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145149

 

뉴욕증시, AI 테마 다시 시동 걸었다…나스닥 1.24%↑ 마감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세계 최대 전자기기 위탁생산업체 대만 폭스콘이 인공지능(AI) 서버 특수에 힘입어 역대 최대 실적을 내놓자 관련 종

n.news.naver.com

 

다우 : -0.06%(25.57) 42706.6

나스닥 : +1.24%(243.30) 19865.0

S&P 500 : +0.55%(32.91) 5975.38

RUSSELL 2000 : +0.04%(0.09) 224.52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세계 최대 전자기기 위탁생산업체 대만 폭스콘이 인공지능(AI) 서버 특수에 힘입어 역대 최대 실적을 내놓자 관련 종목이 강세를 보였으나 우량주들은 매도 우위 흐름 속에 상승폭이 제한적이었다.

6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57포인트(0.06%) 내린 42,706.56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2.91포인트(0.55%) 오른 5,975.38, 나스닥종합지수는 243.30포인트(1.24%) 뛴 19,864.98에 장을 마쳤다.

기술주와 우량주 간 희비가 대체로 엇갈리는 하루였다.

 

마이크로소프트 : +1.06%

애플 : +0.67%

엔비디아 : +3.43%

아마존 : +1.52%

구글 : +2.65%

메타 : +4.23%

테슬라 : +0.15%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M7)'과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는 폭스콘의 사상 최대 실적에 반색했다. 위탁업체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기록적이라는 것은 발주 기업들의 실적 전망도 여전히 낙관적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M7 구성 종목들도 모두 올랐다. 메타플랫폼스는 4% 이상 상승했고 알파벳도 2%대 상승률을 보였다. 브로드컴도 1.67% 오르며 시가총액 1조달러 자리를 지켜나가고 있다.

 

 

10년물 국채금리 : 4.618(+0.48%)

달러 / 엔 157.60(+0.02%)

비트코인 : 101832.20(+2.43%)

 

10년물은 다시 4.6은 넘어서고. 달러도 다시 더 강세. 비트코인도 10만달러를 넘어섬.

 

 

유가 : -0.18%(73.43)

코코아 : -0.35%(11199.00)

커피 : +0.03%(318.75)

GOLD : -0.02%(2647.00)

SILVER : -0.32%(30.49)

PLATINUM : +0.29%(945.50)

COPPER : -0.24%(4.1515)

PALLADIUM : +0.17%(918.00)

 

유가는 하락. 원자재도 대체로 하락. 큰 등락폭 없음.

미국 12월 서비스업 업황도 개선 흐름을 이어가면서 투자심리를 뒷받침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은 12월 미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가 56.8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3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전월치인 56.1에서 상승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이날 집권 자유당이 자신의 후임자를 정하는 대로 총리직과 당 대표직에서 즉각 사임하겠다고 밝혔다. 트뤼도는 지난달 20일 신민주당(NDP)이 정부 불신임안 제출을 예고하면서 궁지에 몰린 터였다.

고물가 문제가 캐나다 경제를 계속 짓누르고 있고 트럼프 2기 행정부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여론이 비등하면서 트뤼도의 지지율은 속절없이 내려갔다. 지난달 말 진행된 여론조사에서는 트뤼도가 자유당을 이끌 경우 지지율이 13%에 그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그의 사임에 달러-캐나다달러 환율은 장 중 1% 이상 떨어지며 정치적 불확실성의 해소에 기대감을 드러냈다.

리사 쿡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는 이날 공개 발언에서 "적절한 시기에 금리 추가 인하 조치가 있겠지만, 현재 노동시장이 견조함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인플레이션이 재가열 조짐을 보임에 따라 연준이 올해 금리를 더 점진적으로 낮추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비트코인은 다시 10만불을 돌파하며 강세.

 

테슬라는 상승하다가 보합 마감.

 

 

폭스콘은 작년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2조1천300억대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12월에만 매출이 42% 늘며 시장 예상치(4분기 13%↑)를 대폭 웃돌았다.

폭스콘은 "AI 서버에 대한 강력한 수요 덕분에 사상 최고 수준의 실적을 냈다"고 전했다.

이같은 소식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 가까이 급등하며 달아올랐다.

필라델피아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코히어런트를 제외한 모든 종목이 뛰었다. 엔비디아는 3%, TSMC는 5%, ASML은 7% 이상 상승했고 AMD Arm,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도 4% 안팎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10% 이상 튀어 오르며 강세장을 즐겼다.

 

수퍼마이크로 컴퓨터도 9.36% 상승

 

마이크론도 10.45% 상승

 

플러그파워도 19.77% 상승.

