988157

 

뉴욕증시, ASML 충격 방어한 엔비디아…나스닥 0.28%↑ 마감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모두 상승했다. 반도체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강보합으로 장을 막으면서 전날 ASML이 촉발한 충격이 일단은 진정되는

n.news.naver.com

 

美, 우크라이나에 5800억 규모 군수품 지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85435

 

美, 우크라이나에 5800억 규모 군수품 지원

미국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4억2500만 달러(약 5800억 원) 규모의 군수품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백악관은 1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대공 방어 장비, 공대지 탄약, 장갑차 및 주요 군수

n.news.naver.com

 

 

 

다우 +0.79%, 나스닥 +0.28, S&P500 0.47%, RUSSEL2000 +1.65% 상승. 다우지수는 사상최고치 갱신

엔비디아 3.13% 상승하며, 필반지수 다시 끌어올림. 다른 대형 IT주는 일부 하락. 

'급락' 반도체주 안정세…美 엔비디아 주가 3.1% 상승(종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988126

 

'급락' 반도체주 안정세…美 엔비디아 주가 3.1% 상승(종합)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0.21%↑…'실적 쇼크' ASML 6.4%↓ 김태종 특파원 = 네덜란드의 세계적 반도체 장비 업체 ASML의 실적 쇼크 등으로 전날 급락했던 반도체주가 16일(현지시간) 반등했다. 이날

n.news.naver.com

유가는 보합. 커피도 약간 상승. 옥수수 가격 상승. 

10년물 금리 하락 아직 4%대를 유지하지만, 낮은 수준을 유지.

비트코인은 최근 지속 상승. 7만달러를 향해 상승중. 계속 올라갈지. 

반감기 이후 매물이 잠기면서 생기는 현상인지, 트럼프의 당선 확률이 높아지면서 생기는 현상인지.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