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2025  이전 다음

소비 부진에 금리인하 기대↑…10년물금리 4.5% 하회·나스닥 0.4%↑[월스트리트in]

다우 : -0.37%(165.35) 44546.1

 

나스닥 : +0.41%(81.13) 20026.8

 

S&P 500 : -0.01%(0.44) 6114.63

 

RUSSELL 2000 : -0.08%(0.17) 225.97

 

트럼프 관세 일단 지켜보자…4월1일 이후 관건
1월 소매판매 0.9%↓…7월 금리인하 가능성↑
달러도 올들어 최저치…국제유가 사흘째 하락

 

뉴욕증시가 거의 변동없이 보합세로 마쳤다. 소매판매가 예상보다 부진하게 나오면서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며 국채금리가 4.5% 이하로 뚝 떨어졌다. 기술주에 대한 투심을 자극하며 나스닥지수만 상승마감했다.

1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37% 내린 4만4546.08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01% 하락한 6114.63,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0.41% 오른 2만26.77을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 : -0.51%

애플 : +1.27%

엔비디아 : +2.63%

아마존 : -0.73%

구글 : -0.54%

메타 : +1.11%

테슬라 : -0.03%

 

트럼프 관세 일단 지켜보자…소비부진에 금리인하 기대감↑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조심스럽게 지켜보는 분위기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각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에 상응하는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즉각 시행하지 않고 4월1일 이후 각국별로 협상에 나설 것을 시사했다. 일률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관세보다는 수위가 약화된 점은 긍정적이지만, 4월 1일 이후 트럼프 행정부가 어떤 관세정책을 꺼내들지 불확실성이 남아있다.

미국 경제활동의 3분의2를 차지하는 소비가 주춤하는 데이터가 나오면서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살아나고 있는 분위기다.

 

10년물 국채금리 : 4.472(-1.17%)

달러 / 엔 : 152.28(-0.33%)

비트코인 : 97152.00(+0.44%)

 

10년물금리 4.5% 하회…달러도 올들어 최저치

국채금리도 뚝 떨어졌다. 오후 4시기준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4.7bp 빠진 4.478%를,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금리는 5bp 하락한 4.261%를 기록 중이다.

국채금리가 하락하자 기술주들이 부각 받았다. 애플(1.27%), 엔비디아(2.63%), 메타(1.11%) 등이 상승했다. 메타는 20일 연속 상승 중이다. 컴퓨터 제조업체인 델 테크놀로지는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AI) 업체인 xAI와 50억달러 이상의 서버거래가 임박했다는 소식에 3.74% 급등했다.

달러도 약세로 돌아서며 올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거래일 대비 0.5% 하락한 106.78을 기록 중이다. 달러·엔 환율도 0.32% 하락한 152.31엔을 기록 중이다(엔화강세).

 

유가 : 70.57(-1.01%)

코코아 : 2893.70(-1.78%)

커피 : 406.75(-4.32%)

GOLD : 2893.70(-1.78%)

SILVER : 32.66(-0.22%)

PLATINUM : 1011.00(-3.09%)

COPPER : 4.6375(-2.94%)

PALLADIUM : 992.00(-2.75%)

 

국제유가는 사흘연속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0.55달러(0.77%) 하락한 배럴당 70.74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0.28달러(0.37%) 떨어진 74.74달러를 기록했다.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이날 독일 뮌헨에서 만나 종전 방안을 논의했다는 소식이 유가를 끌어내린 것으로 보인다.

 

크립토는 혼조.

 

테슬라는 약보합 -0.03%

 

애플은 강세 +1.27%

 

아마존은 약세 -0.73%

 

리게티컴퓨팅은 약세 -3.59%

 

버진갤럭틱은 강세 +2.34%. 

확실히 턴하기 시작인가?

 

플러그 파워는 보합 0.00%

 

SOXL은 강보합 +0.28%

 

TLT는 강보합 +0.53%

 

조비에비에이션은 강세 +3.30%

 

팔란티어는 강세 +1.06%

 

빅베어AI는 큰 폭으로 하락 -7.77%

 

EDU는 +3.76%

 

메타는 강세 +1.11%

 

'하락은 잊었다' 메타 주가 또 올라…20거래일 연속 상승

빅베어 AI홀딩스 매수.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상호관세 즉각시행 피했다"…안도한 뉴욕증시[월스트리트in]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43549

 

"상호관세 즉각시행 피했다"…안도한 뉴욕증시[월스트리트in]

13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무역시스템을 뒤흔들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한 로드맵을 발표했지만, 즉각 시행을 하지 않고 유예기간을 두면

n.news.naver.com

다우 : +0.77%(342.87) 44711.4

 

나스닥 : 1.50%(295.69) 19945.6

 

S&P 500 : +1.04%(63.10) 6115.07

 

RUSSELL 2000 : 1.13%(2.52) 226.14

 

상호관세 4월1일 이후 나올 예정…‘협상 카드’ 평가
PPI 예상치 웃돌았지만…연준 중시 지표엔 제한적
10년물 4.53%로 뚝…달러도 약세로 돌아서
매그7 일제히 상승…테슬라 5.8%·엔비디아 3.2%↑

 

13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무역시스템을 뒤흔들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한 로드맵을 발표했지만, 즉각 시행을 하지 않고 유예기간을 두면서 투자자들은 안도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예상보다 오르긴 했지만, 연방준비제도가 중시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완만한 상승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 것도 투심을 고조시켰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77% 오른 4만4711.43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04% 상승한 6115.07,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1.50% 오른 1만9945.64를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 : +0.37%

애플 : +1.97%

엔비디아 : +3.17%

아마존 : +0.63%

구글 : +1.32%

메타 : +0.44%

테슬라 : +5.77%

 

매그7 일제히 상승…테슬라 5.8%·엔비디아 3.2%↑

매그니피센트7은 일제히 상승했다. 테슬라가 5.77% 급등한 가운데 엔비디아도 3.16% 오르며 강세를 보였다. 테슬라는 일론 머크스 최고경영자(CEO)의 정치 참여에 따른 잡음에 따라 최근 주가가 급락했지만,트럼프 대통령이 무한한 신뢰를 보내면서 자율주행 규제 완화 등 기대감이 다시 커진 분위기다. 테슬라 강세론자로 유명한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는 전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스크의 정부 내 역할이 큰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엔비디아는 컴퓨터업체 IT솔루션을 제공하는 휴렛팩커드가 엔비디아의 차세대칩인 블랙웰을 사용한 첫 솔루션을 출시했다는 소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공지능(AI) 기대주로 꼽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케팅 업체인 앱로빈은 전날 호실적을 발표한 뒤 24% 급등했다.

이외 애플(1.97%), 마이크로소프트(0.37%), 아마존(0.63%), 알파벳(1.32%), 메타(0.44%) 모두 상승했다. 메타는 무려 19일 연속 상승세를 타고 있다. 팀쿡 애플 최고경영자는 이날 트위터에서 “2월19일 신제품을 만날 준비가 됐다”고 밝히면서 애플 주가를 끌어올렸다. 외신들은 애플이 보급형 아이폰SE 4 출시로 예상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526(-2.42%)

달러 / 엔 : 152.78(-0.01%)

비트코인 : 96489.80(-0.43%)

 

10년물 4.53%로 뚝…달러도 약세로 돌아서

이에 따라 전날 급등한 국채금리도 재빨리 안정세로 돌아섰다. 글로벌 국채 벤치마크인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10.1bp(1bp=0.01%포인트) 하락한 4.533%를 기록 중이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도 5.4bp 빠진 4.311%까지 내려갔다.

달러 역시 약세로 돌아섰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79% 빠진 107.09를 기록 중이다.

유가 : 71.51(+0.20%)

코코아 : 10525.00(+3.89%)

커피 : 419.35(-0.20%)

GOLD : 2957.20(+0.97%)

SILVER : 32.98(+0.58%)

PLATINUM : 1048.30(-0.02%)

COPPER : 4.7845(+1.70%)

PALLADIUM : 1025.00(3.82%)

 

도매물가 예상치 웃돌았지만…연준 중시 PCE 영향 제한적

미국의 1월 도매물가가 소비자물가에 이어 예상치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지만 투자자들은 크게 개의치 안았다. 연준연방준비제도가 중시하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물가지수에 영향을 주는 일부 품목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화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미 노동통계국은 지난 1월 도매물가인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대비 0.4%, 전년동월 대비 3.5% 올랐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0.3%, 3.4%)를 웃도는 수치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3.6% 올랐다.

도매물가가 오른 것은 조류 인플루엔자가 계속 발생하면서 계란가격이 전월대비 4.4% 급등한 것을 포함해 식품가격이 1.1% 상승한 탓이다. 에너지 가격 역시 1.7% 올랐다.

투자자들은 전체 PPI보다는 연준이 선호하는 PCE물가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품목에 주목하고 있다. 의료 진료비는 0.5% 하락했고, 국내 항공료는 0.3%, 중개서비스 물가도 2.2% 하락하면서 PCE물가 압력은 오히려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0.6% 치솟았던 포트폴리오 관리비용도 0.4%로 소폭 둔화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12일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서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아직 이르지 못했다고 말하면서도 연준은 PCE물가에 더 집중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1월 PCE물가는 오는 28일 발표될 예정이다.

