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뉴욕증시]기업 실적 소화하며 혼조 마감…7일 고용 보고서 주목

다우 : -0.28%(125.65) 44747.6

 

나스닥 : +0.51%(99.66) 19792.0

 

S&P 500 : +0.36%(22.09) 6083.57

 

RUSSELL 2000 : -0.33%(0.75%) 228.65

 

퀄컴 3.7%, 포드 7.5% 하락
아마존 실적 예상 상회…시간외서 2.1% ↓
베센트 "강달러 유지…10년물 금리 낮출 것"
7일 노동부 고용 보고서 주목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6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가 다소 가라앉은 가운데 투자자들이 개별 기업 실적을 소화하면서 시장은 뚜렷한 방향성을 찾지 못했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5.65포인트(0.28%) 하락한 4만4747.63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22.09포인트(0.36%) 오른 6083.57로 사흘 연속 상승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99.66포인트(0.51%) 오른 1만9791.99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0.61%

애플 : +0.32%

엔비디아 : +3.08%

아마존 : +1.13%

구글 : +0.01%

메타 : +1.01%

테슬라 : -1.92%

 

종목별로는 반도체 기업 퀄컴이 3.72% 내렸다. 전날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도 올해 라이선스 매출 성장이 없을 것이란 발표에 매도세가 몰렸다. Arm은 예상을 웃도는 실적에도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3.34% 하락했다. 미국 자동차 업체 포드는 올해 어려운 실적 전망을 하면서 7.49% 급락했다. 담배 회사 필립 모리스는 기대를 웃도는 실적에 10.95% 급등했다. 이날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아마존은 정규장에서 1.13% 올랐다. 아마존은 지난해 4분기 매출 1877억90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 1.86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LSEG 전망치(각각 1873억달러·1.49달러)는 상회했지만 향후 실적 전망이 기대에 못 미치면서 시간외거래에서 미 동부시간 오후 4시43분 현재 2.11% 약세다.

 

10년물 국채금리 : 4.44(+0.41%)

달러 / 엔 : 151.46(+0.06%)

비트코인 : 96542.50(-1.08%)

 

오전엔 노동시장 둔화를 나타내는 고용지표가 공개됐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1월26~2월1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직전 주 수정치(20만8000건) 대비 1만1000건 늘어난 21만9000건으로 집계됐다. 전문가 예상치(21만4000건)보다도 5000건 많았다.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청구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월19~25일 주간 188만6000건을 기록했다. 직전 주 수정치(185만건) 대비 3만6000건, 시장 전망치(187만건) 대비 1만6000건 많은 수준이다.

이번 주 나온 고용 지표가 엇갈리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시선은 7일 노동부가 발표할 1월 고용 보고서로 쏠린다. 고용 보고서는 가장 정확한 노동시장 현황을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지난달 비농업 신규 고용이 15만4000건 증가해 직전월(25만6000건) 대비 크게 감소했을 것으로 예상한다. 실업률은 4.1%로 직전월 수준을 유지했을 전망이다.

채권 금리는 베센트 장관의 발언에도 소폭 상승하고 있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1bp(1bp=0.01%포인트) 오른 4.43%,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일 대비 2bp 상승한 4.21% 선에서 움직이는 중이다.

 

유가 : 70.52(-0.72%)

코코아 : 9975.00(-5.15%)

커피 : 403.25(+1.38)

GOLD : 2880.10(-0.45%)

SILVER : 32.67(-0.04%)

PLATINUM : 1022.50(-0.32%)

COPPER : 4.4585(+0.33%)

PALLADIUM : 996.00(-2.28%)

 

국제유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석유 생산 확대 의지를 거듭 확인하며 하락 마감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보다 0.42달러(0.6%) 내린 배럴당 70.61달러, 글로벌 원유 가격 벤치마크인 브렌트유는 전일 대비 0.32달러(0.4%) 하락한 배럴당 74.29달러에 장을 마쳤다.

 

크립토는 전체가 하락에 가까워짐.

