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목요일 12년만에 한국시리즈에 올라온 기아를 보기 위해 잠실 구장을 찾았다.
이제 갓 두달 넘은 애기는 처형들에게 맡기고,
회사에 지원장이 없는 사이 일정 담당자에게 부탁해서 현장 퇴근할 수 있게 만들고,
인터넷 티켓 예매는 실패한고로 이틀간 매복 끝에
2만5천원짜리 지정석 두장을 4만원씩에 구해 가지고
한국시리즈 5차전 잠실 첫 경기에 가게 되었다.
혼신의 힘을 다해 응원을 했다.
이용규의 폴짝 번트로 선취점을 따내고 차근차근 한점 한점씩 3점을 따내는 사이
한국시리즈 1차전 승리의 주역 로페즈의 완벽투로 9이닝 무실점 완봉승을 따내는
쾌거를 이룩했다.
발걸음으로 집으로 향했다. 한국시리즈 우승의 감격을 느낄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잠실은 역시 기아의 홈구장이기에 시작전부터 광패들이 구장을 점령하고 있었고
시작후에는 3루쪽 일부를 제외한 구장 전체가 노란색 막대기로 뒤덮였다.
앉은 자리가 외야와 가장 가까운 1루쪽 끝자리였기에 종범성의 모습을 가차이서 볼 수 있었다.
경기중의 모습.
경기가 끝난 뒤 노란풍선이 외야를 뒤덮기 시작했다.
5차전의 승리로 한국시리즈 우승을 확신했지만
우승까지 가는 길은 만만치 않았다.
2년 연속 우승한 sk의 힘은 역시 강했다. 김광현과 전병두, 박경완이 빠져있음에도 불구하고
위기의 순간엔 한타자 한타자마다 투수를 내보내는 전략으로 승리를 지켜내는 sk의 모습은
악착같고 오로지 이기겠다는 일념이 여실히 드러났다. 6차전 2:3 한점차 패.
드디어 7차전까지 오고야 말았다.
7차전은 3차전에서 아쉬움 투구를 보여줬던 구톰슨.
1,2,3회는 최고의 외국인 투수답게 깔끔한 투구를 보여줬다.
4회 첫타자에게 안타를 맞았을 때도 괜찮았는 데 박정권에게 어이없는 2점홈런을 허용하고선
다음타자에게도 맥빠진 안타. 더이상은 없었기에 조금은 아쉬운 교체가 이루어졌다.
한국시리즈에서 아쉬운 선수중 한명.
이후 5대 1까지 점수가 벌어지고서는 마음이 좀 무거워졌다. 게다가 이종범이 허리 부상으로
교체되고 김상훈도 다리부상으로 교체되고 조금 악재가 이어지는게 아닌가 걱정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순간 1,2년차 쪼매난(?) 호랑이들의 반란이 시작됐다.
고참들이 힘을 못 쓰고 좌절하는 순간 나지완의 2점포를 시작으로
올스타전의 사나이, 안타치고 홍런치는 안치홍의 턱관절 밑까지 쫓아가는 1점짜리 홈런포로 5:4.
여기까지 쫓아왔으니 이제 고참들이 제몫을 해줘야할 때.
하지만 드라마를 위해 동점까지만 쫓아가고 말았다.
이것이 7회말까지의 상황.
8회초 1,5차전 승리의 주역 로페즈의 등장. 한이닝을 깔끔하게 마무리하고
9회초엔 마무리 유동훈의 활약.
9회말 첫타자 아웃으로 연장으로 가는게 아닌가 입방정 해설자와 아나운서들의
멘트가 이어지는 가운데 오늘의 히어로 나지완의 등장.
투수는 sk의 채병용. 그동안 그리 잘던지던 채병용의 6구를 통타.
마지막 한방을 쏘아올리는 축포였다.
그 축포는 12년을 기다린 팬들에게 감동을 주는 한방이었으며
바닥까지 내려갔던 선수들에게 구단의 성적과 사기까지 한꺼번에 올려주는
그런 순간이었다. 이제 앞으로 승승장구할 일만 남았다.
즐거운 순간에도 아쉬움은 남듯이 몇가지 아쉬움은 남아있다.
1차전 멋진 활약으로 팀을 우승으로 이끄는 시발점이 되긴 했지만
이후 그닥 좋은 활약을 펼치지 못한 우리의 종범신.
마지막엔 허리통증으로 교체까지.
그리고 6차전에서의 윤석민의 아쉬운 투구.
WBC와 올림픽에서 맹활약했던 큰경기에 강한 이용규의 미미한 활약,
마지막으로 한국시리즈 MVP로 로페즈가 아니라는 사실.
분명 한국시리즈 내내 누구보다 최고의 활약을 펼친 로페즈를 제외하고
순간적인 한방, 분명 한시즌을 날려버릴 한방이긴 했지만..
MVP를 주기엔 조금, 아니 아주 많이 부족한 활약이었다.
그에 반해 로페즈는 1차전 7이닝 3실점에 승리투수, 5차전 9이닝 무실점 완봉승.
마지막 한이닝을 또 다시 완벽히 막아내는 활약을 펼쳤음에도
조금은 외국인에 대한 차별이 아닐까 싶다.
그래도 우승은 좋은 것. 마음껏 축하한다.
이제 갓 두달 넘은 애기는 처형들에게 맡기고,
회사에 지원장이 없는 사이 일정 담당자에게 부탁해서 현장 퇴근할 수 있게 만들고,
인터넷 티켓 예매는 실패한고로 이틀간 매복 끝에
2만5천원짜리 지정석 두장을 4만원씩에 구해 가지고
한국시리즈 5차전 잠실 첫 경기에 가게 되었다.