에너지 관련주가 전반적으로 상승.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897418

 

'매그7' 일제히 상승…S&P500·나스닥 사상 최고치[월스트리트in]

2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나스닥과 S&P500지수가 테슬라 등 기술주 상승에 힘입어 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

n.news.naver.com

 

다우 : -0.29%(128.65)

나스닥 : +0.97(185.78)

S&P 500 : +0.24%(14.77)

RUSSELL 2000 : -0.05%(0.12)

 

거침없는 테슬라, 목표주가 411달러도…주가 3.5%↑
“회계조작 문제 없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 28.7%↑
매파 월러 “12월 금리인하 지지”…국채금리 상승폭 반납
프랑스 정권 붕괴 우려에 유로화 뚝…달러 다시 강세
프·독 스프레드 88bp까지 벌어져..2012년 8월 이후 최고

 

뉴욕증시에서 나스닥과 S&P500지수가 테슬라 등 기술주 상승에 힘입어 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29% 내린 4만44782.00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24% 오른 6047.15를,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도 0.97% 상승한 1만9403.95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은 올 들어 54번째 신기록을 세웠다.

 

 

 

마이크로소프트 : +1.78%

애플 : +0.95%

엔비디아 : +0.28%

아마존 : +1.36%

구글 : +1.46%

메타 : +3.22%

테슬라 : +3.46%

 

 

애플은 0.95% 오르며 사상 최고치인 239.59달러를 기록했다. 블랙프라이데이와 사이버먼데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마존도 1.36% 상승했다. 이외 마이크로소프트(1.78%), 알파벳(1.46%), 메타(3.22%)도 1% 이상 상승했다.

 

10년물 국채금리 : 4.196(+0.43%)

달러 / 엔  149.52(-0.03%)

비트코인 95391.00(-1.42%)

 

국채금리는 장초반 상승하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발언이 나온 이후 상승폭을 거의 반납했다. 오후 4시기준 2년물 국채금리는 1bp(1bp=0.01%포인트) 오른 4.184%를, 10년물 국채금리는 보합인 4.194%를 기록 중이다.

 

미국 경제가 탄탄하다는 신호에 달러는 다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62% 급등한 106.40에서 움직이고 있다. 여기에 유로가 1% 가량 급락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유로환율은 1유로당 1.0469달러까지 뚝 떨어졌다. 프랑스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하기 위해 ‘의회 패싱’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고, 야당은 즉각 정부 불신임안을 발의하면서 정부가 붕괴위기에 처한 게 영향을 미친 것이다.

 

유가 : 68.17(+0.10%)

코코아 : +0.15%, 커피 : -7.18%, 급격히 하락

GOLD : +0.12%

SILVER : +0.36%

PLATINUM : +0.09%

COPPER : +0.23%

PALLADIUM : -0.37%

 

국제유가는 보합을 보였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0.10달러(0.15%) 오른 배럴당 68.1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2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01달러(0.01%) 하락한 배럴당 71.84달러에 마감했다.

비트코인은 떨어지고, 알트코인은 올라가고

 

 

조비에비에이션과 버진갤럭틱 등 중소형주는 큰폭으로 조정. 그동안 많이 올랐기에.

 

 

◇“회계조작 문제 없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 28.7%↑

AI 서버 제조업체인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경영진의 위법 행위의 근거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독립 특별위원회의 검토 결과 발표 후 28.68% 급등했다. 이날 슈퍼마이크로는 성명을 통해 “특별 위원회가 증거를 검토한 결과 슈퍼마이크로의 고위 경영진이나 감사 위원회나 재무 보고서가 매우 정확하도록 담보하려는 이들의 약속에 대해 실질적인 우려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거침없는 테슬라, 목표주가 411달러도…주가 3.5%↑

 

테슬라는 또 3.46% 상승하며 357.09달러를 기록했다. 올 들어 상승률은 43.74%에 달한다.

스티펠의 스티븐 겐가로 애널리스트는 테슬라 주식의 목표 주가를 287달러에서 411달러로 올린 게 영향을 미쳤다. 이는 그간 월가에서 제시된 목표주가 중 가장 높다. 겐가로는 “테슬라 주식을 매입하려면 비전과 인내심, 변동성을 기꺼이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AI) 기반 완전 자율 주행 기능과 사이버캡(로보택시)의 상당한 가치 창출 잠재력은 긍정적인 전망을 뒷받침한다”고 덧붙였다.

로스의 크레이그 어윈 애널리스트는 목표주가를 85달러에서 무려 380달러로 상향했다. 어윈은 이날 보고서에서 “세상이 바뀌었다”며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와 도널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관계와 AI 컴퓨팅의 이점이 새로운 성장의 물결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봤다.