 

테슬라는 하락을 많이 만회하며 마감. -1.02%

 

애플도 지속 마이너스였다가, 막판 플러스로 전환하며 마감. +0.32%

 

팔란티어는 상승을 확대하며 마무리. +9.79%

 

TLT는 10년물이 약하게 상승하며, 약보합 마무리. -0.04%

 

리게티 컴퓨팅은 -3.90%.

 

플러그 파워는 +3.24%

 

EDU는 +2.34%

 

버진 갤럭틱은 오늘도 하락. -1.32%

 

조비 에비에이션도 하락. -2.36%

 

SOXL도 하락폭을 줄이며 마무리. -0.04%

 

TGL은 -1.13%

 

팔란티어가 어제 3% 하락했다가 다시 큰폭으로 상승.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고맙다 엔비디아" 일제 상승…알파벳 실적 부진·관세 위협 눌러

다우 : +0.71%(317.24) 44873.3

나스닥 : +0.19%(38.31) 19692.3

S&P 500 : +0.39%(23.60) 6061.48

RUSSELL 2000 : +1.09%(2.47) 229.40

 

엔비디아 5%대 급등에 반등 성공
알파벳 실적 부진, 中 빅테크 보복 우려 덮어
고용 지표 혼조…7일 고용 보고서 주목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5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 실적 부진에 더해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 우려로 하락하던 시장은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 등에 힘입어 반등에 성공했다. 엔비디아는 5% 넘게 치솟았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17.24포인트(0.71%) 뛴 4만4873.28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23.6포인트(0.39%) 상승한 6061.48,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8.31포인트(0.19%) 오른 1만9692.33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0.22%

애플 : -0.14%

엔비디아 : +5.21%

아마존 : -2.43%

구글 : -6.94%

메타 : +0.1%

테슬라 : -3.58%

 

종목별로는 엔비디아가 5.35% 뛰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7.99% 상승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인 블랙웰을 탑재한 AI 데이터 센터 시스템을 공개할 것이란 소식에 두 회사 주가가 치솟았다. 반면 전날 실망스러운 클라우드 매출을 발표한 알파벳은 6.94% 급락했다. 반도체 기업 AMD도 전날 시장 기대에 못 미치는 데이터센터 매출 발표로 6.27% 약세를 기록했다. 애플은 미국과 관세 전쟁을 개시한 중국이 앱스토어 수수료와 관행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준비한다는 소식에 0.14% 내렸다.

 

10년물 국채금리 : 4.422(-2.02%)

달러 / 엔 : 152.54(-0.03%)

비트코인 : 96676.30(-1.39%)

 

채권 금리는 내리고 있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8bp(1bp=0.01%포인트) 하락한 4.42%,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일 대비 2bp 떨어진 4.18% 선에서 움직이는 중이다.

 

유가 : 71.15(+0.17%)

코코아 : 10507.00(-3.29%)

커피 : 400.00(+4.34%)

GOLD : 2884.50(-0.29%)

SILVER : 32.74(-0.72%)

PLATINUM : 1017.50(-0.81%)

COPPER : 4.4390(-0.11%)

PALLADIUM : 1016.00(-0.31%)

 

크립토는 상당수 하락.

 

이날 오전 발표된 미국의 지난해 12월 무역수지 적자는 984억달러로 2년9개월 만에 최대 수준을 나타냈다. 적자폭이 전월(789억달러) 대비 24.7% 늘었고, 전문가 예상치(965억달러)도 크게 상회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수입을 늘리면서 무역 적자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 경기 호황 속에 달러 강세로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수입품 소비를 늘린 것도 무역 적자 확대를 낳았다.

민간 고용 증가 규모는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했다. 미국 민간 노동시장 조사업체 ADP가 발표한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월 미국의 민간 부문 비농업 신규 고용은 18만3000건 늘었다. 지난해 12월(17만6000건 증가)은 물론 시장 예상치(14만8000건)를 모두 상회했다. 전날 나온 구인 건수가 예상 밖으로 감소, 노동시장 둔화 신호를 보내면서 고용 지표가 엇갈리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7일 노동부가 발표할 1월 고용 보고서에서 보다 정확한 미국 고용시장 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지난달 비농업 신규 고용이 15만4000건 증가해 직전월(25만6000건) 대비 크게 감소했을 것으로 예상한다. 실업률은 직전월과 같은 4.1%로 전망된다.

