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주간 시계열에 코멘트로 마무리 하려다가 글이 길어져서 새로 쓸 수 밖에 없다. ##

주간 매매가 상승률에서 서산이 1등을 차지했다. 상승률은 0.16%에 그치지만 다른 많은 지역들이 하락하고 있는 데 상승하고 있는 몇 안되는 곳중에 하나이다.

서산은 전국이 상승하는 2017년 ~ 2021년 사이 거의 오르지 않은 지역이다. 서울과 지방 주요 도시 곳곳이 2021년 하락반전하기 얼마전부터 서산이 홀로 조금씩 상승하기 시작해서 아직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지난 2000년대에도 그랬다. 2000년대 초반부터 서울을 시작으로 상승하다가 서울이 2008년 리먼 사태 이후 꺾이기 시작했을 때, 지방은 안 오르던 곳들이 오르기 시작했다. 거의 끝물에 인천이 화려한 불꽃을 태우고, 사그러들때쯤 서산은 마지막으로 온기를 지피고 있었다. 그 마지막 온기가 2016년쯤으로 기억한다. 

서산 구도심에 살고 있고, 신도시(중앙공원 근방)에 입주물량과 분양권이 있으면 하루가 다르게 가격이 오른다며, 어디를 사야할지 모르겠다던 서산에 살던 지인이 생각났다. 그게 2014~2016년즈음이다. 나는 그때 서울에만 관심있었다.

서산의 그래프를 한번 보자.

서산이 10년치가 안나와서 충남을 먼저 살펴보자. 

충남 전체를 보자니 좀 안맞다. 선제적으로 상승했고, 지금은 하락하고 있는, 천안, 계룡, 논산 등의 데이터도 들어가 있다.

아래 그래프들은 아실에서 가져왔다.

천안의 서북구는 2010년부터 상승해서 2014년까지 상승하고 이후 하락하기 시작했다.

천안시 동남구도 거의 비슷하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계룡시가 약간 의외다. 2009년에 바닥찍고 상승하기 시작해서 2012년까지 상승했다. 좀더 선제적으로 움직인다. 근데 이번 상승장에는 위에 지역들보다 늦게 상승했다. 거시적인 것도 봐야 하고 미시적인 것도 봐야 하는 이유다. 

논산은 209년부터 시작해서 2014년까지 길게 상승하기도 하고 한번씩은 큰폭 상승하기도 하고. 

서산만의 변화율을 보고 싶은데 서산은 15년부터 나온다.

아마 표본 데이터가 너무 적어서 2015년 12월 이전은 안 나오는 것 같다. 충남과 같이 겹쳐서 보면 서산의 모습이 나온다.

그리고 좀 더 자세히 보면 개별 아파트 가격의 그래프를 한번 보자.

서산에 구도심은 동문동이고, 지금은 새아파트가 많이 들어선곳은 성연지구, 

중앙공원 근처에 2016, 2017,2018년도에 많이 입주했다.

긴 시계열로 데이터가 나오는 곳은 신도심은 안나오고 구도심만 나온다.

동문동과 예천동에서도 구아파트의 데이터를 가져왔다.

서산동문동한라비발디의 2016년 3월이다. 29,300만원

그 맞은편에 있는 동문동 코아루는 2016년 3월 27,700만원

서산예천푸르지오는 2015년 11월에 33,200만원이었다.

서산읍내현대는 2016년 6월 23,250만원.

 

지금 데이터를 보는 이유는 긴 기간을 보기 위함이라, 최근에 좀더 상승하고 있는 성연이나 중앙공원 근처 데이터는 가져오지 않았다. 

이곳은 입주가 그리 오래되지 않아서 가격비교를 하기에는 적절치가 않다. 10년쯤은 쌓여야 의미있는 데이터로 활용가치가 높다.

특히 입주시기가 가격이 떨어지고 있던 시기였고(2017년이후), 전세 물량도 많아져서 가지고 있던 사람들은 특히 투자자들은 고생을 했다.

 

위에 개별 아파트들의 그래프를 보면 서산이 2013년쯤 되어서야 상승하는 게 보인다. 그때부터 상승하기 시작해서 2016년, 제일 끝에는 2017년에 마지막 상승을 하고 다시 하락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후 2020년 하반기까지 하락했다. 이후 조금씩 상승하기 시작해서, 2022년부터 서산이 간혹 상승지역으로 비치더니, 이번주에는 드디어 1등을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상승률은 0.16%이고, 금액도 그리 크지 않다. 