캐피탈 이코노믹스의 수석 북미 이코노미스트인 폴 애쉬워스는 메모에서 “연준이 선호하는 PCE 가격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전반적으로 매우 안정적이었다”며 “핵심 PCE는 여전히 목표치인 2%를 훨씬 상회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물가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어제보다 나은 소식이었다”고 평가했다.

 

크립토는 중구난방.

 

테슬라 +5.77%

테슬라 주가 반등 6%↑…'머스크 영향력' 기대감 재부상(종합)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전기차업체 테슬라 주가가 반등해 13일(현지시간) 이틀째 강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날보다 5.77% 오른 355.9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1일 328.50달러로 마감해 닷새 연속 하락했던 테슬라 주가는 12일 336.51달러로 2.44% 오른 데 이어 이날 345.00달러로 출발해 점점 상승 폭을 키웠다.

월가에서는 머스크 CEO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효율부(GODE) 수장으로서 영향력을 확대하며 테슬라에 필요한 자율주행 등 규제 완화를 앞당길 것이란 기대감이 재부상하고 있다고 미 언론은 전했다.

 

애플 관세영향으로 +1.97%

 

아마존 +0.63%

 

리게티컴퓨팅 +4.26%

 

플러그 파워는 +6.67%

 

버진갤럭틱은 +4.15%

 

조비에비에이션 +3.41%

 

TLT는 국채금리 하락하며 상승 +1.66%

 

SOXL +3.38%

 

EDU +2.30%

 

팔란티어는 하루종일 티격태격하다가 상승마감 +0.44%

리게티 컴퓨팅 60주 매도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1월 CPI '깜짝 상승' 경계감에 다우·S&P ↓…美 국채 금리 급등

다우 : -0.50%(225.09) 44368.6

나스닥 : +0.03%(6.10) 19650.0

S&P 500 : -0.27%(16.53) 6051.97

RUSSELL 2000 : -0.92%(2.08) 223.62

 

1월 CPI, 전년比 3% 상승 '예상 상회'
Fed 금리 인하 재개 늦어질 듯
美 국채 10년물 금리 급등
우크라戰 종전 기대에 국제유가 2%대 하락
13일 PPI, 14일 소매판매 발표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12일(현지시간) 보합권에서 혼조세로 마감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다시 3%대에 진입,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재개 시점이 더욱 늦춰질 것이란 전망에 투자자들의 경계감이 커졌다. 미 국채 금리는 10년물 기준 10bp(1bp=0.01%포인트)가량 치솟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을 즉시 개시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에 국제유가는 2% 넘게 하락했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25.09포인트(0.5%) 하락한 4만4368.56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6.53포인트(0.27%) 내린 6051.9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09포인트(0.03%) 오른 1만9649.95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0.58%

애플 : +1.83%

엔비디아 : -1.25%

아마존 : -1.65%

구글 : -0.88%

메타 : +0.78%

테슬라 : 2.44%

 

종목별로는 엔비디아가 1.26%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0.71% 약세를 나타냈다. 테슬라는 2.99% 올랐다. CVS 헬스케어는 지난해 4분기 실적 호조에 17.1% 치솟았다.

 

10년물 국채금리 : 4.637(+2.20%)

달러 / 엔 : 154.32(-0.06%)

비트코인 : 97543.80(2.15%)

 

투자자들은 이번 주 발표를 앞둔 경제 지표를 주목하고 있다. 13일에 공개되는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2% 올라 직전월 상승률을 유지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발표 예정인 1월 소매판매는 전월과 같은 수준을 기록해 증가세가 멈췄을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4% 증가했었다.

인플레이션 깜짝 상승으로 국채 금리는 치솟고 있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9bp 뛴 4.62%,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전일보다 6bp 오른 4.35%를 기록 중이다.

유가 : 71.21(-2.88%)

코코아 : 10155.00(-1.43%)

커피 : 418.25(+3.42%)

GOLD : 2929.00(-0.12%)

SILVER : 32.71(+1.18%)

PLATINUM : 1045.70(+0.97%)

COPPER : 4.6920(+1.98%)

PALLADIUM : 988.00(-0.43%)

 

국제유가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날 통화해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을 즉시 개시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에 하락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보다 1.95달러(2.66%) 내린 배럴당 71.37달러, 글로벌 원유 가격 벤치마크인 브렌트유는 전일 대비 1.82달러(2.36%) 하락한 배럴당 75.18달러에 장을 마쳤다.

 

모처럼 크립토는 모두 상승

 

파월 의장은 이날 미 의회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출석해 "물가 목표에 근접했지만 아직 도달하지는 못했다"며 "오늘 발표된 물가 지표 역시 같은 상황을 말해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분간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혀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신중한 통화완화 기조를 확인했다.

오스턴 굴즈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1월 CPI 지표로 "정신이 번쩍 든다"며 "만약 이 같은 결과가 몇 달간 이어지면 Fed의 임무가 아직 완수되지 않았다는 점에 의문의 여지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같은 날 공개 행사에서 추가 금리 인하는 "당초 예상보다 더 늦춰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시장도 금리 인하 기대를 빠르게 낮추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은 Fed가 상반기 내내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67.2% 반영 중이다. 일주일 전 34.1%에서 두 배로 치솟았다. 올해 내내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일주일 전 10.4%에서 28.7%로 올라갔다.

모건스탠리 웰스 매니지먼트의 엘렌 젠트너 수석 전략가는 "더 높이, 더 오래 지속되는 (인플레이션) 상승세가 좀 더 길어질 수 있다"며 "Fed는 인플레이션이 하락한다는 신호를 기다려왔지만 오늘 아침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시장은 상황이 바뀔 때까지 추가 금리 인하에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고 분석했다.

테슬라도 모처럼 상승 +2.44%

 

애플도 상승 +1.83%

 

아마존은 하락 -1.65%

 

리게티 컴퓨팅은 상승 +6.62%

 

버진갤럭틱은 보합 0.00%

 

플러그파워 상승 +1.85%

 

TLT는 큰폭하락 -1.36%(국채금리 급등 영향)

 

SOXL은 강보합 +0.51%

 

EDU는 어제의 상승분을 반납 -4.18%

 

조비에비에이션은 약보합 -0.41%

 

TGL은 상승 +4.43%

 

팔란티어 상승 +4.24%.

하루 내리면 다음날은 꼭 상승하는 모습. 젼형적으로 강한 주식의 모습을 보이는 듯. 팔란티어는 지속 보유.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 보합…'머스크 산만함'에 테슬라 6.3%↓[월스트리트in]

다우 : +0.28%(123.24) 44593.6

 

나스닥 : -0.36%(70.41) 19643.9

 

S&P 500 : +0.03%(2.06) 6088.50

 

RUSSELL 2000 : -0.58%(1.32) 225.70

 

파월 “금리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시장 영향 적어
트럼프 관세·파월 발언 시장엔 큰 영향 못 미쳐
국채금리 상승·달러 약세…유가 사흘째 상승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발언을 소화하면서 투자 방향을 찾았지만, 3대 지수는 거의 큰 변동이 없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28% 오른 4만4593.65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03% 오른 6068.50,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0.36% 빠진 1만9643.86을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 : -0.19%

애플 : +2.18%

엔비디아 : 0.58%

아마존 : -0.16%

구글 : -0.60%

메타 : +0.34%

테슬라 : -6.34%

 

테슬라 5거래일째 하락…“머스크 산만함” 우려

애플은 알리바바와 손잡고 중국 내 아이폰 사용자를 위한 인공지능(AI) 기능을 개발한다는 더 인포매이션 보도 이후 2.18% 상승했다. 메타는 0.33% 소폭 상승했고, 이외 엔비디아(-0.58%), 마이크로소프트(-0.19%), 아마존(-0.16%), 알파벳(-0.6%) 등 소폭하락했다. 테슬라는 이날 6.34% 하락하며 5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정치적 행보 등이 테슬라의 주가를 흔드는 분위기다. 특히 머스크 CEO가 이끄는 투자자 컨소시엄이 오픈AI의 지배지분을 974억달러(약 141조원)에 인수하려고 제안했다는 소식이 주가를 끌어내렸다. 머스크의 오픈AI 인수 제안이 투자자들에게 과거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하던 시절을 떠올리게 하며 불안감을 더하고 있다. 오펜하이머의 애널리스트 콜린 러쉬는 화요일 메모에서 머스크의 오픈AI 인수 제안은 “테슬라의 과제에서 벗어난 산만함”이라고 평가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537(+0.98)

달러 / 엔 152.42(-0.04%)

비트코인 : 96245.50(-1.82%)

 

국채금리 상승·달러 약세…유가 사흘째 상승

국채금리는 소폭 상승했다. 글로벌 국채 벤치마크인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4.2bp(1bp=0.01%포인트) 오른 4.537%에 거래를 마쳤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2.2bp 오른 4.29%를 기록 했다.

반면 달러는 약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거래일 대비 0.37% 내린 107.92를 기록 중이다.