 

테슬라는 -3.58%

애플은 -0.14%

리게티 컴퓨팅은 +0.80%

조비 에비에이션은 +0.37%

버진갤럭틱은 -4.00%

플러그 파워는 -5.13%

팔란티어는 -2.38%

EDU는 -2.48%

TGL은 -2.20%

SOXL 은 +5.52%

TLT는 +1.65%.

 

가진 종목중 더 많은 종목이 하락했지만, 좀더 비중이 있는 종목이 오를 경우엔 전체 계좌는 큰 타격이 없다. 

그래서 종목 하나하나에 일희일비 하기보다는 전체를 보면서, 필요시 리밸런싱을 잘하면서 대응을 해야 한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관세는 협상용" 미·중 무역전쟁 우려에도 일제 상승…신중론도 팽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41498

 

[뉴욕증시]"관세는 협상용" 미·중 무역전쟁 우려에도 일제 상승…신중론도 팽배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4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미·중 2차 무역전쟁 재점화 우려에도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카드를 '협상용'으로 평가하며 주식 매수 행렬

n.news.naver.com

다우 : +0.30%(134.13) 44556.0

나스닥 : +1.35%(262.06) 19654.0

S&P 500 : +0.72%(43.31) 6037.88

RUSSELL 2000 : +1.38%(3.10) 226.93

 

美, 中에 추가 관세 10%…中도 즉각 보복
관세 '협상용' 분석, 미·중 협상 기대 ↑
일각선 "관세 위협 과소평가 안 돼" 지적도
구글 4분기 매출 예상 하회…시간외서 7% ↓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4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미·중 2차 무역전쟁 재점화 우려에도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카드를 '협상용'으로 평가하며 주식 매수 행렬을 이어갔다.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했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4.13포인트(0.3%) 오른 4만4556.04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43.31포인트(0.72%) 상승한 6037.88,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62.06포인트(1.35%) 뛴 1만9654.02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0.35%

애플 : +2.10%

엔비디아 : +1.71%

아마존 : +1.95%

구글 : +2.50%

메타 : +0.96%

테슬라 : +2.22%

 

종목별로는 미국의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팔란티어가 23.99% 급등했다. 전날 예상을 넘어서는 실적 전망을 내놓으면서 매수세가 몰렸다. 엔비디아는 1.71% 올랐고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는 각각 2.1%, 0.35% 상승했다. 장 마감 후 실적을 공개한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정규장에서 2.5% 올랐다. 알파벳은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매출이 964억70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이 2.15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LSEG가 집계한 실적 전망치(각각 965억6000만달러·2.13달러)와 비교해 매출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알파벳은 시간 외 거래에서 미 동부시간 오후 4시33분 현재 6.65% 약세다.

 

10년물 국채금리 : 4.513(-0.66%)

달러 / 엔 : 154.35(+0.01%)

비트코인 : 97114.60(-2.99%)

 

시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크게 흔들리지 않으면서 안전자산인 달러는 내리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0.95% 하락한 107.84에서 움직이는 중이다.

국채 금리는 하락세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2bp(1bp=0.01%포인트) 하락한 4.51%,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일보다 4bp 떨어진 4.21%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유가 : 72.75(-0.56%)

코코아 : 10786.00(-1.15%)

커피 : 383.50(+0.68%)

GOLD : 2874.20(+0.80%)

SILVER : 32.88(+1.09%)

PLATINUM : 1011.40(+0.89%)

COPPER : 4.3625(+1.32%)

PALLADIUM : 1011.50(-3.22%)

 

국제유가는 미·중 관세 전쟁 우려와 트럼프 대통령의 대(對)이란 "최대 압박" 재개 영향을 평가하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보다 0.46달러(0.63%) 내린 배럴당 72.7달러, 글로벌 원유 가격 벤치마크인 브렌트유는 전일 대비 0.24달러(0.32%) 오른 배럴당 76.2달러에 장을 마쳤다.