지금같은 시기에 상승하는 지역이 있는 게 어디냐며, 미리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차익실현한다면 그걸로도 충분할 수 있겠지만, 그건 아주 발빠르게 대처를 잘하는 사람들의 영역이다. 

 

2013년은 전국이 가장 냉랭한 시기였고, 정부의 대책은 대부분의 규제를 풀던 시기고,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빚내서 집사라고까지 하던 시기다.

그리고 이런 시그널을 빠르게 읽은 사람들은 이제 서울은 바닥이구나, 상승전환하겠구나를 느꼈던 사람들이 많았을 것이다.

실제로도 투자 잘했던 사람들은 이때부터 혹은 2012년부터 분양권과 아파트 매수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그럼 지금은 어떻게 볼 것인가?

서산의 상승시기는 아직 짧고, 서울의 하락 기간도 짧은 편이다. 언제쯤이 고점이고, 저점인지를 맞출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대략적으로 시기만 가늠할 수 있을 뿐이다. 

대략적인 시기를 가늠하는 방법은 아무래도 과거의 데이터를 한 번 보는 게 아닐까 싶어서, 

서산이 1등을 차지한 오늘 이렇게 긴 글을 써보는 중이다. 

반응형
Posted by 박시현
|

전국 아파트 매매 -0.06%, 전세 -0.06% 하락, 서울 매매도 -0.04% 하락

- 서울 변동률(매매 -0.01%(8/1) -0.04%(8/8), 전세 -0.01%(8/1) -0.05%(8/8))

- 경기 변동률(매매 -0.04%(8/1) -0.08%(8/8), 전세 -0.03%(8/1) -0.10%(8/8))

 

KB부동산이 발표한 주간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는 -0.06%, 전세는 -0.06% 하락했으며 서울 아파트 매매도 -0.04% 하락했다. 경기도는 전주 대비 매매 -0.08% 하락, 전세도 -0.10% 하락하였고 수도권 매매는 -0.06% 하락을 기록했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매도자의 관심이 높은 비중을 보인 28.6을 기록하면서 매수자의 관심보다 매도자 문의가 훨씬 더 많은 침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 매매가격 변동률을 살펴보면,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09%)는 하락했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1% 하락했으며, 지역별로는 전북(0.03%), 강원(0.02%), 경북(0.01%), 충남(0%), 충북(-0.01%), 경남(-0.02%), 전남(-0.06%), 세종(-0.16%)이 각각 등락을 보였다.

 

서울의 전세가격은 -0.05% 하락을 보였다.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09%)에서 울산(0.01%), 광주(0.01%), 부산(-0.04%), 대전(-0.08%), 대구(-0.27%)가 각각의 상승과 하락을 보였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0.02%)의 전세가격은 경북(0.07%), 강원(0.04%), 전북(0.04%), 충남(0.03%), 충북(0.01%), 경남(0%), 전남(-0.05%), 세종(-0.11%)이 각각 등락을 보였다.

 

☞ 매매 / 가격증감률 - 서울 ☜

☞ 전세가격증감률 - 서울 ☜

 

☞ 매매가격증감률 - 부산 / 대구 ☜

☞ 전세가격증감률 - 부산 / 대구 ☜

 

☞ 매매가격증감률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 전세가격증감률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 매매가격증감률 - 경기 ☜

☞ 전세가격증감률 - 경기 ☜

 

☞ 매매가격증감률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 전세가격증감률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 매매가격증감률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서귀포 ☜

☞ 전세가격증감률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서귀포 ☜

 

'Ø 지역별 시황(2022.8.8 기준)_매매

서울 

도봉구(-0.18%) : 부동산 경기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으로 거래절벽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창동 쪽은 최근 문의가 조금 늘었지만 초급매물도 거래가 잘 안되고 있고, 쌍문동 역시 올해 월평균 매매거래평균건수가 8건 정도밖에 되지 않는 등 계약체결이 어려운 형편이다.