유가 : 73.19(+1.30%)

코코아 : 10269.00(+2.96%)

커피 : 406.00(-3.59%)

GOLD : 2926.50(-0.27%)

SILVER : 32.26(-0.73%)

PLATINUM : 1037.30(+0.26%)

COPPER : 4.5975(-2.33%)

PALLADIUM : 994.00(-0.94%)

 

국제유가는 사흘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1.00달러(1.38%) 상승한 배럴당 73.32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1.13달러(1.49%) 오른 배럴당 77.00달러를 기록했다. 러시아의 지난달 생산량이 목표치보다 줄었다는 소식과 함께 미국의 대 이란 제재에 따라 원유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진 탓이다.

 

크립토는 전반적으로 하락.

 

테슬라는 5일 연속 하락. -6.34%

 

아마존은 약보합. -0.16%

 

애플은 AI출시로 상승. 2.18%

 

리게티컴퓨팅은 큰폭으로 하락. -10.77%

 

SOXL은 강보합. +0.18%

 

플러그파워도 연속하락. -5.81%

 

버진갤럭틱도 하락. -4.43%

 

TLT는 하락. -0.64%

 

팔란티어는 하락. -3.45%

 

조비 에비에이션은 하락. -6.00%

 

EDU는 큰 폭 상승. +9.10%

어제 팔고 나서 큰 폭 상승. 아쉽네. 

리게티 컴퓨팅 추가 매수.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트럼프 관세, 시장 흔들지 못했다…나스닥 1%↑[월스트리트in]

다우 : +0.38%(167.01) 44470.4

 

나스닥 : +0.98%(190.87) 19714.3

 

S&P 500 : +0.67%(40.45) 6066.44

 

RUSSELL 2000 : +0.45%(1.02) 227.02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계획에…美제철업체 주가↑
테슬라 나흘째 하락…스티플 “머스크 정치행보 부정적”
“트럼프 관세는 결국 협상용”…증시에 낙관론 커져
국채금리 보합…달러 소폭 강세·유가도 상승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부과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힌 가운데 미국 철강, 알루미늄 제조업체 주가는 급등했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관세 계획이 협상용이라는 판단이 강해지면서 조심스럽게 투심을 키우고 있는 분위기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38% 오른 4만4470.41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67% 오른 6066.44,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0.98% 상승한 1만9714.27을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 : +0.60%

애플 : +0.01%

엔비디아 : +2.87%

아마존 : +1.74%

구글 : +0.57%

메타 : +0.40%

테슬라 : +3.01%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계획에…美제철업체 주가↑

트럼프는 9일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해 25%의 포괄적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10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관세가 언제 부과될지 명시하지 않았으며, 미국 수입품에 세금을 부과하는 국가에 대해서도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미국 철강 기업인 클리블랜드-클리프스는 전 거래일보다 17.93% 급등했다. 다른 미 철강사인 뉴코어는 전 거래일보다 5.65%, US스틸은 4.79%, 스틸 다이나믹스 4.86% 각각 올랐다. 알루미늄 제조사인 알코아는 2.2% 상승했다.

열연 코일 철강 선물은 6.3% 오른 856달러를 나타내며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반면 철강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자동차업체들의 주가는 하락 중이다. 제너럴모터스는 1.73%, 테슬라는 3.01% 하락했다.

반도체주들이 대체로 올랐다.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딥시크 등장으로 인한 우려로 폭락한 이후 차츰 투자심리가 개선되는 분위기다. 엔비이다가 2.87% 올랐고, 브로드컴과 마이크론테크놀로지도 각각 4.52%, 3.93%씩 상승했다.

대형 기술주인 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도 각각 0.57%, 1.74%, 0.6% 상승했다.

LPL 파이낸셜의 수석 기술 전략가인 아담 턴퀴스트은 대형 기술주가 기술적인 측면에서 미국 증시 랠리를 계속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난 몇 달 동안 소형주와 가치주가 단기간에 뛰어난 성과를 보였지만 장기적인 추세로 보면 대형 빅테크 거래가 끝났다고 말하기는 어렵다”며 “이러한 추세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언급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493(+0.13%)

달러 / 엔 : 151.91(-0.05%)

비트코인 : 97382.10(+0.49%)

 

국채금리는 거의 변동이 없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1.4bp(1bp=0.01%포인트) 오른 4.501%를 기록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보합인 4.279%에 거래를 마쳤다.

달러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27% 오른 108.33을 기록 중이다.

유가 : 72.47(+0.21%)

코코아 : 9821.00(-2.89%)

커피 : 424.10(+6.91%)

GOLD : 2936.90(+0.08%)

SILVER : 32.50(+0.01%)

PLATINUM : 1035.80(+0.34%)

COPPER : 4.6930(-0.30%)

PALLADIUM : 1004.50(+0.11%)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대비 1.32달러(1.86%) 상승한 배럴당 72.32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1.21달러(1.62%) 오른 배럴당 75.87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1월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이 목표치를 밑돌면서 공급부족 우려가 커졌다.

 

크립토는 전반적으로 다시 상승.

 

테슬라 나흘째 하락…스티플 “머스크 정치행보 부정적”

반면 테슬라 주가는 3.01% 하락하며 4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 깊숙이 개입하고 있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차량 판매 감소 우려를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투자은행 스티플의 애널리스트인 스티븐 겐가로는 여전히 테슬라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지만, 목표주가는 기존 492달러에서 474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올해 예상 매출도 5% 줄어든 1168억달러로 낮춰 잡았다. 스티븐 겐가로는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를 문제시 삼았다. 소비자들이 테슬라 전기차를 바라보는 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겐가로는 “최근 정부 기관 개혁을 목표로 하는 정부 효율화부(DOGE)가 헤드라인을 장식하면서,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가 소비자 인식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애플 +0.01%

아마존 +1.74%

리게티 컴퓨팅은 -3.89%

TLT는 -0.30%

SOXL 은 +3.87%

버진갤럭틱은 보합

플러그 파워는 -6.52%

EDU는 3.35%. 

TGL은 -1.39%

JOBY 는 +0.64%

팔란티어는 +5.23%

 

트레저 글로벌. 별 움직임없어서 매도

좀더 투자하고 싶었으나, 약간의 수익으로 매도

SOXL 은 일부 매도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인플레·상호관세 악재에 '털썩'…S&P 500 1%↓

다우 : -0.99%(444.23) 44303.4

 

나스닥 : -1.36%(268.59)  19523.4

 

S&P 500 : -0.95(57.58) 6025.99

 

RUSSELL 2000 : -1.16%(2.65) 226.00

 

3대 주가지수 1% 안팎 하락 마감
기대 인플레이션 1%포인트 급등
트럼프 상호 관세 부가 이슈도 부담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1% 안팎으로 떨어지며 마감했다. 미국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이례적으로 급등한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 다수 국가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투자심리가 악화된 것이다.

 

7일(미국 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44.23포인트(0.99%) 밀린 4만4303.40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7.58포인트(0.95%) 떨어진 6025.99, 나스닥종합지수는 268.59포인트(1.36%) 급락한 1만9523.40에 장을 마쳤다.

이날은 미국 소비자들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이례적으로 급등하면서 매도 매물이 쏟아졌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올해 2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67.8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월 확정치 71.1에서 4.6% 감소했고 시장 예상치 71.1도 밑도는 수치다.

 

마이크로소프트 : -1.46%

애플 : -2.40%

엔비디아 : +0.90%

아마존 : -4.05%

구글 : -3.19%

메타 : +0.35%

테슬라 : -3.39%

 

트럼프는 상호 무역이라고 말했지만, 맥락상 상호 관세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이는 미국으로 들어오는 수입품에 대해 수출국이 미국산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세금을 매기겠다는 것이다. 트럼프는 특히 자동차를 대상으로 관세를 고려 중이라며 그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소식에 거대기술 기업 위주로 투매가 나왔다. 애플은 2.40%, 마이크로소프트는 1.46% 떨어졌고 테슬라와 알파벳도 3%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상호 관세 부과 움직임에 전통 산업주와 우량주도 투심 악화를 겪었다. 다우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엔비디아와 비자, 코카콜라, 셰브론만 강보합을 보였을 뿐 나머지 종목은 모두 하락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487(+1.06%)

달러 / 엔 : 151.39(+0.02%)

비트코인 : 95977.00(-0.32%)

 

이 같은 지표가 발표되자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일제히 급락세로 돌아섰다. 나스닥 지수는 장 중 0.36%까지 오름폭을 늘리다 한 시간 만에 1%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의 이례적 상승으로 미국 국채금리가 급등하면서 주요 지수를 짓누른 것이다. 오후에 트럼프가 발표한 상호 관세 조치는 시장에 하방 압력을 더했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다음 주 월요일이나 화요일에 (상호 관세에 대해) 회의 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가 : 71.06(-0.04%)

코코아 : 9871.00(-2.53%)

커피 : 402.45(+1.35%)

GOLD : 2886.10(+0.33%)

SILVER : 301.10(-1.73%)

PLATINUM : 1009.50(-1.25%)

COPPER : 4.5950(+3.00%)

PALLADIUM : 978.00(-1.61%)

 

요즘 크립토는 횡보중.