어윈은 “트럼프에 대한 머스크의 진정한 지지는 테슬라의 애호가 풀을 두 배로 늘릴 가능성이 높다”며 “사이버택시는 이제 규제 완화 환경에 직면해 있다. 테슬라의 주요 AI임무는 자율주행으로, 다른 제품보다 훨씬 더 많은 혼란을 해결하고 휴머노이드 로봇 프로그램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했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뉴욕증시] 다우·S&P500 지수 사상 최고…테슬라 8.8% 폭락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4/10/202410120530278953be84d87674_1

 

[뉴욕증시] 다우·S&P500 지수 사상 최고…테슬라 8.8% 폭락 - 글로벌이코노믹

뉴욕 주식 시장이 11일(현지시각) 하락 하루 만에 반등하며 사상 최고 행진을 재개했다.대형 우량주 30개로 구성된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와, 시장 실적 지표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지수

www.g-enews.com

어제 떨어졌으나 하루만에 반등. 

테슬라는 로보택시가 기대에 못 미치면서 하락. 

https://www.g-enews.com/article/Securities/2024/10/202410120655451672e250e8e188_1

 

테슬라 '로보택시' 실망에 8.78% 폭락 …웨이모·우버·리프트 '반사이익' - 글로벌이코노믹

테슬라가 야심 차게 공개한 로보택시가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오히려 경쟁사들이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들이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www.g-enews.com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2027년까지 자율주행 로보택시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사업 모델이나 출시 일정은 제시하지 않았다.

테슬라의 로보택시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이며, 상용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UBS는 "테슬라의 로보택시가 상용화되기까지는 예상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테슬라의 로보택시 공개는 자율주행 기술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웨이모, 우버, 리프트는 테슬라의 부진을 기회 삼아 자율주행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우 0.97%, 나스닥 0.33%, S&P500 0.61%, RUSSEL2000 2.03% 상승. 역시나 견조.

간밤에 빅테크는 크게 움직임이 없었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등. 

하지만, 테슬라는 로보택시에 대한 실망감으로 8.78% 하락. 

JPM이 4%이상 상승하고,일라이릴리도 2.35% 상승.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4/10/202410120117333880be84d87674_1

 

JP모건, 깜짝 실적에 주가 폭등...“미 경제, 연착륙 성공했다” -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과 웰스파고가 11일(현지시각) 기대 이상의 좋은 분기 실적을 발표했다.이들이 문을 연 미국 기업들의 3분기 실적 발표 시즌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특히 JP모건은 미 경제

www.g-enews.com

미 소비자들과 대기업들이 굳건히 버티면서 미 경제가 여전히 강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는 것이다.

JP모건은 기대 이상의 3분기 실적과 함께 올해 전체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

제러미 바눔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런 실적은 연착륙과 부합하는 결과”라고 말했다.

바눔은 지금의 미 경제 상황을 차갑지도, 뜨겁지도 않은 ‘골디락스’라고 평가했다.

 

10년물과 30년물 금리는 안정세를 찾고 유가도 안정세. 금도 다시 상승. 달러도 세진 않지만, 강세. 

어제 한국은 금통위에서 금리를 0.25%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오전에 반짝하다가, 오후에 하락으로 마감.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40590

 

美 고용 '깜짝 증가'에…3대지수 일제히 상승 [뉴욕증시 브리핑]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미국의 고용 증가 폭이 시장의 예상을 크게 웃돌면서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됐다. 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

n.news.naver.com

 

노동부는 9월 비농업 고용이 전월보다 25만4000명 늘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14만7000명과 비교해 10만7000명이나 많은 수치다. 9월 실업률도 4.1%를 기록하며 전문가 예상치(4.2%)를 밑돌았고 전월치(4.2%)와 비교해도 둔화했다.

 

실업률이 예상치보다 좋게 나오면서 MS를 제외한 기술주들이 전반적으로 상승.

 

 

 

다우는 0.8%, S&P500은 0.7%, 나스닥은 1% 넘게 상승. 오일류도 상승. WTI, 크루드 오일 등.

금의 상승세는 언제까지 갈 것인가. 커피가격도 요 며칠 상승중.

 

30년 만기 채권이 급격히 하락

10년 만기 채권도 하락.

 

JP모건은 11월 2차 빅컷 전망을 폐기하고 0.25%포인트 인하로 방향을 바꿨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도 11월 금리 인하 폭을 기존 0.5%포인트에서 0.25%포인트로 내렸다.

 

기사를 전부 읽어보면, 현재 상태면 금리 동결도 가능하다는 뉘앙스.

실업률 지표 하향으로 인해 투자은행에서 인하폭을 하향. 그러면서 금리는 상승하고 채권 가격 하락하고.

10년물 국채 금리가 3.969.

4%가까이 다가와서 일부 TLT 매수.

지난번 4.5% 대에 사서 너무 빨리 팔아서 아쉬웠는데. 갑자기 튀는 구간이 생김.

금리 하락 시기인데, 4% 대까지 올라가는 건 매수의 기회인듯.

 

지표가 계속 좋게 나오면서 더 오를지는 알 수 없으나, 4% 정도오면 산다는 매수 관점을 갖고 있었으니, 현재는 분할 매수 관점으로 봐도 될듯하다.

외부적인 충격으로 어떠 변화가 생길지는 알 수 없으니, 자신의 중심만 잡고 있으면 된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