 

테슬라는 관세 영향이 줄어들면서 상승. +2.22%

 

리게티 컴퓨팅은 당일 변동이 심했음. 15달러까지 갔다가 다 내려옴. +1.86%

 

10년물 금리 하락으로 TLT는 상승. +0.31%

 

플러그 파워는 +4.84%.

 

조비 에비에이션은 하락 마감. -0.50%

 

EDU는 -0.86%. 중국은 기술주들은 올랐던데..

 

버진 갤럭틱. 간만에 상승. +4.17%

 

SOXL은 +2.50%인데 아쉽네.

 

애플도 다시 상승으로.. +2.10%

 

트레져글로벌은 하락 마감. -0.27%.

 

오늘의 히어로 팔란티어. 시간외보다도 더 상승하며 마감. +23.99%

실적과 가이던스까지 뭐하나 흠잡을 데가 없었던 팔란티어.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멕시코·캐나다 관세 유예에 안도…롤러코스터 탄 뉴욕증시[월스트리트in]

다우 : -0.28%(122.75) 44421.9

나스닥 : -1.20%(234.49) 19392.0

S&P 500 : -0.76%(45.96) 5994.57

RUSSELL 2000 : -1.17%(2.65) 223.83

 

멕시코·캐나다 관세 시행 앞두고 장초반 급락
유예소식 전해지며 낙폭 축소…일부 안도세
이제 중국 주시…트럼프 "24시간 내 대화할 것"
낙폭 줄였지만…자동차·식음료·기술주 줄줄이↓
치솟던 국제유가…소폭 상승으로 마감

 

뉴욕증시 3대지수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 대한 관세를 한달 간 유예하기로 전격 합의하면서 낙폭을 상당히 줄인 채 마감했다. 트럼프 관세가 협상용이라는 관측이 강해지면서 투자자들은 일부 안도했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은 남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쥐스탱 트뤼도 총리와도 오후에 추가로 통화를 했고, 트뤼도 총리 역시 한달간 관세 유예조치를 적용받은 이후 장마감 이후 거래에서 주가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24시간내 중국과 대화에 나서기로 한 만큼 중국에 대한 10% 추가관세도 4일부터 시행될지 전세계 투자자가 주목하고 있다.

 

멕시코 관세 한달간 유예에 일부 안도…이제 중국 주시

 

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28% 내린 4만4421.91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76% 하락한 5994.57,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1.20% 떨어진 1만9391.96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오는 4일부터 멕시코에 부과하기로 한 25% 관세 계획을 한달간 유예하기로 하면서 급격히 얼어붙었던 투심이 일부 완화됐다. 멕시코가 펜타닐 유입과 불법 이민을 차단하기 위해 멕시코 북부 국경을 강화하기로 합의하면서다. 양측은 한달간 협상을 통해 관세 부과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도 전화 통화를 한 이후 한달간 관세를 유예하기로 했다.

 

마이크로소프트 : -1.00%

애플 : -3.39%

엔비디아 : -2.84%

아마존 : -0.11%

구글 : -1.44%

메타 : +1.20%

테슬라 : -5.17%

 

여전히 관세 불확실성 때문에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강해지면서 기술주들이 대거 하락했다. 애플(-3.39%), 마이크로소프트(-1.0%), 엔비디아(-2.84%), 아마존(-0.11%), 알파벳(-1.44%), 테슬라(-5.17%) 등 하락 마감했다. 테슬라는 프랑스, 스웨덴, 노르웨이에서 테슬라 등록 대수가 급감했다는 소식이 더 영향을 미쳤다. 1월 프랑스의 테슬라 등록대수는 전년동월대비 63% 급감했고, 스웨덴과 노르웨이는 각각 44%, 3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년물 국채금리 : 4.543(-0.57%)

달러 / 엔 : 154.78(+0.06%)

비트코인 : 101694.50(+9.61%)

 

반면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달러는 치솟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49% 오른 108.90을 기록 중이다. 장 초반에는 3주래 최고치인 109.88을 기록했다. 다만 멕시코 관세를 유예한 소식에 상승폭을 일부 줄였다. 치솟던 멕시코페소는 하락반전해 1달러 당 20.4196페소을 기록 중이다. 전 거래일 대비 1.32% 하락했다. 캐나다달러는 상승폭을 줄여 달러대비 1.4524캐나다달러를 기록 중이다.