 

테슬라는 또 다시 -3.39%.

 

애플도 -2.40%

 

아마존도 -4.05%

 

팔란티어, 장중 계속 오르다가 막판에 -0.39%

 

조비에비에이션도 -1.02%

 

플러그 파워 -3.66%

 

EDU는 +0.17%

 

리게티 컴퓨팅은 -3.31%

 

TLT는 -0.65%

 

SOXL은 -4.91%

 

버진갤럭틱은 -4.67%

 

트레져글로벌은 +10.94%

 

최근 COPPER의 가격 상승이 심상찮다. 

구리의 사용량이 늘어난다는 건 중국의 경제가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고, 중국이 움직이고 있다는 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 

상승하다가 다시 하락할 것인가? 아니면 지속 상승할지....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기업 실적 소화하며 혼조 마감…7일 고용 보고서 주목

다우 : -0.28%(125.65) 44747.6

 

나스닥 : +0.51%(99.66) 19792.0

 

S&P 500 : +0.36%(22.09) 6083.57

 

RUSSELL 2000 : -0.33%(0.75%) 228.65

 

퀄컴 3.7%, 포드 7.5% 하락
아마존 실적 예상 상회…시간외서 2.1% ↓
베센트 "강달러 유지…10년물 금리 낮출 것"
7일 노동부 고용 보고서 주목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6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가 다소 가라앉은 가운데 투자자들이 개별 기업 실적을 소화하면서 시장은 뚜렷한 방향성을 찾지 못했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5.65포인트(0.28%) 하락한 4만4747.63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22.09포인트(0.36%) 오른 6083.57로 사흘 연속 상승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99.66포인트(0.51%) 오른 1만9791.99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0.61%

애플 : +0.32%

엔비디아 : +3.08%

아마존 : +1.13%

구글 : +0.01%

메타 : +1.01%

테슬라 : -1.92%

 

종목별로는 반도체 기업 퀄컴이 3.72% 내렸다. 전날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도 올해 라이선스 매출 성장이 없을 것이란 발표에 매도세가 몰렸다. Arm은 예상을 웃도는 실적에도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3.34% 하락했다. 미국 자동차 업체 포드는 올해 어려운 실적 전망을 하면서 7.49% 급락했다. 담배 회사 필립 모리스는 기대를 웃도는 실적에 10.95% 급등했다. 이날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아마존은 정규장에서 1.13% 올랐다. 아마존은 지난해 4분기 매출 1877억90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 1.86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LSEG 전망치(각각 1873억달러·1.49달러)는 상회했지만 향후 실적 전망이 기대에 못 미치면서 시간외거래에서 미 동부시간 오후 4시43분 현재 2.11% 약세다.

 

10년물 국채금리 : 4.44(+0.41%)

달러 / 엔 : 151.46(+0.06%)

비트코인 : 96542.50(-1.08%)

 

오전엔 노동시장 둔화를 나타내는 고용지표가 공개됐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1월26~2월1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직전 주 수정치(20만8000건) 대비 1만1000건 늘어난 21만9000건으로 집계됐다. 전문가 예상치(21만4000건)보다도 5000건 많았다.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청구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월19~25일 주간 188만6000건을 기록했다. 직전 주 수정치(185만건) 대비 3만6000건, 시장 전망치(187만건) 대비 1만6000건 많은 수준이다.

이번 주 나온 고용 지표가 엇갈리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시선은 7일 노동부가 발표할 1월 고용 보고서로 쏠린다. 고용 보고서는 가장 정확한 노동시장 현황을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지난달 비농업 신규 고용이 15만4000건 증가해 직전월(25만6000건) 대비 크게 감소했을 것으로 예상한다. 실업률은 4.1%로 직전월 수준을 유지했을 전망이다.

채권 금리는 베센트 장관의 발언에도 소폭 상승하고 있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1bp(1bp=0.01%포인트) 오른 4.43%,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일 대비 2bp 상승한 4.21% 선에서 움직이는 중이다.

 

유가 : 70.52(-0.72%)

코코아 : 9975.00(-5.15%)

커피 : 403.25(+1.38)

GOLD : 2880.10(-0.45%)

SILVER : 32.67(-0.04%)

PLATINUM : 1022.50(-0.32%)

COPPER : 4.4585(+0.33%)

PALLADIUM : 996.00(-2.28%)

 

국제유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석유 생산 확대 의지를 거듭 확인하며 하락 마감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보다 0.42달러(0.6%) 내린 배럴당 70.61달러, 글로벌 원유 가격 벤치마크인 브렌트유는 전일 대비 0.32달러(0.4%) 하락한 배럴당 74.29달러에 장을 마쳤다.

 

크립토는 전체가 하락에 가까워짐.

 

테슬라는 하락을 많이 만회하며 마감. -1.02%

 

애플도 지속 마이너스였다가, 막판 플러스로 전환하며 마감. +0.32%

 

팔란티어는 상승을 확대하며 마무리. +9.79%

 

TLT는 10년물이 약하게 상승하며, 약보합 마무리. -0.04%

 

리게티 컴퓨팅은 -3.90%.

 

플러그 파워는 +3.24%

 

EDU는 +2.34%

 

버진 갤럭틱은 오늘도 하락. -1.32%

 

조비 에비에이션도 하락. -2.36%

 

SOXL도 하락폭을 줄이며 마무리. -0.04%

 

TGL은 -1.13%

 

팔란티어가 어제 3% 하락했다가 다시 큰폭으로 상승.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고맙다 엔비디아" 일제 상승…알파벳 실적 부진·관세 위협 눌러

다우 : +0.71%(317.24) 44873.3

나스닥 : +0.19%(38.31) 19692.3

S&P 500 : +0.39%(23.60) 6061.48

RUSSELL 2000 : +1.09%(2.47) 229.40

 

엔비디아 5%대 급등에 반등 성공
알파벳 실적 부진, 中 빅테크 보복 우려 덮어
고용 지표 혼조…7일 고용 보고서 주목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5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 실적 부진에 더해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 우려로 하락하던 시장은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 등에 힘입어 반등에 성공했다. 엔비디아는 5% 넘게 치솟았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17.24포인트(0.71%) 뛴 4만4873.28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23.6포인트(0.39%) 상승한 6061.48,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8.31포인트(0.19%) 오른 1만9692.33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0.22%

애플 : -0.14%

엔비디아 : +5.21%

아마존 : -2.43%

구글 : -6.94%

메타 : +0.1%

테슬라 : -3.58%

 

종목별로는 엔비디아가 5.35% 뛰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7.99% 상승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인 블랙웰을 탑재한 AI 데이터 센터 시스템을 공개할 것이란 소식에 두 회사 주가가 치솟았다. 반면 전날 실망스러운 클라우드 매출을 발표한 알파벳은 6.94% 급락했다. 반도체 기업 AMD도 전날 시장 기대에 못 미치는 데이터센터 매출 발표로 6.27% 약세를 기록했다. 애플은 미국과 관세 전쟁을 개시한 중국이 앱스토어 수수료와 관행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준비한다는 소식에 0.14% 내렸다.

 

10년물 국채금리 : 4.422(-2.02%)

달러 / 엔 : 152.54(-0.03%)

비트코인 : 96676.30(-1.39%)

 

채권 금리는 내리고 있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8bp(1bp=0.01%포인트) 하락한 4.42%,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일 대비 2bp 떨어진 4.18% 선에서 움직이는 중이다.

 

유가 : 71.15(+0.17%)

코코아 : 10507.00(-3.29%)

커피 : 400.00(+4.34%)

GOLD : 2884.50(-0.29%)

SILVER : 32.74(-0.72%)

PLATINUM : 1017.50(-0.81%)

COPPER : 4.4390(-0.11%)

PALLADIUM : 1016.00(-0.31%)

 

크립토는 상당수 하락.

 

이날 오전 발표된 미국의 지난해 12월 무역수지 적자는 984억달러로 2년9개월 만에 최대 수준을 나타냈다. 적자폭이 전월(789억달러) 대비 24.7% 늘었고, 전문가 예상치(965억달러)도 크게 상회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수입을 늘리면서 무역 적자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 경기 호황 속에 달러 강세로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수입품 소비를 늘린 것도 무역 적자 확대를 낳았다.

민간 고용 증가 규모는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했다. 미국 민간 노동시장 조사업체 ADP가 발표한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월 미국의 민간 부문 비농업 신규 고용은 18만3000건 늘었다. 지난해 12월(17만6000건 증가)은 물론 시장 예상치(14만8000건)를 모두 상회했다. 전날 나온 구인 건수가 예상 밖으로 감소, 노동시장 둔화 신호를 보내면서 고용 지표가 엇갈리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7일 노동부가 발표할 1월 고용 보고서에서 보다 정확한 미국 고용시장 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지난달 비농업 신규 고용이 15만4000건 증가해 직전월(25만6000건) 대비 크게 감소했을 것으로 예상한다. 실업률은 직전월과 같은 4.1%로 전망된다.