강남구(-0.04%) : 금리인상 등으로 매수자도 매도자도 움직이지 않고 있다. 간혹 매수 문의가 있어도 매수자와 매도자간의 호가 차이가 억 단위로 벌어져 있어 거래가 체결되지는 않고 있다. 금주는 개포동과 역삼동 일부 구축 소형 평형의 가격이 하락세를 보였다.

경기


안양 동안구(-0.17%) : GTX 정차역 이슈로 급등했던 단지들이 현재는 하락세이다. 하반기 만안구에 대단지 신규 입주가 예정되어 있어 매도물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금리상승과 매수심리 위축 등으로 급매물도 잘 나가지 않고 있다. 

인천


동구(-0.20%) : 인천의 입주 물량이 많아 구축 임대나 매매 수요가 없는데다 8월말 입주를 앞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인 동인천역파크푸르지오(2562세대)의 영향으로 주변 전세가가 급락하면서 시장 침체가 심화되고 있다.

광역


부산 남구(-0.52%) : 하반기 대연동 대연삼정그린코아더베스트(337세대)와 용호동 데시앙해링턴플레이스파크시티(1725세대)가 입주 예정인데, 기존 주택을 매도하려는 입주예정자들이 저가로 매물을 내놓고 있다. 거래절벽 상태가 지속되면서 가격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다주택자들의 매물도 나오고 있다.

지방


계룡(-0.32%) : 이케아 개점이 무산되면서 투자수요가 끊겼고, 금리인상의 영향으로 실수요자도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매매 거래가 매우 한산하다. 작년의 상승장 이전 가격에 매물이 나와도 수요자들은 매수를 망설이고 있다. 

 

Ø 지역별 시황(2022.8.8 기준)_전세

서울


성북구(-0.26%) : 상반기 길음동 롯데캐슬클라시아(2029세대) 등의 입주장 전세물량이 마무리되면서 한산한 분위기이나 성북구와 바로 인접한 용두동의 래미안엘리니티(1048세대)가 9월 입주 예정으로 성북구에도 여파가 미쳐 매물 소진이 더딘 편이다. 일부 단지에서 소폭 하락거래가 있었으나 대부분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관악구(-0.08%) : 금리인상과 상생임대인 제도의 영향으로 이동수요가 거의 없다. 신혼부부 문의만 가끔씩 있으나 전세가격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관망세이다. 신림동 주상복합 힐스테이트뉴포레(1143세대)의 9월 입주를 앞두고 물량은 여유가 있는 편이다.

경기


수원 영통구(-0.53%) : 망포동과 바로 인접한 화성시 반정동에서 대단지 신규입주가 줄줄이 예정되어 있어 전세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8월 입주 예정인 망포동 영통자이(653세대), 9월 영통아이파크캐슬3단지(664세대)에 이어 12월부터 망포동의 '영통롯데캐슬엘클래스1,2BL(1251세대)과 길 건너 붙어있는 화성시 반정동의 반정아이캐슬4,5단지(2364세대)가 대기하고 있어 구축 아파트의 전세가격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다.

인천

계양구(-0.11%) : 소형 평형은 물건이 귀해 강보합세지만 그 외의 평형들은 수요가 점점 줄어들어 소진이 잘 되지 않고 있다. 급전세 위주로만 거래가 되고 있으며, 이번 주에는 귤현동 대단지 아파트의 전세가격이 소폭 하락했다.

광역


대구 중구(-0.66%) : 하반기에는 주상복합 위주로 신규입주 물량이 많고, 신규전세 가격이 기존 아파트보다 저렴한 경우도 많아 준신축 전세물건은 빨리 소진되지 않고 쌓이는 모습이다. 올해도 입주물량이 많지만 내년에도 비슷한 수준의 물량이 예정되어 있어 지속적인 전세가격 약세가 예상된다. 

지방


포항 남구(0.16%) : 매수를 보류하고 전세 재계약을 하는 경우가 많아 신규전세 물건이 잘 나오지 않고 있다. 계절적 비수기로 문의가 적은 편이지만 현재는 수요에 비해 전세물건이 귀해 간간이 높은 가격에도 계약이 이뤄지고 있다. 내년 초부터 대단지 신규입주가 시작되면 물량의 여유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 주요지역별 매매 / 전세 아파트가격지수 ◈

 

 

반응형

'부동산이야기 > 주간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8월15일 KB부동산 주간시계열  (0) 2022.08.20
Posted by 박시현
|