다른 안전 자산인 미 국채에 수요가 몰리면서 미 국채금리 역시 떨어지고 있다(국채가격 상승).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3.4bp(1bp=0.01%포인트) 떨어진 4.533%를 기록 중이다.

 

유가 : 72.33(-1.13%)

코코아 : 11007.00(+0.18%)

커피 : 384.45(+1.75%)

GOLD : 2850.70(-0.22%)

SILVER : 32.55(+0.07%)

PLATINUM : 1002.80(0.03%)

COPPER : 4.5505(+0.58%)

PALLADIUM : 1050.50(+0.52%)

 

치솟던 국제유가…소폭 상승으로 마감

치솟던 국제 유가도 급등분을 대거 반납한 이후 소폭 상승 마감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72.53달러 대비 0.63달러(0.87%) 상승한 배럴당 73.16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0.29달러(0.38%) 상승한 75.96달러를 기록했다.

 

크립토는 주말에 빠졌다가 상승.

 

테슬라 큰 폭으로 하락. 5.17%

 

애플 큰 폭으로 하락. -3.39%

 

금리 하락하며 TLT 상승. 0.46%

 

플러그파워는 보합

 

EDU는 강보합. +0.21%

 

조비 에비에이션 하락. -2.42%

 

버진 갤럭틱 또 하락. -4.20%

 

SOXL은 큰폭으로 하락. -5.22%

 

리게티 컴퓨팅은 상승 마감. +2.28%

 

TLG도 하락. -3.70%

 

팔란티어는 상승마무리. 시간외 실적 발표.

 

팔란티어, 놀라운 성장세에 깜짝 실적…시간외 주가 17% 급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48188

 

팔란티어, 놀라운 성장세에 깜짝 실적…시간외 주가 17% 급등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가 3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시장 컨센서스를 웃도는 지난해 4분기 실적과 향후 매출액 가이던스를 발표해 시간외거래에서 주가가 17% 이상 급등하고 있다. 팔란티어는 이

n.news.naver.com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가 3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시장 컨센서스를 웃도는 지난해 4분기 실적과 향후 매출액 가이던스를 발표해 시간외거래에서 주가가 17% 이상 급등하고 있다.

팔란티어는 이날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에 일회성 비용을 제외한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14센트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LSEG가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전망치 11센트를 상회하는 것이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6% 늘어난 8억2800만달러로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전망치 7억7600만달러를 웃돌았다. 지난해 전체 매출액은 29%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에 팔란티어의 미국 상업용 매출액은 2억14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4% 급증했고 미국 정부용 매출액은 3억43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5% 늘었다.

팔란티어는 향후 실적 가이던스도 시장 예상을 넘어섰다. 팔란티어는 올 1분기 매출액이 8억5800만달러에서 8억6200만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가이던스 하단조차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전망치 7억9900만달러를 상회하는 것이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강행에 급락 전환…다우 0.75%↓ 마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185863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강행에 급락 전환…다우 0.75%↓ 마감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장 초반 낙관적인 분위기에서 급전직하하며 동반 하락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1일부터 예정대로 캐나다와 멕

n.news.naver.com

다우 : -0.75%(337.47) 44544.7

나스닥 : -0.28%(54.31) 19627.4

S&P 500 : -0.50%(30.64) 6040.53

RUSSELL 2000 : -0.90%(2.05) 226.48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장 초반 낙관적인 분위기에서 급전직하하며 동반 하락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1일부터 예정대로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됐다.