 

테슬라는 -3.58%

애플은 -0.14%

리게티 컴퓨팅은 +0.80%

조비 에비에이션은 +0.37%

버진갤럭틱은 -4.00%

플러그 파워는 -5.13%

팔란티어는 -2.38%

EDU는 -2.48%

TGL은 -2.20%

SOXL 은 +5.52%

TLT는 +1.65%.

 

가진 종목중 더 많은 종목이 하락했지만, 좀더 비중이 있는 종목이 오를 경우엔 전체 계좌는 큰 타격이 없다. 

그래서 종목 하나하나에 일희일비 하기보다는 전체를 보면서, 필요시 리밸런싱을 잘하면서 대응을 해야 한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관세는 협상용" 미·중 무역전쟁 우려에도 일제 상승…신중론도 팽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41498

 

[뉴욕증시]"관세는 협상용" 미·중 무역전쟁 우려에도 일제 상승…신중론도 팽배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4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미·중 2차 무역전쟁 재점화 우려에도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카드를 '협상용'으로 평가하며 주식 매수 행렬

n.news.naver.com

다우 : +0.30%(134.13) 44556.0

나스닥 : +1.35%(262.06) 19654.0

S&P 500 : +0.72%(43.31) 6037.88

RUSSELL 2000 : +1.38%(3.10) 226.93

 

美, 中에 추가 관세 10%…中도 즉각 보복
관세 '협상용' 분석, 미·중 협상 기대 ↑
일각선 "관세 위협 과소평가 안 돼" 지적도
구글 4분기 매출 예상 하회…시간외서 7% ↓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4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미·중 2차 무역전쟁 재점화 우려에도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카드를 '협상용'으로 평가하며 주식 매수 행렬을 이어갔다.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했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4.13포인트(0.3%) 오른 4만4556.04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43.31포인트(0.72%) 상승한 6037.88,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62.06포인트(1.35%) 뛴 1만9654.02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0.35%

애플 : +2.10%

엔비디아 : +1.71%

아마존 : +1.95%

구글 : +2.50%

메타 : +0.96%

테슬라 : +2.22%

 

종목별로는 미국의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팔란티어가 23.99% 급등했다. 전날 예상을 넘어서는 실적 전망을 내놓으면서 매수세가 몰렸다. 엔비디아는 1.71% 올랐고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는 각각 2.1%, 0.35% 상승했다. 장 마감 후 실적을 공개한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정규장에서 2.5% 올랐다. 알파벳은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매출이 964억70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이 2.15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LSEG가 집계한 실적 전망치(각각 965억6000만달러·2.13달러)와 비교해 매출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알파벳은 시간 외 거래에서 미 동부시간 오후 4시33분 현재 6.65% 약세다.

 

10년물 국채금리 : 4.513(-0.66%)

달러 / 엔 : 154.35(+0.01%)

비트코인 : 97114.60(-2.99%)

 

시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크게 흔들리지 않으면서 안전자산인 달러는 내리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0.95% 하락한 107.84에서 움직이는 중이다.

국채 금리는 하락세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2bp(1bp=0.01%포인트) 하락한 4.51%,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일보다 4bp 떨어진 4.21%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유가 : 72.75(-0.56%)

코코아 : 10786.00(-1.15%)

커피 : 383.50(+0.68%)

GOLD : 2874.20(+0.80%)

SILVER : 32.88(+1.09%)

PLATINUM : 1011.40(+0.89%)

COPPER : 4.3625(+1.32%)

PALLADIUM : 1011.50(-3.22%)

 

국제유가는 미·중 관세 전쟁 우려와 트럼프 대통령의 대(對)이란 "최대 압박" 재개 영향을 평가하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보다 0.46달러(0.63%) 내린 배럴당 72.7달러, 글로벌 원유 가격 벤치마크인 브렌트유는 전일 대비 0.24달러(0.32%) 오른 배럴당 76.2달러에 장을 마쳤다.

 

테슬라는 관세 영향이 줄어들면서 상승. +2.22%

 

리게티 컴퓨팅은 당일 변동이 심했음. 15달러까지 갔다가 다 내려옴. +1.86%

 

10년물 금리 하락으로 TLT는 상승. +0.31%

 

플러그 파워는 +4.84%.

 

조비 에비에이션은 하락 마감. -0.50%

 

EDU는 -0.86%. 중국은 기술주들은 올랐던데..

 

버진 갤럭틱. 간만에 상승. +4.17%

 

SOXL은 +2.50%인데 아쉽네.

 

애플도 다시 상승으로.. +2.10%

 

트레져글로벌은 하락 마감. -0.27%.

 

오늘의 히어로 팔란티어. 시간외보다도 더 상승하며 마감. +23.99%

실적과 가이던스까지 뭐하나 흠잡을 데가 없었던 팔란티어.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멕시코·캐나다 관세 유예에 안도…롤러코스터 탄 뉴욕증시[월스트리트in]

다우 : -0.28%(122.75) 44421.9

나스닥 : -1.20%(234.49) 19392.0

S&P 500 : -0.76%(45.96) 5994.57

RUSSELL 2000 : -1.17%(2.65) 223.83

 

멕시코·캐나다 관세 시행 앞두고 장초반 급락
유예소식 전해지며 낙폭 축소…일부 안도세
이제 중국 주시…트럼프 "24시간 내 대화할 것"
낙폭 줄였지만…자동차·식음료·기술주 줄줄이↓
치솟던 국제유가…소폭 상승으로 마감

 

뉴욕증시 3대지수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 대한 관세를 한달 간 유예하기로 전격 합의하면서 낙폭을 상당히 줄인 채 마감했다. 트럼프 관세가 협상용이라는 관측이 강해지면서 투자자들은 일부 안도했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은 남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쥐스탱 트뤼도 총리와도 오후에 추가로 통화를 했고, 트뤼도 총리 역시 한달간 관세 유예조치를 적용받은 이후 장마감 이후 거래에서 주가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24시간내 중국과 대화에 나서기로 한 만큼 중국에 대한 10% 추가관세도 4일부터 시행될지 전세계 투자자가 주목하고 있다.

 

멕시코 관세 한달간 유예에 일부 안도…이제 중국 주시

 

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28% 내린 4만4421.91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76% 하락한 5994.57,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1.20% 떨어진 1만9391.96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오는 4일부터 멕시코에 부과하기로 한 25% 관세 계획을 한달간 유예하기로 하면서 급격히 얼어붙었던 투심이 일부 완화됐다. 멕시코가 펜타닐 유입과 불법 이민을 차단하기 위해 멕시코 북부 국경을 강화하기로 합의하면서다. 양측은 한달간 협상을 통해 관세 부과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도 전화 통화를 한 이후 한달간 관세를 유예하기로 했다.

 

마이크로소프트 : -1.00%

애플 : -3.39%

엔비디아 : -2.84%

아마존 : -0.11%

구글 : -1.44%

메타 : +1.20%

테슬라 : -5.17%

 

여전히 관세 불확실성 때문에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강해지면서 기술주들이 대거 하락했다. 애플(-3.39%), 마이크로소프트(-1.0%), 엔비디아(-2.84%), 아마존(-0.11%), 알파벳(-1.44%), 테슬라(-5.17%) 등 하락 마감했다. 테슬라는 프랑스, 스웨덴, 노르웨이에서 테슬라 등록 대수가 급감했다는 소식이 더 영향을 미쳤다. 1월 프랑스의 테슬라 등록대수는 전년동월대비 63% 급감했고, 스웨덴과 노르웨이는 각각 44%, 3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년물 국채금리 : 4.543(-0.57%)

달러 / 엔 : 154.78(+0.06%)

비트코인 : 101694.50(+9.61%)

 

반면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달러는 치솟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49% 오른 108.90을 기록 중이다. 장 초반에는 3주래 최고치인 109.88을 기록했다. 다만 멕시코 관세를 유예한 소식에 상승폭을 일부 줄였다. 치솟던 멕시코페소는 하락반전해 1달러 당 20.4196페소을 기록 중이다. 전 거래일 대비 1.32% 하락했다. 캐나다달러는 상승폭을 줄여 달러대비 1.4524캐나다달러를 기록 중이다.

다른 안전 자산인 미 국채에 수요가 몰리면서 미 국채금리 역시 떨어지고 있다(국채가격 상승).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3.4bp(1bp=0.01%포인트) 떨어진 4.533%를 기록 중이다.

 

유가 : 72.33(-1.13%)

코코아 : 11007.00(+0.18%)

커피 : 384.45(+1.75%)

GOLD : 2850.70(-0.22%)

SILVER : 32.55(+0.07%)

PLATINUM : 1002.80(0.03%)

COPPER : 4.5505(+0.58%)

PALLADIUM : 1050.50(+0.52%)

 

치솟던 국제유가…소폭 상승으로 마감

치솟던 국제 유가도 급등분을 대거 반납한 이후 소폭 상승 마감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72.53달러 대비 0.63달러(0.87%) 상승한 배럴당 73.16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0.29달러(0.38%) 상승한 75.96달러를 기록했다.

 

크립토는 주말에 빠졌다가 상승.