경기 시작전 인증샷
혼신의 힘을 다해 응원을 했다.
야구 시작전 뾰로통
이용규의 폴짝 번트로 선취점을 따내고 차근차근 한점 한점씩 3점을 따내는 사이
한국시리즈 1차전 승리의 주역 로페즈의 완벽투로 9이닝 무실점 완봉승을 따내는
쾌거를 이룩했다.
오늘의 히어로 로페즈의 경기 시작전 연습 중
포효하는 호랭이. 죽어갈땐 좀 웃긴다
발걸음으로 집으로 향했다. 한국시리즈 우승의 감격을 느낄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잠실은 역시 기아의 홈구장이기에 시작전부터 광패들이 구장을 점령하고 있었고
시작후에는 3루쪽 일부를 제외한 구장 전체가 노란색 막대기로 뒤덮였다.
짜릿한 승리 후 퇴근샷
앉은 자리가 외야와 가장 가까운 1루쪽 끝자리였기에 종범성의 모습을 가차이서 볼 수 있었다.
12년 만에 한국시리즈에 복귀한 종범성
경기중의 모습.
넘버7 종범성의 뒷모습. 멋지다.
경기가 끝난 뒤 노란풍선이 외야를 뒤덮기 시작했다.
승리 축하의 노란 풍선들. ^^
5차전의 승리로 한국시리즈 우승을 확신했지만
우승까지 가는 길은 만만치 않았다.
2년 연속 우승한 sk의 힘은 역시 강했다. 김광현과 전병두, 박경완이 빠져있음에도 불구하고
위기의 순간엔 한타자 한타자마다 투수를 내보내는 전략으로 승리를 지켜내는 sk의 모습은
악착같고 오로지 이기겠다는 일념이 여실히 드러났다. 6차전 2:3 한점차 패.
드디어 7차전까지 오고야 말았다.
7차전은 3차전에서 아쉬움 투구를 보여줬던 구톰슨.
1,2,3회는 최고의 외국인 투수답게 깔끔한 투구를 보여줬다.
4회 첫타자에게 안타를 맞았을 때도 괜찮았는 데 박정권에게 어이없는 2점홈런을 허용하고선
다음타자에게도 맥빠진 안타. 더이상은 없었기에 조금은 아쉬운 교체가 이루어졌다.
한국시리즈에서 아쉬운 선수중 한명.
이후 5대 1까지 점수가 벌어지고서는 마음이 좀 무거워졌다. 게다가 이종범이 허리 부상으로
교체되고 김상훈도 다리부상으로 교체되고 조금 악재가 이어지는게 아닌가 걱정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순간 1,2년차 쪼매난(?) 호랑이들의 반란이 시작됐다.
고참들이 힘을 못 쓰고 좌절하는 순간 나지완의 2점포를 시작으로
올스타전의 사나이, 안타치고 홍런치는 안치홍의 턱관절 밑까지 쫓아가는 1점짜리 홈런포로 5:4.
여기까지 쫓아왔으니 이제 고참들이 제몫을 해줘야할 때.
하지만 드라마를 위해 동점까지만 쫓아가고 말았다.
이것이 7회말까지의 상황.
8회초 1,5차전 승리의 주역 로페즈의 등장. 한이닝을 깔끔하게 마무리하고
9회초엔 마무리 유동훈의 활약.
9회말 첫타자 아웃으로 연장으로 가는게 아닌가 입방정 해설자와 아나운서들의
멘트가 이어지는 가운데 오늘의 히어로 나지완의 등장.
투수는 sk의 채병용. 그동안 그리 잘던지던 채병용의 6구를 통타.
마지막 한방을 쏘아올리는 축포였다.
그 축포는 12년을 기다린 팬들에게 감동을 주는 한방이었으며
바닥까지 내려갔던 선수들에게 구단의 성적과 사기까지 한꺼번에 올려주는
그런 순간이었다. 이제 앞으로 승승장구할 일만 남았다.
즐거운 순간에도 아쉬움은 남듯이 몇가지 아쉬움은 남아있다.
1차전 멋진 활약으로 팀을 우승으로 이끄는 시발점이 되긴 했지만
이후 그닥 좋은 활약을 펼치지 못한 우리의 종범신.
마지막엔 허리통증으로 교체까지.
그리고 6차전에서의 윤석민의 아쉬운 투구.
WBC와 올림픽에서 맹활약했던 큰경기에 강한 이용규의 미미한 활약,
마지막으로 한국시리즈 MVP로 로페즈가 아니라는 사실.
분명 한국시리즈 내내 누구보다 최고의 활약을 펼친 로페즈를 제외하고
순간적인 한방, 분명 한시즌을 날려버릴 한방이긴 했지만..
MVP를 주기엔 조금, 아니 아주 많이 부족한 활약이었다.
그에 반해 로페즈는 1차전 7이닝 3실점에 승리투수, 5차전 9이닝 무실점 완봉승.
마지막 한이닝을 또 다시 완벽히 막아내는 활약을 펼쳤음에도
조금은 외국인에 대한 차별이 아닐까 싶다.
그래도 우승은 좋은 것. 마음껏 축하한다.
반응형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첫 야구장나들이 (0) | 2011.04.16 |
---|---|
이승훈,이상화,모태범 (0) | 2010.04.09 |
기아 타이거즈.. 1위까지 올라가야지.. (0) | 2009.06.14 |
내가 기억하는 이종범 (1) | 2007.07.01 |
이종범 선수 인터뷰 내용 (0) | 2007.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