 

3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7.47포인트(0.75%) 밀린 44,544.66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0.64포인트(0.50%) 떨어진 6,040.53, 나스닥종합지수는 54.31포인트(0.28%) 내린 19,627.44에 장을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0.02%

애플 : -0.67%

엔비디아 : -3.67%

아마존 : +1.30%

구글 : +1.47%

메타 : 0.32%

테슬라 : +1.08%

 

애플이 전날 장 마감 후 작년 4분기 호실적을 낸 것도 낙관적인 흐름에 일조했었다.

애플은 작년 4분기 매출과 주당순이익(EPS)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아이폰 판매는 예상에 못 미쳤으나 인공지능(AI) 관련 익스포저(위험 노출)가 적다는 점이 오히려 강점으로 작용하며 이날 한 때 주가가 4% 이상 뛰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의 관세 강행 방침이 재확인되면서 아이폰의 수출 타격을 우려한 시장은 애플에 매도 우위로 대응했다.

엔비디아는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이날 오후 트럼프와 백악관에서 회동할 것이라는 소식에 기대감이 커졌으나 매도세에 휩쓸려 -3.67%로 마감했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테슬라, 메타, 알파벳은 1% 안팎의 강세로 마무리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569(+1.26%)

달러 / 엔 : 155.17(+0.57%)

비트코인 : 102334.90(-1.57%)

 

연준이 주시하는 고용비용지수(ECI)는 작년 4분기 168.3을 기록했다. 전 분기보다 0.9%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다.

미셸 보먼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이사는 이날 공개 발언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상승 위험은 계속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는 "근원 인플레이션은 올해는 더 완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인플레이션과 고용 목표 달성의 진행 상황을 신중하게 평가할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연준의 2% 목표치를 향해 인플레이션이 전진하고 있다는 점에 안도한다며 "인플레이션이 하락 경로를 유지한다면 앞으로 12~18개월 후에는 현재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의 기준금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가 : 73.81(+1.48%)

코코아 : 10991.00(-1.93%)

커피 : 377.90(+1.21%)

GOLD : 2831.50(-0.48%)

SILVER : 32.24(-0.79%)

PLATINUM : 1043.90(+1.65%)

COPPER : 4.2730(-0.80%)

PALLADIUM : 1070.00(+5.98%)

 

유가는 상승하고 금값은 일부 조정. 경기를 반영하는 구리는 큰 변동성은 없고, 최근 팔라듐의 상승세가 가파르다. 

 

비트코인은 하락하고, 일부 알트코인들은 상승. 하지만 대부분 약세.

 

테슬라는 좀 더 큰 폭으로 상승하다가 윗꼬리 길게 만들며 1% 상승으로 마감.

 

애플 실적발표 후 큰폭 상승하다가 마이너스로 전환하며 마무리. -0.67%

 

10년물 금리가 상승하며, TLT는 하락 전환. -0.66%

 

플러그파워는 약한 상승을 이어가다 -3.12%. 

 

버진갤럭틱은 어제의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강보합 정도로 마무리. +0.42%

 

리게티컴퓨팅의 움직임이 발생해서 일부 매도를 걸어놨는데, 팔리지는 않고, 아쉽게 마무리. +7.07%

 

팔란티어는 윗꼬리를 만들며 아쉬운 마무리. +1.56%

 

조비에비에이션은 하락 마감하지 않은 것만도 다행. +0.36%

 

EDU는 오늘은 장중내내 약보합 상태로 거래됨. -1.44%

 

SOXL은 결국 하락하며 마감. -0.48%

 

TGL도 매도 걸어놨는데 안팔리고 장 마감. +3.22%

 

장 시작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상승하던 시장이 백악관의 기자간담회에서 관세강행방침이 나오며 하락으로 전환. 

전반적으로 윗꼬리를 길게 만들면서 하락 마무리 했다. 그나마 +를 지켜낸 것만으로도 다행이다 싶을 정도. 

지금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상승보다는 아마도 이러한 변동성 장세가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대응을 잘해야 하는 시장이 될 거 같은데.. 대응을 잘 해야 할지, 잘 지켜보아야할지..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