 

테슬라 큰 폭으로 하락. 5.17%

 

애플 큰 폭으로 하락. -3.39%

 

금리 하락하며 TLT 상승. 0.46%

 

플러그파워는 보합

 

EDU는 강보합. +0.21%

 

조비 에비에이션 하락. -2.42%

 

버진 갤럭틱 또 하락. -4.20%

 

SOXL은 큰폭으로 하락. -5.22%

 

리게티 컴퓨팅은 상승 마감. +2.28%

 

TLG도 하락. -3.70%

 

팔란티어는 상승마무리. 시간외 실적 발표.

 

팔란티어, 놀라운 성장세에 깜짝 실적…시간외 주가 17% 급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48188

 

팔란티어, 놀라운 성장세에 깜짝 실적…시간외 주가 17% 급등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가 3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시장 컨센서스를 웃도는 지난해 4분기 실적과 향후 매출액 가이던스를 발표해 시간외거래에서 주가가 17% 이상 급등하고 있다. 팔란티어는 이

n.news.naver.com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가 3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시장 컨센서스를 웃도는 지난해 4분기 실적과 향후 매출액 가이던스를 발표해 시간외거래에서 주가가 17% 이상 급등하고 있다.

팔란티어는 이날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에 일회성 비용을 제외한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14센트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LSEG가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전망치 11센트를 상회하는 것이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6% 늘어난 8억2800만달러로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전망치 7억7600만달러를 웃돌았다. 지난해 전체 매출액은 29%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에 팔란티어의 미국 상업용 매출액은 2억14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4% 급증했고 미국 정부용 매출액은 3억43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5% 늘었다.

팔란티어는 향후 실적 가이던스도 시장 예상을 넘어섰다. 팔란티어는 올 1분기 매출액이 8억5800만달러에서 8억6200만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가이던스 하단조차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전망치 7억9900만달러를 상회하는 것이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강행에 급락 전환…다우 0.75%↓ 마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185863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강행에 급락 전환…다우 0.75%↓ 마감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장 초반 낙관적인 분위기에서 급전직하하며 동반 하락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1일부터 예정대로 캐나다와 멕

n.news.naver.com

다우 : -0.75%(337.47) 44544.7

나스닥 : -0.28%(54.31) 19627.4

S&P 500 : -0.50%(30.64) 6040.53

RUSSELL 2000 : -0.90%(2.05) 226.48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장 초반 낙관적인 분위기에서 급전직하하며 동반 하락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1일부터 예정대로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됐다.

 

3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7.47포인트(0.75%) 밀린 44,544.66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0.64포인트(0.50%) 떨어진 6,040.53, 나스닥종합지수는 54.31포인트(0.28%) 내린 19,627.44에 장을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0.02%

애플 : -0.67%

엔비디아 : -3.67%

아마존 : +1.30%

구글 : +1.47%

메타 : 0.32%

테슬라 : +1.08%

 

애플이 전날 장 마감 후 작년 4분기 호실적을 낸 것도 낙관적인 흐름에 일조했었다.

애플은 작년 4분기 매출과 주당순이익(EPS)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아이폰 판매는 예상에 못 미쳤으나 인공지능(AI) 관련 익스포저(위험 노출)가 적다는 점이 오히려 강점으로 작용하며 이날 한 때 주가가 4% 이상 뛰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의 관세 강행 방침이 재확인되면서 아이폰의 수출 타격을 우려한 시장은 애플에 매도 우위로 대응했다.

엔비디아는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이날 오후 트럼프와 백악관에서 회동할 것이라는 소식에 기대감이 커졌으나 매도세에 휩쓸려 -3.67%로 마감했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테슬라, 메타, 알파벳은 1% 안팎의 강세로 마무리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569(+1.26%)

달러 / 엔 : 155.17(+0.57%)

비트코인 : 102334.90(-1.57%)

 

연준이 주시하는 고용비용지수(ECI)는 작년 4분기 168.3을 기록했다. 전 분기보다 0.9%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다.

미셸 보먼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이사는 이날 공개 발언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상승 위험은 계속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는 "근원 인플레이션은 올해는 더 완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인플레이션과 고용 목표 달성의 진행 상황을 신중하게 평가할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연준의 2% 목표치를 향해 인플레이션이 전진하고 있다는 점에 안도한다며 "인플레이션이 하락 경로를 유지한다면 앞으로 12~18개월 후에는 현재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의 기준금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가 : 73.81(+1.48%)

코코아 : 10991.00(-1.93%)

커피 : 377.90(+1.21%)

GOLD : 2831.50(-0.48%)

SILVER : 32.24(-0.79%)

PLATINUM : 1043.90(+1.65%)

COPPER : 4.2730(-0.80%)

PALLADIUM : 1070.00(+5.98%)

 

유가는 상승하고 금값은 일부 조정. 경기를 반영하는 구리는 큰 변동성은 없고, 최근 팔라듐의 상승세가 가파르다. 

 

비트코인은 하락하고, 일부 알트코인들은 상승. 하지만 대부분 약세.

 

테슬라는 좀 더 큰 폭으로 상승하다가 윗꼬리 길게 만들며 1% 상승으로 마감.

 

애플 실적발표 후 큰폭 상승하다가 마이너스로 전환하며 마무리. -0.67%

 

10년물 금리가 상승하며, TLT는 하락 전환. -0.66%

 

플러그파워는 약한 상승을 이어가다 -3.12%. 

 

버진갤럭틱은 어제의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강보합 정도로 마무리. +0.42%

 

리게티컴퓨팅의 움직임이 발생해서 일부 매도를 걸어놨는데, 팔리지는 않고, 아쉽게 마무리. +7.07%

 

팔란티어는 윗꼬리를 만들며 아쉬운 마무리. +1.56%

 

조비에비에이션은 하락 마감하지 않은 것만도 다행. +0.36%

 

EDU는 오늘은 장중내내 약보합 상태로 거래됨. -1.44%

 

SOXL은 결국 하락하며 마감. -0.48%

 

TGL도 매도 걸어놨는데 안팔리고 장 마감. +3.22%

 

장 시작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상승하던 시장이 백악관의 기자간담회에서 관세강행방침이 나오며 하락으로 전환. 

전반적으로 윗꼬리를 길게 만들면서 하락 마무리 했다. 그나마 +를 지켜낸 것만으로도 다행이다 싶을 정도. 

지금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상승보다는 아마도 이러한 변동성 장세가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대응을 잘해야 하는 시장이 될 거 같은데.. 대응을 잘 해야 할지, 잘 지켜보아야할지..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빅테크 실적 소화하며 일제 상승…메타·테슬라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39530

 

[뉴욕증시]빅테크 실적 소화하며 일제 상승…메타·테슬라 ↑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30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했다. 전날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완화 일시 중단으로 하락한 시장은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 실적을 소화하며 완만한 오름세를

n.news.naver.com

다우 : +0.38%(168.61) 44882.1

나스닥 : +0.25%(49.43) 19681.7

S&P 500 : +0.53%(31.86) 6071.17

RUSSELL 2000 : +1.02%(2.30) 228.53

 

美 4분기 성장률 2.3%
예상 하회했지만 소비가 견조한 회복세 견인
애플 분기 실적 예상 웃돌아
다음 주 알파벳·아마존 실적 발표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30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했다. 전날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완화 일시 중단으로 하락한 시장은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 실적을 소화하며 완만한 오름세를 나타냈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8.61포인트(0.38%) 오른 4만4882.13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31.86포인트(0.53%) 뛴 6071.1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9.43포인트(0.25%) 상승한 1만9681.75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6.18%

애플 : -0.74%

엔비디아 : +0.77%

아마존 : -1.02%

구글 : +2.76%

메타 : +1.55%

테슬라 : 2.87%

 

종목별로는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가 전날 장 마감 후 예상을 넘어선 매출과 이익을 발표한 후 1.55% 올랐다. 테슬라는 시장 예상을 밑돈 실적에도 오는 6월 완전자율주행 소프트웨어 FSD를 이용한 로보(무인)택시 출시 소식에 2.87% 상승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분기 매출이 전문가 전망치를 하회하면서 6.18% 급락했다.

이날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애플은 정규장에서 0.74% 내렸다. 애플은 2025 회계연도 1분기 매출 1243억달러, 주당순이익(EPS) 2.4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시장 예상치(각각 1241억달러·2.35달러)를 상회한 수준이다. 하지만 중국 매출은 11.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애플은 시간외거래에서 이날 오후 4시50분 기준으로 0.38% 약세다.

 

10년물 국채금리 : 4.512(-0.94%)

달러 / 엔 : 154.37(+0.05%)

비트코인 : 105122.10(-0.32%)

 

국채 금리는 약세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전일 대비 3bp(1bp=0.01%포인트) 하락한 4.51%,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수익률은 전일보다 1bp 내린 4.21%에서 움직이고 있다.

 

유가 : 73.05(+0.44%)

코코아 : 11089.00(-5.59%)

커피 : 376.30(2.66%)

GOLD : 2852.50(+0.26%)

SILVER : 32.75(+0.79%)

PLATINUM : 1026.90(-0.01%)

COPPER : 4.3085(+0.02%)

PALLADIUM : 1023.50(+1.38%)

 

유가는 소폭 강세. 금이 지속 상승세다. 비트코인이 오르듯이 금도 오르고 있다. 금의 강세가 생각보다 세다. 

 

크립토는 강보합을 계속 유지하는 듯하다.

 

테슬라 장중 계속 약보합 혹은 강보합이었는데, 막판에 그래도 많이 떨어져서인지 강한 힘이 붙었다. 

 

리게티컴퓨팅은 요즘 양자컴퓨터가 조용하면서 지속 약한 상태다. 조만간 관심이 또 나오지 않을까?

 

10년물 국채금리가 약세를 기록하며, TLT는 상승. 

 

조비 에비에이션은 지속 오르락내리락 하다가 약한 상태로 마감

 

지속 하락하던 버진 갤럭틱이 오랜만에 강한 상승. +5.33%

 

플러그 파워도 힘을 내나 싶었는데, 윗꼬리가 많이 달리며 아쉬운 상승. +2.13%

 

팔란티어는 다시 제자리를 찾아가는 듯. +1.83%

 

SOXL은 어제 상승하지 못한 부분을 오늘 일부 만회. +5.72%

 

애플이 며칠간의 급등으로 인해 하락했는데, 실적 발표후 상승하는 듯. -0.74%

 

EDU는 큰폭으로 상승. +4.59%

 

오늘도 매수 매도 없이 하루를 관망했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Fed, 첫 금리 동결에 일제 하락…국채 금리는 보합권

 

다우 : -0.31%(136.83) 44713.5

나스닥 : -0.51%(101.26) 19632.3

S&P 500 : -0.47%(28.39) 6039.31

 

RUSSELL 2000 : -0.23%(0.52) 226.23

 

 Fed, 트럼프 압박에도 기준금리 동결
연 4.25~4.5%로 유지
파월 "금리 덜 제약적…서두를 필요 없어"
트럼프 2기, 대중 반도체 추가 수출통제 전망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29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앞서 예고한 대로 지난해 9월 개시한 통화완화 사이클을 중단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6.83포인트(0.31%) 내린 4만4713.52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28.39포인트(0.47%) 떨어진 6039.31,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01.26포인트(0.51%) 하락한 1만9632.32에 거래를 마쳤다.

시장은 이날 Fed의 기준금리 결정을 주목했다. Fed는 올해 처음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를 연 4.25~4.5%로 동결하기로 만장일치 결정했다. 지난해 9월 5.25~5.5%였던 금리를 2년 반만에 0.5%포인트 내리며 통화완화에 착수, 11월과 12월 0.25%포인트씩 추가로 낮추며 3연속 인하에 나선 뒤 첫 동결 조치다.

마이크로소프트 : -1.09%

애플 : +0.46%

엔비디아 : -4.10%

아마존 : -0.45%

구글 : +0.06%

메타 : +0.32%

테슬라 : -2.26%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통제 강화 전망도 투심을 압박했다. 이날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상원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중국은 엔비디아 반도체를 엄청나게 샀고 (수출통제) 우회 방법을 찾았다"며 "우리는 우리의 혁신을 장려해야 하고, 중국을 도와주는 것을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종목별로는 기술주가 하락했다. 엔비디아는 4.1% 내렸다. 브로드컴은 0.49% 떨어졌다.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테슬라는 정규장에서 2.26% 밀렸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1.09% 하락했고, 메타는 0.32% 상승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555(+0.09%)

달러 / 엔 : 154.88(-0.20%)

비트코인 : 10392.10(+1.98)

 

국채 금리는 보합권에서 엇갈리고 있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전일 대비 1bp(1bp=0.01%포인트) 하락한 4.53%,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수익률은 전일 보다 1bp 상승한 4.22%를 기록 중이다.

 

유가 : 72.89(+0.37%)

코코아 : 11684.00(+2.73%)

커피 : 364.60(+1.99%)

GOLD : 2799.40(+0.21%)

SILVER : 31.64(0.79%)

PLATINUM : 987.00(0.99%)

COPPER : 4.2955(+0.29%)

PALLADIUM : 982.00(+0.66%)

 

국제유가는 하락 마감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보다 1.15달러(1.6%) 내린 배럴당 72.62달러로 올해 들어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글로벌 원유 가격 벤치마크인 브렌트유는 전일 대비 0.91달러(1.2%) 떨어진 배럴당 76.58달러에 장을 마쳤다.

 

크립토는 상승과 하락이 교차.

 

테슬라는 실적 발표를 앞두고 하락.

실적은 좋지 않게 나왔다. 그러나 시간외 주가는 상승하는중.

테슬라, 전기차 매출 8% 감소…성장 기대감에 주가 시간외 2%대↑(종합)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3% 감소…매출·순익 시장예상치 밑돌아

"매출·이익 감소는 판매단가 하락 영향…올해 성장세로 돌아설 것"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작년 4분기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부진한 실적을 냈다.

29일(현지시간) 테슬라가 발표한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매출은 257억700만달러(약 37조1천466억원), 주당순이익(EPS)은 0.73달러(약 1천55원)를 기록했다.

매출과 EPS 모두 금융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의 평균 예상치(매출 272억6천만달러, EPS 0.76달러)에 못 미쳤다.

전체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 늘었지만, 자동차 부문 매출은 197억9천800만달러(약 28조6천81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3% 줄어든 15억8천300만달러(약 2조2천874억원)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6.2%로, 전년 동기(8.2%)보다 2.0%포인트, 직전 분기(10.8%)보다는 4.6%포인트 낮아졌다.

회사 측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감소한 배경으로 "가격 정책과 금융 옵션 때문에 모델 S·3·X·Y 차량의 평균 판매 단가(ASP)가 낮아진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플러그파워 하락세가 만만치않다가 완만해지고 있는 걸까? -4.08%

 

리게티컴퓨팅은 하루하루 변동폭이 크다. -3.21%

 

버진 갤럭틱 그나마 하락율이 줄긴했는데.. 금리를 동결한 원인. 금리 동결로 중소형, 빚이 많은 기업들이 좀 더 어려운 상황. -1.75%

 

팔란티어는 아쉽게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마감. -0.59%

 

SOXL은 장중 시간외는 좀 더 갈거 같더니. +1.22%로 마감.

 

최근 가장 강한 회사가 애플. +0.46%

 

금리 동결과 10년물 국채금리 보합권에 주가는 약보합. -0.20%

 

조비 에비에이션. 움직일때가 된거 같은데.. -0.48%

 

시간외서 꽤 떨어지길래 사서 바로 팔려다가 못 팔고. 오늘 팔아야겠다. 절대 심심풀이용임. 0.18달러 119주면 20달러쯤 됨. 3만원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나스닥 2%·엔비디아 8.9%↑…‘딥시크 쇼크’서 일부 회복[월스트리트in]

다우 : +0.31%(136.77) 44850.4

나스닥 : +2.03%(391.75) 19733.6

S&P 500 : +0.92%(55.42) 6067.70

RUSSELL 2000 : +0.11%(0.25) 226.75

 

엔비디아 등 반등 성공했지만…“안심 못해”
AI과잉투자에 대한 우려, 지속적으로 작용할듯
증시 전반은 호조…“AI섹터를 넘어서는 강세 가능”
전날 급락했던 국채금리 보합…달러·유가는 상승

 

중국의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등장으로 급락했던 뉴욕증시가 하루 만에 일부 회복에 성공했다. 하지만 딥시크 여파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이른바 하이퍼스케일러의 AI과잉투자 우려를 계속 흔들 가능성은 남아 있다. 전날 급락세 대비 이날 반등폭이 제한적이었던 이유다. 당분간 AI 투자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31% 오른 4만4850.35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92% 상승한 6067.70,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2.03% 오른 1만9733.59를 기록했다. 월가 공포지수로 불리는 VIX지수도 이날 8.32% 하락한 16.41까지 떨어졌다.

 

마이크로소프트 : +2.91%

애플 : 3.65%

엔비디아 : +8.93%

아마존 : +1.16%

구글 : +1.70%

메타 : +2.19%

테슬라 : +0.24%

 

엔비디아 등 반등 성공했지만…“안심 못해”

 

엔비디아는 이날 8.93% 상승하며 전날 급락분(17%)을 일부 회복했다. 전날 급락했던 브로드컴(2.59%), TSMC ADR(5.25%), 암홀딩스 ADR(2.4%) 등도 소폭 반등에 성공했다. AMD는 이날도 0.5% 빠졌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SOX)는 1.11% 반등에 그쳤다.

바워삭 캐피털 파트너스의 에밀리 바워삭 힐은 “우리는 여전히 AI 기반 생산성 이야기를 믿지만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투자는 지난 2년 동안처럼 쉽지 않을 수 있다”면서 “우리는 투자자들이 AI 투자에 있어 더욱 분별력 있고 선별적인 태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하이퍼스케일러의 AI투자가 지속될지 여부는 내일 발표될 마이크로소프트, 메타플랫폼, 테슬라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보다 명확해질 전망이다.

 

10년물 국채금리 : 4.551(+0.51%)

달러 / 엔 : 155.57(+0.06%)

비트코인 : 101304.50(-1.53%)

 

국채금리 보합…달러·유가는 상승

 

이날 국채금리는 거의 변동이 없었다. 오후 4시반 기준 글로벌 국채 벤치마크인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1bp(1bp=0.01%포인트) 오른 4.538%를,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0.1bp 상승한 4.197%를 기록 중이다.

달러는 다시 강세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51% 오른 107.89에서 움직이고 있다.

유가 : 73.95(+0.24%)

코코아 : 11404.00(+0.28%)

커피 : 357.70(+2.43%)

GOLD : 2770.40(+0.10%)

SILVER : 30.93(+0.16%)

PLATINUM : 960.00(+0.06%)

COPPER : 4.2500(+0.67%)

PALLADIUM : 965.00(+0.15%)

 

국제유가는 소폭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0.60달러(0.82%) 상승한 배럴당 73.7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3월 인도분도 전장보다 0.41달러(0.53%) 오른 77.49달러에 마무리됐다.

 

테슬라는 실적발표를 앞두고 변동폭이 줄어들고 있다. 하향 안정화(?). +0.24%

 

딥시크 충격을 벗어나는듯, 빅테크 중 엔비디아가 가장 크게 상승했다. +8.93%

 

애플의 상승세가 가파르다. 다시 전고점을 향해 가는 듯. +3.65%

 

플러그 파워는 소폭 상승에 그쳤다. 하락한거에 비하면 미미하다. +0.51%

 

10년물 국채금리가 미약하게나마 상승하며, TLT는 약보합. -0.07%

 

버진갤럭틱은 계속 하락하는데.. 이걸.. 가만히 두고 봐야하나.. -8.22%

 

팔란티어는 어제의 충격을 바로 만회하며 큰 폭으로 상승. 팔란티어의 힘이 가장 센듯. +6.35%

 

EDU는 하락. -1.60%

 

조비 에비에이션은 소폭 상승. +1.70%

 

가장 큰폭의 하락을 맞았던 SOXL. 반등에 성공하지 못했다. +1.24%

 

양자컴퓨터는 상승 마감. +5.06%

 

나스닥이 2%대 상승하며 어느 정도 반등에 성공했다. 기술주와 관련이 적은 다우는 소폭 상승하고. 

어제 급락하는 과정, SOXL과 엔비디아 중 SOXL을 선택했는데, 오늘만 봐선 실패했다. 단기적으로는 엔비디아만 급등. 

며칠이 더 지나봐야 자세히 알 수 있겠지만, 시장 참여하는 와중, 변화가 생겼을 때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가는

그 이전에 쌓아놓았던 지식에 비례한다.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그에 대한 파급, 그리고 어떠한 변화가 이뤄질 것인지에 대한 예측까지 잘 하기 위해 지속적인 공부가 필요하다.

단기적인 상황이었지만....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中 딥시크 'AI 습격'에 나스닥 3% 급락…엔비디아 시총 860조 증발

다우 : +0.65%(289.33) 44713.6

나스닥 : -3.07%(612.47) 19341.8

S&P 500 : -1.46%(88.96) 6012.28

RUSSELL 2000 : -0.96%(2.19) 226.50

 

中 저비용·고품질 AI 개발에 美 증시 쇼크
AI 주가 거품 붕괴 공포…엔비디아 17% ↓
29일 FOMC 기준금리 결정 주목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 소식에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가 3% 넘게 폭락했다. 중국이 저비용으로 경쟁력 있는 AI 모델 개발에 성공한 것으로 전해지자 주가 거품 붕괴 공포가 확산되면서 AI 관련주가 크게 내렸다. AI 대장주 엔비디아는 이날 하루에만 17% 가까이 폭락하며 시가총액이 순식간에 860조원 넘게 날아갔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89.33포인트(0.65%) 오른 4만4713.58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88.96포인트(1.46%) 내린 6012.28,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12.47포인트(3.07%) 떨어진 1만9341.83에 거래를 마쳤다.

 

마이크로소프트 : -2.14%

애플 : +3.18%

엔비디아 : -16.97%

아마존 : +0.24%

구글 : -4.03%

메타 : +1.91%

테슬라 : -2.32%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지난 20일 출시한 오픈소스 AI 모델 'R1'의 성능이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내놓은 모델을 일부 앞선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시장에 큰 충격을 줬다. 딥시크는 개발 비용으로 600만달러(약 86억원) 미만을 투입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의 주장이 사실로 판명날 경우 AI 반도체나 전력, 데이터 센터 수요가 당초 예상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면서 AI 관련주 거품 붕괴 우려가 확산됐다.

AI 대장주인 엔비디아는 16.86% 급락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시총이 6000억달러(약 863조원) 증발했는데, 단일 주식 기준으로 하루 동안 잃은 시총 기준으로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다. 브로드컴은 17.4% 폭락했고 AMD는 6.37% 내렸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각각 2.14%, 4.03% 떨어졌고 팔란티어 테크놀로지는 4.43% 밀렸다.

 

10년물 국채금리 : 4.528(-2.30%)

달러 / 엔 : 154.54(+0.03%)

비트코인 : 101761.20(+1.49%)

 

위험자산인 주식 선호 심리가 급격히 후퇴하면서 안전 자산인 국채 수요가 확대, 수익률이 크게 하락했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 만기 수익률은 전거래일 대비 8bp(1bp=0.01%포인트) 떨어진 4.53%,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 만기 수익률은 7bp 내린 4.19%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번 주 투자자들의 시선은 오는 28~29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로 쏠린다. 시장에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첫 FOMC에서 기준금리를 연 4.25~4.5%로 동결할 것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즉각적인 금리 하락을 요구할 것"이라고 압박한 가운데 제롬 파월 Fed 의장이 백악관의 통화 개입 시도에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 지도 주요 관전 포인트다.

 

유가 : 73.10(-0.10%)

코코아 : 11433.00(-1.38%)

커피 : 351.05(+1.01%)

GOLD : 2743.10(+0.17%)

SILVER : 30.58(+0.53%)

PLATINUM : 961.80(+0.18%)

COPPER : 4.2420(+0.25%)

PALLADIUM : 972.00(-0.10)

 

유가는 지속 하락중. 원자재는 큰폭의 변동은 없음. 

 

비트코인은 다시 상승중.

 

연속적으로 하락을 기록중. 다행히 저가 매수가 들어오는 느낌은 있는데.... -2.32%

 

어제 올라가려다 긴 꼬리를 만들더니 오늘도 꽤 하락. -6.05%.

 

버진갤럭틱의 주가가 심상치 않은데.... 5달러 밑으로 종가 마무리. -6.90%

 

딥시크의 영향을 받은듯한 모습. -4.48%

 

플러그 파워도 하락이 지속되고 있다. 에너지 정책에서 트럼프의 외면을 받는 것일까? 이부분 좀 더 살펴봐야 겠다. -6.25%

 

양자컴퓨터도 딥시크의 영향을 받았을까? 크게 영향을 받았을 거 같진 않은데.... -5.68%

 

뉴 오리엔탈 에듀케이션 앤 테크놀로지는 실적이 안 좋은게 아니라 가이던스에 못 미쳐서 하락했던 것. 

앞으로 좋아질 거 같은데.... +3.27%

 

10년물 국채금리가 하락하면서 TLT는 상승. +1.18%

 

반도체 주가의 큰폭의 하락으로 레버리지인 soxl은 더 큰폭의 하락. -23.25%

 

엔비디아가 이렇게 하락할 일일까?? 너무 올라서?? 

 

다른 기술주들이 모두 하락하는 와중에 메타와 애플만 상승. 애플은 특히 그동안 꽤 큰폭의 조정. +3.18%

 

딥시크의 영향을 온몸으로 받아낸듯한 브로드컴. -17.40%

 

반도체분야의 하락이 크게 눈에 띄었다. 중국발 인공지능 딥시크의 출현으로 인한 현상이다.

성능은 별로 차이 안나면서 구축 가격은 1/10로 줄였다는 것이다. 비용의 절감은 절대적인 매력을 포함한다. 

엔비디아, 브로드컴,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수퍼마이크로컴퓨터 등 그 동안 큰 폭의 상승을 보였던 회사의 주가들이 10%이상의 조정을 보였다.  

주말과 하루정도의 시간이 더 지나면서 시장이 어떠한 모습을 보일지 궁금하다. 

기술적으로 분석하는 내용들이 늘어가면서, 이번 하락이 과도했다는 의견들이 많이 나오고 있어서, 어느 정도는 되돌리지 싶다. 

오늘의 현상이 다행히 한국시장이 설연휴로 쉬고있는 와중에 일어나서 다행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또 온몸으로 때려맞았을 터인데 말이다. 

연휴 끝나고 주식 시장 개장을 하고 나면, 어느 정도 조정 양상이 마무리된 상황이 될 것이다. 

개장 첫날 일부 충격은 있겠지만, 그리 크진 않을 듯 하다. 

연휴 동안 미국 시장은 계속 재미있을 듯.

 


큰폭의 조정을 보여서 매수.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